Chapter Three

A Priori Knowledge
선험적인 앎

Kant's definition of Apriority
선험성에 대한 칸트의 정의

1) In this chapter, we shall concern ourselves with the following topics: (i) the concept of apriority, (ii) the distinction between analytic and synthetic propositions, and (iii) skepticism about a priori knowledge.
1) 이 장에서, 우리는 다음 주제들에 관심을 둘 것이다: (i) 선험성의 개념, (ii) 분석적 명제와 종합적 명제 사이의 구별, 그리고 (iii) 선험적인 앎에 대한 회의주의.

2) The terms a priori and a posteriori were introduced into philosophy by the German philosopher Immanuel Kant, marking a distinction that had already been drawn by Descrates, Leibniz, and Locke. In his Critique of Pure Reason[de. Kritik der reinen Vernunft], Kant defined a priori knowledge in terms of independence of experience.<1> According to Kant, a priori knowledge is knowledge that is prior to, or gained independently of, experience, whereas a posteriori knowledge is knowledge gained through experience. The point of his definition may be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two propositions:

(1)    If Yuri lives in Alma-Ata and Alma-Ata is the capital of Kazakhstan, then Yuri lives in the capital of Kazakhstan.
(2)    Yuri lives in Alma-Ata.

In order to see that (1) is true, you need only think about what it is that (1) asserts. Thought alone, without the aid of any information drawn from experience, is sufficient to determine whether (1) is true or false. In contrast, thought alone is not sufficient to determine whether (2) is true or false. Rather, in order to find out the truth value of (2), you must have the kind of experience needed to acquire the relevant information. For example, Yuri might tell you he lives in Alma-Ata, or you might hire a private investigator to find out where Yuri lives, or you might watch a report about Yuri on 60 Minutes. Obviously, no such experiences are necessary in order to see that (1) is true. Thus Kant would say that while you know a priori that (1) is true, knowledge of (2) would have to be a posteriori.
2) a priori(선험)와 a posteriori(후험)라는 용어들은 데카르트, 라이프니츠, 로크에 의해 이미 도입된 용어들과 구별을 짓기 위해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에 의해 철학에 소개되었다. 그의 책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선험적 앎을 경험 독립성이란 말로 정의하였다.<1> 칸트에 따르면, 선험적 앎은 경험에 앞서는, 또는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획득되는 앎인 반면, 후험적 앎은 경험을 통해 획득되는 앎이다. 그의 정의에 있어서 핵심은 아마도 다음 두 가지 명제들에 의해 설명될 것이다:

(1)    만일 유리가 알마-아타에 살고 알마-아타가 카타키스탄의 수토라면, 유리는 카자키스탄의 수도에 산다.
(2)    유리는 알마-아타에 산다.

