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ciples of Prima Facie Justification
직견적 정당화의 원칙들

1) The doctrine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trongly supervenes on nonnormative grounds tells us this: whenever a belief is justified, there is a nonnormative property P (where this property may be a conjunction of several distinct properties) such that, necessarily, any belief having P is justified. This is a doctrine of metaphysics: a doctrine about how the property of justification is related to certain other properties. It entails nothing with respect to our ability to pin down what these other properties are. It is, therefore, entirely consistent to maintain that epistemic status strongly supervenes on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and at the same time to doubt that the project of criteriological analysis can meet with success.
1) 정당화됨의 속성이 비규범적 토대들에 강력하게 수반한다는 원칙은 우리에게 이와 같은 것을 말해준다. 즉 한 믿음이 정당화될 때라면 언제든, (이 속성이 아마도 몇몇 구별되는 속성들의 결합일 곳에서) P를 가지는 어떠한 믿음이든 필연적으로 정당화되는 그러한 비규범적 속성 P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형이상학의 원칙이다. 즉 어떻게 정당화의 속성이 특정한 다른 속성들에 관계되는지에 대한 원칙이다. 그 원칙은 이러한 다른 특성들이 무엇인지 확정짓는 우리의 능력에 대한 측면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함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원칙은 전적으로 한결같이 인식적 상태는 강력하게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것을 주장함과 동시에 규준적 분석의 기획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심하는 것이다.

2) Since reliabilism will be discussed in a separate chapter, let us discuss the prospects of criteriolog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Chisholmian project of listing epistemic principles. Consider the second of the epistemic principles we stated above:

P2    If a belief is grounded in perception, then it is justified.

It is easy to see that this principle is false. Recall the standard example of a defeated belief that was explained in Chapter 1: You are looking at a white sheet of paper that appears blue to you because it is illuminated by blue light. Although you have evidence for suspecting that the sheet of paper is thus illuminated, you still believe it to be blue. Your perceptual evidence for your belief is defeated, and thus, though grounded in perception, your belief is unjustified.
2) 신빙론은 독립된 장에서 논의될 것이므로, 우리는 인식 원칙들을 열거함에 대한 치셜주의 기획에 촛점을 맞춘 규준적 분석을 논의하도록 하자. 우리가 위에서 진술하였던 인식 원칙들 중 두 번째 것을 고찰해 보자.

P2    만일 하나의 믿음이 지각에 근거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이 원칙이 거짓임을 알아보기는 쉽다. 1장에서 설명되었던 상쇄된 믿음의 표준 사례를 기억해 보자. 즉 당신이 파란 조명에 비춰지고 있기 때문에 당신에게 파랗게 보이는 한 장의 흰 종이를 보고 있는 경우를 기억해 보자. 비록 당신이 그 한 장의 종이가 그렇게 비춰지고 있다고 의심할 증거를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당신은 여전히 그 종이가 파랗다고 믿는다. 당신의 믿음에 대한 당신의 지각적 증거는 상쇄되고, 그래서, 비록 지각에 근거될지라도, 당신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3) In order to repair P2, we could add a clause to the effect that, for a perceptual belief to be justified, one may not be in possession of further evidence that defeats one's perceptual evidence. This would give us the following modified principle:

P2a   If a belief is grounded in perception and is not defeated by further evidence, then it is justified.

To be sure, P2a is a good candidate for a true epistemic principle. It tells us that undefeated perceptual evidence is a source of justified belief. Indeed, it provides us with a criterion of justification: the property of being grounded in undefeated perceptual evidence is arguably a property that entail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However, P2a is not the kind of principle cirteriological analysis is supposed to establish, for its antecedent makes use of the concept of evidential defeat, which is an epistemically evaluative term.
3) P2를 수정하기 위해, 우리는 지각적 믿음이 정당화된다는 그 결과에 하나의 절을 추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 절은 한 사람의 지각적 증거를 상쇄시키는 추가 증거를 소유하지 않을 것이라는 절이다. 이는 다음의 수정된 원칙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P2a  만일 하나의 믿음이 지각에 근거하고 추가 증거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확실히, P2a는 참된 인식 원칙의 훌륭한 후보이다. 그 원칙은 우리에게 상쇄되지 않는 지각적 증거가 정당화된 믿음의 원천이라 말해준다. 덧붙여서, 그 원칙은 우리에게 정당화의 기준을 제공한다. 즉 상쇄되지 않는 지각적 증거에 근거됨이라는 속성은 거의 틀림없이 정당화됨의 속성을 함의하는 속성이다. 그렇지만, P2a는 확립하기로 되어 있는 그러한 종류의 규준적 분석이 아닌데, 왜냐하면 그 원칙의 전제가 인식적으로 평가적인 용어인 증거적 상쇄의 개념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4) To see why the notion of evidential defeat is epistemically evaluative, we need only consider its definition:

d defeats e as evidence for p if and only if e i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but e in conjunction with d is not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The right-hand side of this definition makes use of the term "is evidence for," which is a term of epistemic evaluation. Hence the concept of defeat is itself epistemically evaluative.
4) 어째서 증거적 상쇄의 관념이 인식적으로 평가적인지 보기 위해, 우리는 단지 그 개념의 정의를 고찰해 보면 족하다.