(1)이 참이라는 것을 알기 위해, 당신은 단지 (1)이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된다. 단지 사유만으로, 경험으로부터 도출된 어떠한 정보의 도움 없이도, (1)이 참인지 거짓인지 결정하기에는 충분하다. 반대로, 오로지 사유만으로 (2)가 참인지 거짓인지 결정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오히려, (2)의 진리치를 알아내기 위해서, 당신은 반드시 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필요한 그런 종류의 경험을 지녀야만 한다. 예를 들어, 유리가 당신에게 그 자신은 알마-아타에 산다 말할 수도 있고, 또는 당신이 유리가 어디에 사는지 찾아내도록 사설 탐정을 고용할 수도 있으며, 아니면 당신은 '추적 60분'에서 유리에 대한 보고를 시청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명히, (1)이 참임을 알기 위해 그런 어떠한 경험들도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칸트는 (1)이 참임을 당신은 선험적으로 아는 반면, (2)에 대한 앎은 후험적이어야할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3) The notion of a priori knowledge is closely related to that of a priori justification because what makes an instance of knowledge a priori is the way in which it is justified. Justification through experience is one mode of justification; justification that is independent of experience is another. A priori knowledge, then, can be defined as the kind of knowledge whose justification is a priori. Of course, this definition is not very illuminating, for it doesn't tell us what makes justification a priori. If we were to apply Kant's suggestion, we could say that a belief is justified a priori if and only if its justification is independent of experience. This definition raises two issues. First, precisely what do we mean by the concept of experience? Second, what do we mean by the concept of independence of experience?
3) 선험적 앎의 관념은 선험적 정당성의 관념과 밀접하게 관련되는데 왜냐하면 앎의 일례를 선험적으로 만드는 것은 그 예가 정당화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경험을 통한 정당화는 정당화의 한 형태이다; 경험 독립적 정당화는 또 다른 형태이다. 선험적 앎은, 그래서, 그 앎의 정당성이 선험적인 그러한 종류의 앎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정의는 그렇게 분명하진 않은데, 왜냐하면 그 정의가 우리에게 무엇이 정당화를 선험적으로 만드는지 말해주지 못하기 때문이다. 만일 우리가 칸트의 제안을 적용할 것이라면, 우리는 하나의 믿음이 정당화된다 iff 그 믿음의 정당성이 경험독립적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정의는 두 가지 문제들을 일으킨다. 우선, 우리가 경험의 개념을 가지고 뜻하는 것이 정확하게 무엇인가? 다음으로, 경험 독립성의 개념으로 우리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Sensory and Nonsensory Experience
감각적 경험과 비감각적 경험

1) Suppose by "experience" we mean sense experience: experience that is either visual, auditory, olfactory, tactile, or gustatory. In that case, we would have to formulate Kant's definition thus:

D1    S is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does not depend on sense experience.

But this definition is not satisfactory, for there are beliefs such that their justification does not depend on sense experience, but they are not justified a priori. Suppose I believe "This morning I was thinking about having steak for dinner." This belief is not a priori, for its justification depends on the memorial experience of clearly recalling what dinner plans I was making this morning. But a memorial experience is not a form of sense experience, and thus my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I was thinking about having steak for dinner does not depend on sense experience. Hence D1 yields the wrong result that I am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I was thinking about having steak for dinner.
1) "경험"으로 우리가 감각 경험을 의미한다고 가정해 보자: 시각, 청각, 후각, 촉각, 아니면 미각 중 하나일 그러한 경험 말이다. 그 경우, 우리는 칸트의 정의를 다음과 같이 정식화해야 할 것이다.

D1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하다 iff S의 p라는 믿음에 대한 정당성은 감각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만족스럽지 못한데, 왜냐하면 그 믿음들의 정당성이 감각 경험에 의존하지는 않지만, 그 믿음들이 선험적으로 정당화되지도 않는 그러한 믿음들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오늘 아침에 나는 저녁으로 스테이크를 먹는 일에 대해서 생각하고 있었다"라고 믿는다고 생각해 보자. 이러한 믿음은 선험적이지 않은데, 왜냐하면 그 믿음의 정당성이 내가 오늘 아침에 구성하고 있었던 저녁으로 무엇을 먹을지 계획한 일을 명백하게 떠올리는 기억 경험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억 경험은 감각 경험의 형식이 아니고, 그래서 내가 저녁으로 스테이크를 먹는 일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는 믿음에 대한 나의 정당성은 감각 경험에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D1은 내가 저녁으로 스테이크를 먹는 일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다는 믿음에 있어서 내가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는 잘못된 결론을 내놓는다.

2) A parallel argument can be made about introspection. My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I would like to eat a bar of chocolate right now does not depend on any sense experience. Thus D1 implies that my belief is justified a priori. But this is the wrong result; my belief is not justified a priori because it depends for its justification on my experiencing desire for a piece of chocolate. If I did not have such an experience, I could not justifiably believe that I would like a piece of chocolate. So, D1 proves wanting again.
2) 똑같은 논증이 내성에 대해서도 구성될 수 있다. 내가 초콜렛 바 하나를 당장 먹고 싶다는 믿음에 대한 나의 정당성은 어떠한 감각 경험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D1은 나의 믿음이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결론이다. 왜냐하면 나의 믿음은 선험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데 그 까닭은 그 믿음이 그 믿음의 정당화를 한 조각의 초콜렛에 대한 내가 느끼는 욕망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만일 내가 그러한 경험을 가지지 않았다면, 나는 내가 초콜렛 한 조각을 먹고 싶다고 정당화할 수 있도록 믿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D1은 부족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입증한다.