d는 p에 대한 증거로서의 e를 상쇄시킨다 iff e는 p라는 믿음에 대한 증거이지만, d와 결합한 e는 p라는 믿음에 대한 증거가 아니다.

이 정의의 오른편은 "~에 대한 증거이다"라는 용어를 활용한다. 그 용어는 인식적 평가의 용어이다. 따라서 상쇄의 개념은 그 자체로 인식적으로 평가적이다.

5) P2a, then, contains an epistemic concept in its antecedent and thus falls short of satisfying the objective of criteriological analysis. This does not mean, though, that it is worthless. Indeed, as mentioned above, it tells us something interesting: undefeated perceptual evidence is an entailing ground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ere are no possible worlds in which beliefs grounded in such evidence fail to be justified. But since we could render P2a true only by adding a normative qualifier in its antecedent, it must be said that it is not the kind of principle we seek when we are trying to set forth a criteriological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5) 그래서 P2a는 인식적 개념을 그 전제에 포함하고 그래서 규준적 분석의 목적을 만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럴지라도 이것은 이 원칙이 무가치하다는 말은 아니다. 덧붙여서, 위에서 언급되었듯, 그 원칙은 우리에게 어떤 흥미로운 것을 말해준다. 즉 상쇄되지 않는 지각적 증거는 인식적 정당성을 수반하는 근거이다. 그러한 증거에 근거된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 그러한 어떠한 가능 세계도 없다. 그러나 우리는 오직 규범적 수식어구를 그 원칙의 전제에 추가시킴으로써만 P2a를 참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원칙은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의 규준적 분석을 제시하고자 시도하고 있을 때 추구하는 그러한 종류의 원칙은 아니라고 이야기되어야만 한다.

6) Is there any way of modifying P2 so that it remains true, yet its antecedent stays nonnormative? There is indeed: we can weaken the principle's consequent. Instead of saying that beliefs grounded in perception are justified, we can say that they are prima facie justified. When we call perceptual beliefs prima facie justified, we mean that such beliefs are justified in the absence of defeating evidence. Compare perceptual beliefs with beliefs that are instances of wishful thinking. Such beliefs are not prima facie justified, for we can't say that they are justified in the absence of further evidence. Suppose you take yourself to be perceiving a dog in front of you. Unless there is further evidence undermining your perceptual evidence,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there is a dog in front of you. On the other hand, if wishful thinking induces you to believe that tomorrow's weather will be good, we can't say that, unless there is further undermining evidence,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omorrow's weather will be go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beliefs is that the first is based on evidence that, in the absence of further countervailing evidence, justifies your belief.
6) P2를 수정함으로써 그것이 참으로 남지만, 그럼에도 그 전제는 비규범적으로 머무르도록 할 어떤 방법이 있는가? 실제로 있다. 즉 우리는 그 원칙의 결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 지각에 근거하는 믿음들이 정당화된다고 말하는 대신, 우리는 그러한 믿음들이 직견적으로 정당화된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지각적 믿음들을 직견적으로 정당화된다고 할 때, 우리는 그러한 믿음들이 상쇄하는 증거의 부재 중에 정당화된다고 말하는 것이다. 지각적 믿음들과 낙관적 생각의 사례들인 믿음들을 비교해 보자. 그러한 믿음들은 직견적으로 정당화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우리는 그 믿음들이 추가적인 증거의 부재 중에 정당화된다고도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당신이 당신 앞에 있는 개 한 마리를 지각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당신의 지각적 증거 기반을 약화시키는 추가적 증거가 없는 한, 당신은 당신 앞에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다른 한편, 만일 낙관적 생각이 당신으로 하여금 내일 날씨가 좋을 것이라 믿도록 만든다면, 우리가 약화시키는 추가적 증거가 없는 한 당신은 내일 날씨가 좋을 것이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그렇게 말할 수는 없다. 이 두 가지 믿음들 사이의 차이는 첫 번째 믿음이 무효화하는 추가 증거가 부재하는 중에 당신의 믿음을 정당화하는 증거에 기초된다는 것이다.

7) A prima facie justified belief might or might not be ultima facie justified. An ultima facie justified belief is justified all things considered. Consider again the counterexample to P2. Since the sheet of paper appears blue to you, we may say that although you are prima faci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it is blue, you are not ultima facie justified in believing this because you are in possession of defeating evidence. So, de facto, your belief is unjustified. Of course, beliefs that are prima facie justified need not be unjustified. Typically, prima facie beliefs are also ultima facie justified beliefs.
7) 직견적으로 정당화된 믿음은 궁극적으로 정당화되거나 그렇지 않거나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정당화된 믿음은 어느 모로 보나 정당화된다. 다시 한 번 P2의 반례를 고찰해 보자. 그 한 장의 종이가 당신에게 파랗게 보이므로, 우리는 아마도 비록 당신이 그 종이가 파랗다는 믿음에 있어서 직견적으로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당신은 이것을 믿음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정당화되지는 않는데 왜냐하면 당신이 상쇄 증거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래서 사실상 당신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 물론, 직견적으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은 것일 필요는 없다. 전형적으로, 직견적 믿음들은 또한 궁극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이기도 하다.

8) Let us compare the notion of prima facie justification in epistemology with that of a prima facie duty in ethics. According to W. D. Ross, telling the truth is merely a prima facie duty: a duty that can be defeated by other duties. For example, if you could save a person's life by telling a lie, then the duty to save that person's life would defeat your duty to tell the truth. In this particular situation, telling the truth is your prima facie duty, but not your ultima facie duty. All things considered, it is your duty to tell a lie. Typically, however, telling the truth is not only your prima facie duty but also your ultima facie duty. Truth telling, we may say, tends to be one of our duties, which is to say that typically it is our duty to tell the truth. Likewise, perceptual evidence tends to justify our beliefs, which is to say that, neglecting exceptions, beliefs grounded in perception are justified.
8) 인식론에 있어서의 직견적 정당성을 윤리학에 있어서의 직견적 의무와 비교해 보도록 하자. W. D. 로스에 따르면, 진실을 말하는 것은 단지 직견적 의무이다. 즉 그 의무는 다른 의무들에 의해 상쇄될 수 있는 의무이다. 예를 들어, 만일 당신이 거짓말을 함으로써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면, 한 사람의 생명을 구할 의무는 진실을 말할 당신의 의무를 상쇄시킬 것이다. 이 특수한 상황에서, 진실을 말하는 것은 당신의 직견적 의무이지만, 당신의 궁극적 의무는 아니다. 모든 면에서, 거짓을 말하는 것이 당신의 의무이다. 그렇지만 전형적으로 진실을 말하는 것은 당신의 직견적 의무일 뿐만 아니라 당신의 궁극적 의무이기도 하다. 진실을 말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들 중 하나이기 쉽다고 말할 만하다. 그것은 전형적으로 진실을 말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라고 말하는 것이다. 같은 식으로, 지각적 증거는 우리의 믿음을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 말은 즉, 예외들을 무시하면, 지각에 근거된 믿음들은 정당하다는 말이다.

9) The maneuver of weakening the consequent of P2 by truning it into a principle about prima facie justification gives us the following result:

P2b  If a belief is grounded in perception, then it is prima facie justified.

Unlike P2, P2b is an excellent candidate for a true epistemic principle. However, just like P2a, it is not the kind of principle we seek when we are interested in producing a criteriological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For what we want to find out in pursuing such an analysis is what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make beliefs ultima facie, not prima facie, justified. Thus, if all we can achieve is to formulate principles such as P2b, our analysis would fall short of accomplishing its objective.
9) P2를 직견적 정당성에 대한 원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그 결론을 약화시키는 책략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공한다:

P2b  만일 하나의 믿음이 지각에 근거한다면, 그 믿음은 직견적으로 정당화된다.

P2와 달리 P2b는 참된 인식 원칙의 훌륭한 후보이다. 그렇지만, P2a와 마찬가지로, P2b는 우리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규준적 분석을 산출하는 데에 관심을 가질 때 우리가 찾고 있는 그러한 종류의 원칙은 아니다. 우리가 그러한 분석을 추구함에 있어서 찾아내기를 바라는 것은 믿음들을 직견적으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어떤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만일 우리가 성취할 수 있는 것은 전부 P2b와 같은 그러한 원칙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라면, 우리의 분석은 그 목적을 완수하기에 부족할 것이다.

10) In order to see why this is so, note that P2b marks no real improvement over P2a because it is logically equivalent to it. Given our understanding of prima facie justification, we may reformulate P2b thus:

P2b* If a belief is grounded in perception, then it is justified unless it is defeated by further evidence.