3) These two examples show that when a priori justification is defined as justification that is independent of experience, the relevant concept of experience includes not only sense experience but memorial and introspective experience as well. However, just as we must take care to note what the relevant concept of experience includes, we must also consider what it excludes. Now in order to see what kind of experience a priori justification need not be independent of, ask what it intellectually feels like to consider the following two propositions:

(2) 2 + 2 = 4
(3) 2 + 2 = 5

Alvin Plantinga would say that while (2) feels right, (3) feels wrong. (2), he suggests, feels "compelling," while (3) "off-putting and eminently rejectable."<2> Following Plantinga, let us say that there are experiences such as intellectual compulsion and repulsion. Many a priori beliefs are accompanied by an experience of intellectual compulsion. Some philosophers would even say that a priori beliefs can be justified by such an experience.
3) 이러한 두 가지 예시들은 언제 선험적 정당성이 경험으로부터, 감각 경험만이 아니라 기억과 내성의 경험도 마찬가지로 포함하는 경험의 관련 개념으로부터 독립적인 정당성으로 정의되는지 보여준다. 그렇지만, 경험에 관련한 개념이 포함하는 것이 무엇인지 주의 깊게 관심을 기울여야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그 개념이 또한 무엇을 배제시키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만 한다. 이제 선험적 정당성이 그로부터 독립적일 필요가 없는 경험의 종류가 무엇인지 보기 위해, 다음 두 가지 명제들을 고찰하는 것이 지적으로 느껴질 것 같은 것은 무엇인지 묻도록 하자.

(2) 2 + 2 = 4
(3) 2 + 2 = 5

앨빈 플랜팅가는 (2) 옳게 여겨지는 반면, (3)은 그른 것으로 여겨진다고 말할 것이다. 그가 제안하기로, (2)는 "강력한" 반면 (3)은 "받아들이기 어렵고 대단히 거부할 만하다"고 여겨진다.<2> 플랜팅가에 따라, 우리는 지적 강요와 반발과 같은 경험들이 있다고 말하도록 하자. 여러 선험적인 믿음들은 지적 강요의 경험에 의해 동반된다. 일부 철학자들은 심지어 선험적 믿음들이 그러한 경험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다고까지 말할 것이다.

4) When a priori justification is said to be independent of experience, what is meant, then, is not that it must be independent of an experience such as intellectual compulsion. Hence in defining a priori justification as justification that is independent of experience, the relevant concept of experience includes memorial and introspective experience, but excludes the experience of intellectual compulsion. We shall stipulate, therefore, that in the following definition the term "experience" is to be understood in precisely this sense.

D2    S is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does not depend on any experience.

Does D2 imply that if you believe

(1) If Yuri lives in Alma-Ata and Alma-Ata is the capital of Kazakhstan, then Yuri lives in the capital of Kazakhstan

you are justified a priori? Since y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depends neither on sense nor on memorial or introspective experience, the answer is that it does.
4) 선험적 정당성이 경험 독립적이라 이야기될 때,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그래서, 그 정당성이 지적 강요와 같은 그러한 경험으로부터 독립적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선험적 정당성을 경험 독립적인 정당성으로 정의함에 있어서, 경험에 관련된 개념은 기억과 내성의 경험을 포함하지만, 지적 강요의 경험은 배제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다음 정의에 있어서 "경험"이라는 용어가 정확히 이러한 의미에서 이해되는 것이라고 규정해야 할 것이다.