P2b tells us the same as P2b*, which tells us the same as P2a. Consequently, if P2a is not what we aspire to in analyzing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then neither is P2b. So whichever way we go - modifying the antecedent of P2 by adding a "no defeat" clause or weakening the consequent by turning P2 into a principle about prima facie justification - we don't get the result we intended to get: a principle that specifies a nonnormative base property on which justification supervenes.
10) 어째서 이러한지 보기 위해, P2b가 P2a에 대해 아무런 실질적인 진전도 나타내지 않는데 왜냐하면 P2b가 논리적으로 P2a에 동치이기 때문이라는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 직견적 정당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고려해 보면, 우리는 P2b를 다음과 같이 재정식화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P2b* 만일 하나의 믿음이 지각에 근거한다면, 그 믿음은 추가적인 증거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 한 정당화된다.

P2b는 우리에게 P2b*와 똑같은 것을 말해준다. P2b*는 우리에게 P2a와 동일한 것을 말해준다. 결론적으로, 만일 P2a가 인식적 정당성의 개념을 분석함에 있어서 우리가 열망하는 것이 아니라면, P2b도 그러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우리가 가는 어떤 경로로도 - "무(無)상쇄" 절을 추가함으로써 P2b의 전제를 수정하는 것이나 P2를 직견적 정당성에 대한 원칙으로 전환시켜 결론을 약화시키는 것이나 - 우리는 우리가 얻으려는 결과를 얻지 못한다. 즉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규범적 기본 속성을 상술하는 원칙을 얻을 수 없다.

11) Parallel reasoning can be applied to epistemic principles about the other two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we introduced: being grounded in introspection and being grounded in memory. The question arises, therefore, whether it is at all possible to find the kind of principles criteriological analysis seeks.
11) 동일한 추론이 우리가 소개하였던 다른 두 가지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에 대한 인식 원칙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내성에 기초됨과 기억에 기초됨에 대한 인식 원칙들 말이다. 그러므로 규준적 분석이 추구하는 그러한 종류의 원칙들을 찾는 것이 도대체 가능하기는 한 건지 의구심이 든다.


Epistemological Pessimism
인식론적 비관주의

1) Let us call epistemological pessimism the view that although there are nonnormative properties on which epistemic justification supervenes, we can't pin down what these properties are. Ernest Sosa refers to this view as "skepticism about our ability to comprehend the principles that underlie [the supervenience of epistemic on descriptive properties], perhaps because they are infinite in number or degree of complexity."<24> If epistemological pessimism is correct, we must give up the hope of identifying which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entail the property of justification. Instead, we must be content with formulating principles of prima facie justification: principles telling us which nonnormative properties tend to make beliefs justified.
1) 인식론적 비관주의를 비록 인식적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비규범적 속성들이 있다할지라도 우리는 그 속성들이 무엇인지 확정지을 수 없다는 관점이라 말하도록 하자. 어니스트 소사는 이 관점을 "아마도 그러한 원칙들이 수에 있어서나 복잡성의 정도에 있어서 무한정하다는 이유에 의한, [기술적 속성들에 대한 인식적 속성들의 수반성의] 기저를 이루는 원칙들을 파악할 우리의 능력에 대한 회의주의"라 언급한다.<24> 만일 인식론적 비관주의가 맞다면, 우리는 어떤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이 정당성의 속성을 함의하는지 규정하려는 희망을 포기하여야만 한다. 대신에, 우리는 직견적 정당화의 원칙들, 즉 우리에게 어떤 비규범적 속성들이 믿음들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경향이 있는지를 말해주는 원칙들을 정식화하는 데에 만족해야만 한다.

2) According to a theory of prima facie justification, there are several sources of justification - for example, introspection, perception, and memory. Beliefs grounded in any of these sources are prima facie justified, or justified unless defeated by further evidence. Consider again perceptual beliefs. Whether a particular perceptual belief is justified depends on the specifics of the situation: does the subject, or does she not, have further evidence that defeats her perceptual evidence for the belief? Epistemological pessimists would say that we cannot find general criteria that, when applied to particular situations, tell us whether the subject has further defeating evidence, and thus whether the belief in question is justified or not. Rather, they would say that we must, for each individual case, consider all the relevant data that are available and then judge the belief's epistemic merits.
2) 직견적 정당화 이론에 따르면, 정당성의 여러 원천들이 있다. 예를 들어 내성, 지각, 기억이 그러한 원천들이다. 이러한 원천들 중 어느 것에든 근거하는 믿음들은 직견적으로 정당화되거나, 추가 증거에 의해 상쇄되지 않는 한 정당화된다. 다시 지각적 믿음들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특수한 지각적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여부는 그 상황의 특성들에 의존한다. 즉 그 주체가 그 믿음에 대한 주체의 지각적 증거를 상쇄시키는 추가적 증거를 가지는가, 갖지 않는가에 의존한다. 인식론적 비관주의자들은 우리가 특수한 상황들에 적용되었을 때 우리에게 그 주체가 추가 상쇄 증거를 가지는지, 그래서 문제가 되는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아닌지를 말해주는 일반적인 기준들을 발견할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오히려, 그들은 우리가 각각의 개별적인 경우에 대해 관련된 모든 가용한 자료들을 고찰하고 그래서 그 믿음의 인식적 장점들을 판단해야만 한다고 말할 것이다.

3) Let us compare epistemological pessimism with its counterpart in ethics: W. D. Ross's theory of prima facie duties. According to Ross, our moral duties spring from sources such as fidelity, reparation, gratitude, justice, beneficence, self-improvement, and nonmaleficence. Each of these sources provides us with a sufficient ground of prima facie duty. Thus Ross would say that if doing x were an act of gratitude, then doing x would be a prima facie duty; and if doing x were an act of injustice, then refraining from doing x would be a prima facie duty. But he does not propose what we have called a criteriological analysis. For, first of all, some of the items on Ross's list are normative: justice and beneficence, for example. And second, he does not claim that the properties on his list entail that acts instantiating these properties are acts one has a duty to perform (or refrain from performing).
3) 인식론적 비관주의를 윤리학에 있어서의 그 대응물과 비교해 보도록 하자. 그것은 W. D. 로스의 직견적 의무들에 대한 이론이다. 로스에 따르면, 우리의 도덕적 의무들은 성실성, 보상, 감사, 정의, 이익, 자기-증진, 비악(非惡)과 같은 그러한 원천들로부터 나온다. 이러한 원천들의 각각은 우리에게 직견적 의무의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그래서 로스는 만일 x를 행함이 감사의 행위라면, x를 행함은 직견적 의무일 것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리고 만일 x를 행함이 부정의에 속하는 행위라면, x를 행함을 삼가는 것은 직견적 의무일 것이다. 그러나 그는 우리가 규준적 분석이라 불렀던 것을 제안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무엇보다도 로스의 목록에 있는 항목들 중 일부는 규범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정의와 유익이 그러하다. 그리고 다음으로, 그는 그의 목록에 있는 속성들이 이러한 속성들을 예시하는 행위들이 수행해야 할(또는 수행을 삼갈) 의무를 지니는 행위들임을 함의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4) Obviously, different duties can come into conflict with one another. For example, justice and beneficence notoriously conflict with each other. In a situation in which they do, there is a prima facie duty to be just and a prima facie duty to be beneficent. The problem is deciding which of these duties would take precedence all things considered. Ross does not believe that there are general principles that tell us when considerations of justice outweigh considerations of beneficence, or vice versa. Rather, he believes that each case in which these considerations come into conflict must be judged individually. Ross, then, is a pessimist about criteriological analysis in ethics. Though his view is compatible with the supervenience doctrine - in each case of a particular act's being a moral duty, there is a base property on which the act's moral status supervenes - it entails that we cannot pin these properties down by formulating general principles of ultima facie duties.
4) 분명히, 상이한 의무들은 서로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의와 이익은 서로 반목하기로 악명이 높다. 그 두 의무들이 반목하는 상황에서, 정의로우라는 직견적 의무와 유익하라는 직견적 의무가 있다. 이러한 의무들 중 어느 한 쪽을 결정하는 문제는 모든 것을 고려하여 우선순위를 정할 것이다. 로스는 우리에게 언제 유익에 대한 고려들이 정의에 대한 고려들보다 더욱 클지, 혹은 그 역은 어떠한지 말해주는 일반적 원칙들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이러한 고려들이 갈등을 일으키는 각각의 경우가 반드시 개별적으로 판단되어야만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로스는 윤리학에 있어서의 규준적 분석에 대해 비관주의자이다. 그의 관점이 수반 원칙 - 특수한 행위가 도덕적 의무인 각 경우에 있어서, 그 행위의 도덕적 상태가 그에 수반하는 기본 속성이 있다는 - 과 양립가능할지라도 그의 관점은 우리가 이러한 속성들을 궁극적 의무들에 대한 일반 원칙들을 정식화함으로써 확정지을 수는 없다는 것을 함의한다.