D2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S의 p라는 믿음에 대한 정당성은 어떠한 경험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D2는 만일 당신이 다음과 같이 믿는다면,

(1) 만일 유리가 알마-아타에 살고 알마-아타가 카자키스탄의 수도라면, 유리는 카자키스탄의 수도에 산다

당신이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는 것을 시사하는가? (1)을 믿음에 대한 당신의 정당성이 감각에도 기억이나 내성 경험에도 의존하지 않으므로, 대답은 그렇다는 것이다.


A Priori Jutification and Concept Learning
선험적 정당성과 개념 학습

1) It could be objected, however, that y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depends on experience after all. You couldn't be justified in believing (1) unless you understood what the proposition means, and you couldn't understand what the proposition means unless you knew what the relevant concepts mean. So in order for you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1), you must understand the concepts of city, nation, and capital. It would be impossible to learn what these concepts mean without undergoing a vast array of experiences. Typically, learning such concepts involves complex social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us a succession of innumerable experiences. Indeed, for any proposition p, the justification you might have for believing p could not possibly be independent of the experiences necessary for learning the concepts out of which p is composed. So it would appear that y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does depend on a vast number of experiences, and thus is not a priori.
1) 그렇지만 그것은 당신의 (1)을 믿음에 대한 정당성이 어쨌든 경험에 의존한다고 반박될 수 있을 것이다. 당신은 (1)을 믿음에 있어서 그 명제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않는 한 정당화될 수 없고, 당신은 그 명제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그 관련 개념들이 의미하는 바를 알지 못하는 한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당신이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 당신은 도시, 국가, 수도의 개념들을 이해해야만 한다. 이러한 개념들이 의미하는 바는 경험들의 막대한 집합체를 거침이 없이는 배우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개념들을 배우는 것은 부모와 자녀들, 교사들과 학생들 사이의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들을 포함하고, 그래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경험들의 연쇄를 포함한다. 덧붙여서, 어떠한 명제 p에 대해서든, 당신이 p를 믿음에 대해서 가질 정당화는 p가 그로부터 구성되는 그러한 개념들을 배우는 데에 필요한 경험들로부터 독립적으로는 가능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1)을 믿음에 대한 당신의 정당성이 막대한 수의 경험들에 의존한다는 것, 그래서 선험적이지 않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2) In reply to this objection, we would have to admit that the experiences you had when you learned the concepts occurring in (1) were necessary for the jutification you have for believing (1). Had you not had those experiences, you would not understand (1), and thus could not be justified in believing (1). However, when you are now justified in believing (1), experiences that you had many years ago when you learned certain words surely do not now play a justificatory role. That is, although you could not be justified in believing (1) without having had those experiences, they are not what generates y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at the present time. And this is precisely the point when the expression "S is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p" is defined by appeal to the concept "independence of experience": that which generates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p, or makes S's belief that p justified, must not be experience. When you are justified a priori in believing a proposition p, then whatever it is that generates your justification must be something other than experience - which is entirely compatible with the fact that had you not had certain experiences, you could not be justified in believing p at all.
2) 이러한 반대에 답함에 있어서, 우리는 (1)에서 나타나는 개념들을 당신이 배웠을 때 당신이 지녔던 경험들이 당신이 (1)을 믿는 정당성에 필요했다는 점을 이정해야 할 것이다. 당신이 그러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지 않았더라면, 당신은 (1)을 이해하지 못하였을 터이고, 그래서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렇지만, 당신이 지금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고 있을 때, 당신이 특정 단어들을 배웠을 때 수 년 전에 지녔던 경험들은 확실히 지금은 정당화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비록 당신이 그러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지 않았더라면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수 없었다 할지라도, 그러한 경험들은 바로 지금 순간 (1)을 믿음에 대한 당신의 정당성을 산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것이 "S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라는 표현이 "경험 독립성" 개념에 호소함으로써 정의될 때의 정확한 요지이다. 즉 p를 믿음에 대한 S의 정당성을 산출하거나, S의 p라는 믿음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것은 반드시 경험이 아니어야만 한다. 당신이 명제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화될 때, 당신의 정당성을 산출하는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지간에 그것은 반드시 경험과 다른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 - 그것은 당신이 특정한 경험들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면, 당신이 p를 믿음에 있어서 전혀 정당화될 수 없었으리라는 사실과 전적으로 양립가능하다.