5) In epistemology, conflicting bodies of evidence are analogous to the phenomenon of conflicting duties. For example, perceptual evidence about an object's color can be undermined by further evidence about the conditions of observation. If the object appears blue, then there is prima facie justification for believing it to be blue. But if we know that blue light is shining on the object, there is also prima facie justification for refraining from believing that it is blue. The question about such cases is this: Which body of evidence is stronger, the evidence that supports believing the object is blue or the evidence that supports refraining from believing this? In other words, what would be our ultima facie duty: to believe, or not to believe, that the object is blue? The answer to this question depends, of course, on the specific features of the situation. Perhaps there is further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sheet of paper is actually blue or further evidence supporting the belief that it is actually white. Epistemological pessimists would say that because there are too many different ways in which evidence can be defeated, there are no general principles that tell us, for all such cases, what we are ultima facie justified in believing. All we can know, in the way of general principles, is that an object's looking blue provides us with prima facie justification for believing it to be blue, and that evidence to the effect that blue light is shining on the object provides us with prima facie justification for refraining from believing that the object is blue.
5) 인식론에 있어서 갈등을 일으키는 증거의 실체들은 의무들이 갈등하는 현상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한 대상의 색에 대한 지각적 증거는 관찰 조건들에 대한 추가적 증거에 의해 약화될 수 있다. 만일 그 대상이 푸르게 보인다면, 그 대상이 푸르다는 믿음에 대한 직견적 정당성이 있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푸른 조명이 그 대상을 비추고 있다는 것을 안다면, 그 대상이 푸르다는 믿음을 삼가는 데에 대한 직견적 정당성또한 있다. 그러한 사례들에 대한 물음은 이것이다. 어떠한 증거체가 더욱 강한지, 그 대상이 푸르다는 믿음을 뒷받침하는 증거인지 아니면 이렇게 믿는 것을 삼가는 일을 뒷받침하는 증거인지? 달리 말해서, 그 대상이 파랗다는 것을 믿는 것, 또는 믿지 않는 것, 무엇이 우리의 궁극적 의무일 것인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은 물론 그 상황의 구체적인 특성들에 달려있다. 아마도 그 한 장의 종이가 실제로 파랗다는 것을 시사하는 추가 증거나 또는 그 종이가 실제로 하얗다는 믿음을 뒷받침하는 추가 증거가 있을지도 모른다. 인식론적 비관주의자들은 증거가 상쇄될 수 있는 너무나 많은 상이한 방식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에게 그러한 모든 경우들에 대해서 우리가 믿음에 있어서 궁극적으로 정당화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말해주는 일반적 원칙들은 아무것도 없다고 말할 것이다. 일반적 원칙들의 방식으로 우리가 알 수 있는 모든 것은 한 대상의 푸르게 보임이 우리에게 그 대상이 푸르다는 믿음에 대한 직견적 정당화를 제공한다는 것과, 푸른 조명이 그 대상을 비추고 있다는 영향에 대한 증거가 우리에게 그 대상이 푸르다는 믿음을 삼가는 데에 대한 직견적 정당성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6) Is epistemological pessimism a plausible view? Of course we should not dogmatically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an ingenious epistemologist could generate a list of epistemic principles with nonnormative antecedents or even an equivalence with a nonnormative analysans. However, advocates of epistemological pessimism could argue that as long as there is neither a monistic nor a pluralistic theory that is clearly acceptable, epistemological pessimism is at least indirectly confirmed.<25>
6) 인식론적 비관주의는 타당한 관점인가? 물론 우리는 기발한 인식론자가 비규범적 전제들을 가지고 인식 원칙들의 일람표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거나 혹은 비규범적 가분석항을 가지고 동치까지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독단적으로 배제시키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인식론적 비관주의의 지지자들은 분명하게 허용가능한 일원론적 이론도 다원론적 이론도 없는 한, 인식론적 비관주의가 최소한 간접적으로나마 확정된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2> In order to generate such series, we don't have to restrict ourselves to arithmetic. For example, there is an infinite number of things that are not in my office: elephants, vending machines, nuclear missiles, aircraft carriers, and so on. Thus we can easily form extremely long and cumbersome truths about my office that are certainly not matched by any existing sentence tokens.
<2> 그러한 연쇄를 산출하기 위해, 우리가 우리 자신을 산술에 제한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 사무실에 없는 무한한 수의 것들이 있다. 즉 코끼리들, 자동판매기들, 핵 미사일들, 항공모함들 등등. 그래서 우리는 나의 사무실에 대해서 확실히 어떠한 현존하는 문장 표시들에 의해서도 일치되지 않는 극도로 길고 복잡한 진리들을 쉽사리 구성할 수 있다.

<4> In order to avoid a counterexample provided by modern medical technology, the concepts in question should be taken to refer to animals whose proper genetic design involves a heart and animals whose proper genetic design involves a liver.
<4> 현대 의학 기술에 의해 제공되는 반례를 피하기 위해서, 문제가 되는 개념들은 심장을 포함하는 온전한 유전자 지도의 동물들과 간을 포함하는 온전한 유전자 지도의 동물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8> It would be a mistake to think that the project of defining epistemic concepts and the project of providing a criteriological analysis are mutually exclusive. In fact, the former is necessary for the latter. After all, how can we determine what the criteria for a given epistemic concept are if we are not clear on what we mean by that concept? …[the rest omitted]
<8> 인식적 개념들의 정의 기획과 규준적 분석 제공의 기획이 상호 배타적이라 생각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사실상, 전자는 후자에 대해 필요조건이다. 무엇보다도, 만일 우리가 그 개념으로 의미하는 바가 명확하지 않다면 어떻게 우리가 주어진 인식적 개념에 대한 기준들이 무엇인지 결정할 수 있겠는가? [후략]

<11> The locus classicus for the weak supervenience thesis in ethics is the following statement by Richard Hare (1952): "Suppose that we say 'St. Francis was a good man.' It is logically impossible to say this and to maintain at the same time that there might have been another man placed exactly in the same circumstances as St. Francis, and who behaved in exactly the same way, but who differed from St. Francis in this respect only, that he was not a good man."(p.145).
<11> 윤리학에서의 수반 명제에 대한 표준구는 리처드 해어에 의한 다음 진술이다(1952). "성 프란체스코는 좋은 사람이었다'라고 우리가 말한다고 생각해 보자. 이렇게 말하면서 동시에 성 프란체스코와 정확히 똑같은 상황들에 위치된, 그리고 성 프란체스코와 정확히 같은 방식으로 행동하였던, 그러나 오직 좋은 사람이 아니었다는 점에서만 달랐던 그런 또 다른 사람이 있어 왔다고 주장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p.145).

<14> This is not to say that this reason is decisive. As we shall see later in this chapter, there are also good reason to doubt that the attempt to set forth a criteriological analysis of epistemic concepts can succeed.
<14> 이것은 이 이유가 결정적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이 장에서 나중에 볼 것과 같이, 인식적 개념들에 대한 규준적 분석을 내놓고자 하는 시도가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심할 훌륭한 이유도 있다.

<17> Another example of a monistic analysis is ethical egoism, which asserts that an act is right if and only if it maximizes the agent's self-interest. Yet another example is the divine command theory, according to which an act is right if and only if it is commanded by God.
<17> 일원론적 분석의 또 다른 사례는 윤리적 유아주의이다. 윤리적 유아주의는 하나의 행위가 옳기 위한 필충조건은 그 행위가 행위자의 자기이익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라고 단언한다. 또 다른 예는 신성한 명령 이론이다. 그 이론에 따르면 하나의 행위가 옳기 위한 필충조건은 그 행위가 신에 의해 명령된다는 것이다.

<18> Reliable cognitive processes are those whose belief output enjoys a high ratio of true beliefs. …[The rest omitted].
<18> 신빙성 있는 인지 과정들은 그 과정들의 믿음 산출이 참인 믿음들에 대해 높은 비율을 갖는 과정들이다. [후략].

<20> The underlying metaphysical phenomenon here is this: if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trongly supervenes on a set of normative properties, then there is a necessary coextension between that property and a set of normative properties. … In case of monistic theories, necessary coextension is obvious. According to the SS thesis, in every instance of a justified belief, the belief's justification is entailed by a nonnormative property N. Now, if there is one, and only one, such property N, it is clear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is equivalent to the property N. In the case of a Chisholm-type pluralistic theory, there is a necessary coextension as well. If there is a finite number of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N1, N2, Nn},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will be necessarily coextensive with the disjunctive property "N1 or N2 or Nn." If the number of base properties is infinite,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will be necessarily coextensive with an infinite disjunction of base properties.
<20> 여기에서 기저를 이루는 형이상학적 현상은 이것이다. 즉 만일 정당화됨의 속성이 일련의 규범적 속성들에 강력하게 수반한다면, 그 속성과 일련의 규범적 속성들 사이에는 필연적 동연이 있을 것이다. …일원론적 이론들의 경우에, 필연적 동연은 명백하다. SS 명제에 따르자면, 정당화된 믿음의 모든 사례들에서, 그 믿음의 정당성은 비규범적 속성 N에 의해 함의된다. 이제, 만일 하나의 유일한 그러한 속성 N이 있다면, 정당화됨의 속성이 그 속성 N과 동치임을 분명하다. 치셜-유형 다원론적 이론의 경우, 마찬가지로 필연적 동연이 있다. 만일 한정된 수의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 {N1, N2, Nn}이 있다면, 정당화됨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선언적 속성 "N1 또는 N2 또는 Nn"과 동연일 것이다. 만일 기본 속성들의 수가 무한하다면, 정당화됨의 속성은 필연적으로 기본 속성들의 무한한 선언 명제와 동연일 것이다.