3) Let us distinguish between two ways in which something can depend on something else. First, an event x can depend on an event y because had y not happend, x would not have happened. Second, an event x can depend on an event y because y makes x the kind of event it is. For example, my thinking about tonight's dinner depends on my breathing a sufficient amount to oxygen. Without breathing a sufficient amount of oxygen, I couldn't be thinking about tonight's dinner. My thinking about tonight's dinner also depends on my hunger. If I were not hungry, then I wouldn't be thinking about tonight's dinner. There is, however, a big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examples of dependence. For certainly it is not my breathing oxygen, but rather my hunger, that makes me think about tonight's dinner. My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depends on my having learned certain concepts in the same way in which my thinking about tonight's dinner depends on my breathing oxygen. This is not the kind of dependence that matters in D2; rather, the kind of dependence that matters is the second kind: what makes you justified in believing (1) - whatever it is - must be something other than experience. Hence it is true after all that, according to D2, y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is a priori.
3) 어떤 것이 다른 어떤 것에 의존할 수 있는 두 가지 방식을 구별하도록 하자. 첫째로, 하나의 사건 x는 또 하나의 사건 y에 의존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y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면, x가 발생하지도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두 번째, 한 사건 x는 또 하나의 사건 y에 의존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y가 x를 그 x가 그렇게 일어난 그러한 종류의 사건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오늘 밤 저녁 식사에 대한 나의 생각은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는 나의 호흡에 의존한다.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는 호흡이 없이, 나는 오늘 저녁 식사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오늘 저녁 식사에 대한 나의 생각은 또한 나의 허기에도 의존한다. 만일 내가 배고프지 않았더라면, 나는 오늘 저녁 식사에 대해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의존의 두 예시들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확실히, 오늘 저녁 식사에 대해 내가 생각하도록 만드는 것은 산소 호흡이 아니라 오히려 나의 배고픔이다. 이것은 D2에서 문제시되는 그런 종류의 의존이 아니다. 오히려, 문제시되는 그런 종류의 의존은 두 번째 종류의 것이다. 즉 (1)을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것 -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 그것은 반드시 경험과는 다른 어떤 것이어야만 한다. 따라서 D2에 따르자면 (1)을 믿음에 대한 당신의 정당성이 선험적이라는 것은 어찌 되었든 참이다.

4) In the next two sections, we shall consider two alternative ways of characterizing a priori justification. In discussing them, we shall sometimes use the phrase "a priori propositions" instead of the cumbersome expression "propositions that are knowable or justifiable a priori." Similarly, we shall substitute the term "apriority" for the "the property of being knowable or justifiable a priori."
4) 다음 두 절에 걸쳐서, 우리는 선험적 정당성을 규정하는 두 가지 대안적 방식들을 고찰할 것이다. 그러한 방식들을 논의함에 있어서, 우리는 때때로 "선험적 명제들"이라는 구를 "선험적으로 알 수 있거나 정당화될 수 있는 명제들"이라는 다루기 어려운 표현 대신으로 사용할 것이다. 비슷하게, 우리는 "선험적으로 알 수 있거나 정당화될 수 있음의 속성"을 "선험성"이라는 용어로 대신할 것이다.


Apriority and Necessity
선험성과 필연성

1) Our first approach to the analysis of apriority - what makes justification a priori is independence of experience - tells us what does not generate a priori justification, but it doesn't tell us what does. Thus we are still left with the question of how it can it be possible to determine a proposition's truth value without relying on any experience. One answer to this question appeals to the concept of necessity. Consider the following examples of propositions that, according to a long-standing philosophical tradition, are examples of a priori knowledge.

(a)  The sum of two and two is four
(b)  Two is an even number
(c)  Whatever is square is rectangular
(d)  Whatever is red is colored
(e)  Whatever is blue all over doesn't have green spots
(f)  For any two propositions p and q, if p is true and q false, then the conjunction of p and q is false.
(g) Either it's raining or it's not raining

Proposition (a) and (b) are truths of mathematics, (c) is a truth of geometry, (d) and (e) are examples of what we might call "conceptual" truths, and (f) and (g) are logical truths. What all of these propositions have in common is that they are necessary. According to a second conception of a priori justification, that is precisely what makes a priori justification possible. If a proposition is necessarily true, then simply thinking about it will be sufficient for recognizing its truth - assuming, of course, the proposition isn't so complicated that it cannot be known at all.
1) 선험성 분석에 대한 우리의 첫 번째 접근은 -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만드는 것은 경험독립적이다 - 우리에게 선험적 정당성을 산출하지 못하는 것은 말해주지만, 그러한 정당성을 산출하는 것은 말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우리는 여전히 어떻게 한 명제의 진리치를 어떠한 경험에도 의존함이 없이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물음을 남겨두게 된다. 이 물음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은 필연성의 개념에 호소하는 것이다. 오래 지속되는 철학적 전통에 따라 선험적 앎의 예시들인 그렇나 명제들의 다음 예시들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a) 2와 2의 합은 4이다
(b) 2는 짝수이다
(c) 정사각형인 것은 무엇이든 직사각형이다
(d)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
(e) 푸른 것은 무엇이든 그 어디에서도 녹색 반점들을 지니지 않는다
(f) 어떤 명제 p와 q에 대해서든, 만일 p가 참이고 q가 거짓이라면, p와 q의 결합은 거짓이다.
(g) 비가 오고 있거나 비가 오지 않고 있다.

명제 (a)와 (b)는 수학의 참들이고, (c)는 기하학의 참이며, (d)와 (e)는 우리가 "개념적" 참들이라 부를 것의 예시들이고, (f)와 (g)는 논리적 참들이다. 이러한 명제들이 공통으로 가지고 있는 것은 그것들이 필연적이라는 점이다. 선험적 정당성의 두 번째 개념에 따르면, 그것이 정확히 선험적 정당성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만일 한 명제가 필연적으로 참이라면, 단순히 그 명제에 대한 생각만으로 그 명제의 참을 아는 데에 충분할 것이다 - 물론, 그 명제가 전혀 알려질 수 없을 만큼 그렇게 복잡하지 않다고 가정하면.