<22> In the current literature, reliabilism is often viewed as an example of the naturalistic approach to epistemology, whereas the Chisholmian approach is considered the epitome of nonnaturalism. See, for example, Maffie (1990). Such views are mistaken. Both reliabilism and the Chisholmia approach are examples of what we have called "criteriological analysis," and thus share significant metaphysical assumptions. In fact, reliabilism, as an instance of analytical monism, is committed to a more daring metaphysical claim than the endeavour of listing a variety of different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22> 현대적 용어로, 신빙론은 종종 인식론에 대한 자연주의적 접근방식으로 조망되곤 한다. 반면에 치셜주의 접근법은 비자연주의의 축도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Maffie(1990)을 보라. 그러한 관점들은 오류이다. 신빙론과 치셜주의적 접근 모두 우리가 "규준적 분석"이라 부른 것의 사례들이고, 그래서 중대한 형이상학적 전제들을 공유한다. 사실상, 분석적 일원론의 사례로서 신빙론은 상이한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의 다양을 열거하려는 노력보다 더욱 대담한 형이상학적 주장에 전념한다.

<25> Above, we referred to Chisholm's project of listing epistemic principles as an example of pluralistic criteriological analysis. Interestingly, though, Chisholm's principles, with one exception, are all prima facie principles: they all have epistemic qualifiers in their antecedents. In Theory of Knowledge (1989), Chisholm begins his list of ten epistemic principles (which he calls "material epistemic principles") with this one:

MP1    If the property of being F is self-presenting, if S is F, and if S believes himself to be F, then it is certain for S that he is F.

Assuming that the concepts of self-presentation and belief are nonnormative, MP1 would be an example of criteriological analysis, having a descriptive antecendent and an epistemic term in its consequent. However, Chisholm's second principle,

MP2    Accepting h tends to make h probable.

does not tell us what is probable, but only what is prima facie probable. And his third principle

MP3    If S accepts h and if h is not disconfirmed by S's total evidence, then h is probable for S

is similar to our principle P2a. Although it does provide us with a condition that entails the epistemic status of being probable, it specifies this condition using a concept of epistemic evaluation: that of a proposition's being disconfirmed by S's total evidence. The same holds for the remaining seven principles: they all contain epistemic concepts in their antecedents.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with the exception of MP1, Chisholm's principles are a version of epistemological pessimism.
<25> 위에서, 우리는 다원주의적인 규준적 분석의 일례로 인식 원칙들을 열거하려는 치셜의 기획을 언급하였다. 흥미롭게도, 그렇다 할지라도 치셜의 원칙들은 하나의 예외만을 두고 모두 직견적 원칙들이다. 그 원칙들은 모두 그것들의 전제들에 인식적 수식어구들을 가지고 있다. 『앎의 이론』(1989)에서 치셜은 열 가지 인식적 원칙들(그가 "질료적 인식 원칙들"이라 부르는)에 대한 그의 목록을 이와 같은 원칙을 가지고 시작한다.

MP1    만일 F임의 속성이 자기현전적이고, 만일 S가 F이며, 또한 만일 S가 그 자신을 F라고 믿는다면, S에게 그가 F임은 확실하다.

자기현전에 대한 개념과 믿음이 비규범적이라는 전제에서, MP1은 기술적 전제를 가지고 그 결론에서 인식적 용어를 가지는 규준적 분석의 일례일 것이다. 그렇지만 치셜의 두 번째 원칙,

MP2    h를 허용하는 것은 h를 개연적으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개연적인 것이 무엇인지 말해주지 않고, 오로지 무엇이 직견적으로 개연적인지만을 말해준다. 그리고 그의 세 번째 원칙,

MP3    만일 S가 h를 허용하고 또 만일 h가 S의 믿음 총체에 의해 거부되지 않는다면, h는 S에 대해 개연적이다

이것은 우리의 P2a 원칙과 유사하다. 비록 MP3가 우리에게 개연적임의 인식적 상태를 함의하는 조건을 제공한다 할지라도, 그것은 이 조건을 인식적 평가 개념을 사용하여 상술한다. 즉 S의 증거 총체에 의한 한 명제의 거부됨에 대한 개념을 사용한다. 동일한 점이 남은 일곱 가지 원칙들에 대해서도 지속된다. 즉 그것들은 모두 그 전제들에 인식적 개념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MP1을 예외로 하여 치셜의 원칙들은 인식론적 비관주의의 한 형태임이 드러날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