2) Consider the proposition "Whatever is red is colored." If you understand what it is for an object to be red and what it is for an object to be colored, then you can understand as well that there couldn't possibly be an object that is red without being colored. Put differently, you can come to see that the property of being red includes the property of being colored, and thus that the proposition "Whatever is red is colored" is necessarily true.<3> Thus one might propose to explain apriority by saying the following: What makes the proposition "Whatever is red is colored" a priori is that you can grasp its necessity. Consider a second example: Nothing that is square is circular. If you know what a square is (a rectangle with four equal sides), then you know that the property of being square excludes the property of being circular: whatever is square cannot also be circular. This is why thought alone enables you to see that there couldn't possibly be a nonrectangular square - why you don't need experience in order to know that all squares are rectangular. Again, so the proposal goes, what makes your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is proposition a priori is that when you consider that proposition and reflect on it, you can grasp its necessity.
2)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라는 명제를 고찰해 보자. 만일 당신이 한 대상이 붉다는 것과 한 대상이 색이 있다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한다면, 당신은 마찬가지로 색이 없으면서 붉은 대상이 있는 게 가능할 수 없다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당신은 색 있음의 속성을 포함하는 붉음의 속성을 알게 될 수 있고, 그래서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라는 명제는 필연적으로 참이라는 것을 알게 될 수 있다.<3> 따라서 다음과 같이 말함으로써 선험성을 설명하고자 제안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즉 "붉은 것은 무엇이든 색이 있다"라는 명제를 선험적으로 만드는 것은 당신이 그 명제의 필연성을 파악할 수 있음이다. 두 번째 예를 고찰해 보자. 그 예는 정사각형인 그 어떤 것도 원형이 아니라는 것이다. 만일 당신이 정사각형이 무엇인지 안다면(동일한 네 변을 지닌 직사각형), 당신은 원형임의 속성을 배제하는 정사각형임의 속성을 안다. 즉 정사각형인 무엇이든 또한 원형일 수는 없다는 것을 안다. 이것은 생각만으로 당신이 비직사각 정사각형이 있는 게 가능할 수 없는지 알도록 할 수 있는 이유 - 당신이 모든 정사각형이 직사각형임을 알기 위해 경험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유 - 이다. 다시, 그 제안이 진행되는 그대로, 이 명제를 믿음에 대한 당신의 정당성을 선험적으로 만드는 것은 당신이 그 명제를 고찰하고 그 명제에 대해 숙고할 때, 당신이 그 명제의 필연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3) In order to evaluate this proposal, it is important to examine what relation exists between apriority and necessity. To begin with, let us consider the following definition:

D3    S is jutified a priori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 believes that p and p is a necessary truth.

This definition fails for two reasons. First, it fails because it does not place any constraints on the manner in which p is believed; it does not demand that S form the belief that p in a way that makes S's belief justified.<4> Suppose you believe a complicated logical theorem (i.e., a necessary truth) because you think you proved it. In constructing this proof, though, you were quite sloppy. You were preoccupied with other matters, and thus didn't concentrate very well. Your proof, therefore, is of dubious value. Its validity would be no more than a lucky accident. Surely, such a proof does not justify you in believing the theorem. However, since you believe a proposition that, ex hypothesi, is a necessary truth, D3 yields the wrong result that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it. The fact of the matter is that you are not at all justified in believing it. The general lesson to be drawn from this case is that since it is possible to believe a necessary proposition without any justification at all, it is not sufficient for a priori justification that the proposition believed be necessary.
3) 이 제안을 평가하기 위해, 선험성과 필연성 사이에 어떤 관계가 존재하는지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작함에 있어서, 다음 정의를 살펴 보도록 하자:

D3    S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 iff S가 p를 믿고 p는 필연적으로 참이다.

이 정의는 두 가지 이유들로 실패한다. 첫째로, 그 정의는 실패하는데 왜냐하면 그 정의가 p가 믿어지는 방식에 대해 어떠한 제한들도 두지 않기 때문이다. 즉 그 정의는 S가 p에 대한 믿음을 S의 믿음이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방식으로 형성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4> 당신이 복잡한 논리적 정리 (즉, 필연적 참)을 믿는데 왜냐하면 당신이 그것을 증명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증명을 구성함에 있어서, 그렇다 할지라도, 당신은 꽤나 설렁설렁했었다. 당신은 다른 문제들에 정신이 팔려 있었고, 그래서 아주 잘 집중하지는 못했다. 그러므로 당신의 증명은 불확실하다. 그 증명의 유효성은 우연한 일치 이상의 아무것도 아닐 것이다. 확실히, 그러한 증명은 그 정리를 믿음에 있어서 당신을 정당화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당신이 전제에 따라 필연적으로 참인 명제를 믿으므로, 3D는 당신이 그 증명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잘못된 결론을 내린다. 그 문제에 대한 사실은 당신이 그 증명을 믿음에 있어서 전혀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사례로부터 도출되는 일반적인 교훈은 필연적 명제를 어떠한 정당성도 전혀 없이 믿는다는 것이 가능하므로, 명제가 필연적으로 것으로 믿어진다는 것은 선험적 정당성에 충분치 못하다는 점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