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k and Strong Supervenience
약한 수반성과 강한 수반성

1)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supervenience in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weak and strong supervenience. According to the weak version of the supervenience doctrine, it would be incoherent to say that your belief is justified, but another belief just like yours is not. Suppose a friend of yours joins you on your walk. She sees the dog, too, and thus believes, just as you do,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Let us suppose that her belief and your belief share all the relevant nonnormative characteristics. Given this assumption, it would be capricious to say that your belief is justified while hers is not, or vice versa. Given that the two beliefs are alike in all their relevant nonnormative features, either both are justified or neither is.
1) 인식론에서 수반성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 약한 수반성과 강한 수반성 사이에 구분을 지을 필요가 있다. 약한 형태의 수반 원칙에 따르자면, 당신의 믿음이 정당화되지만 당신의 믿음과 꼭 같은 다른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일관성이 없는 것일 터이다. 당신의 친구가 당신이 걷는 길에서 당신과 함께 한다고 생각해 보자. 그녀도 마찬가지로 그 개를 보고, 그래서 바로 당신이 믿는 것처럼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는다. 그녀의 믿음과 당신의 믿음이 모든 적절한 비규범적 특징들을 공유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전제를 고려하면, 당신의 믿음은 정당화되는 반면에 그녀의 믿음은 그렇지 않다거나 혹은 그 역이 성립한다고 말하는 건 변덕스러운 일이 될 것이다. 그 두 가지 믿음들이 그 믿음들의 적절한 비규범적 특징들에 있어서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해 보면, 둘 다 정당화되든지 혹은 둘 다 정당화되지 않는다.

2) This point can be stated by saying that epistemic judgments must be universalizable, which means that, when we judge a belief B to be justified, there must be a reason for doing so that is equally applicable to all beliefs that are just like B. In short, we must judge like beliefs alike; they must be either all justified or all unjustified. The doctrine of weak supervenience, then, expresses the requirement that epistemic judgments must be universalizable.<11> It asserts that if two beliefs are alike in their nonnormative properties, they must also be alike in epistemic satus - there can't be an epistemic difference without a corresponding nonepistemic difference.
2) 이 점은 인식적 판단들이 반드시 보편화가능적이어야만 한다고 말함으로써 진술될 수 있다. 그것은 즉 우리가 하나의 믿음 B를 정당화되는 것으로 판단할 때, 반드시 그렇게 하는 데에 대한 이유가 있어야만 하고 그 이유는 똑같이 B와 꼭 같은 모든 믿음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는 뜻이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닮은 믿음들을 똑같이 판단해야만 한다; 그러한 믿음들은 반드시 모두 정당화되든지 혹은 모두 정당화되지 않아야만 한다. 약한 수반 원칙은 그래서 인식적 판단들이 반드시 보편화가능적이어야만 한다는 조건을 표현한다.<11> 그 조건은 만일 두 믿음들이 그 믿음들의 비규범적 특성들에 있어서 유사하다면, 그 믿음들은 또한 반드시 인식적 상태에 있어서도 유사해야만 한다고 - 상응하는 비인식적 차이와 무관하게 인식적 차이는 있을 수 없다고 - 주장한다.

3) We will define the concept of weak supervenience as follows (letting J stand for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d N for the family of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on which J supervenes):<12>

Weak Supervenience
J weakly supervenes on N if and only if, necessarily, whenever a belief has property J, there is property P in N such that whenever a belief has P, it has J.

The concept of weak supervenience must be distinguished from the assertion of weak supervenience. Let the term "WS thesis" refer to the assertion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weakly supervenes on nonnormative properties. When we apply the WS thesis to our example of a justified belief, it tells us this: Given that your belief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is justified, there must be a nonnormative property (or set of properties) such that all beliefs having it are justified. Consequently, it can't be that two beliefs share this property, and yet one of them is justified while the other one is not. Put differently: There can't be a difference in epistemic status without a corresponding nonepistemic difference.
3) 우리는 약한 수반성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것이다 (J를 정당화된 것의 특성을 의미하도록 두고, N을 J가 그에 수반하는 비규범적 기본 특성들의 집단을 의미하도록 두면서):<12>

약한 수반성
J는 N에 약하게 수반한다 iff 필연적으로 한 믿음이 특성 J를 지닐 때에는 언제든, N 안에는 한 믿음이 P를 가지는 그 어느 때에든 그 믿음이 J를 가지는 특성 P가 있다.

약한 수반성의 개념은 반드시 약한 수반성의 주장과 구별되어야만 한다. "WS 명제"라는 용어를 정당화된 것의 특성이 비규범적 특성들에 약하게 수반한다는 주장을 말한다고 하자. 우리가 WS 명제를 정당화된 믿음에 대한 우리의 예시에 적용시킬 때, 그 명제는 우리에게 이와 같은 것을 말해준다. 즉 저기에 개가 있다는 당신의 믿음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반드시 비규범적 특징 (또는 일련의 특징들) 이, 그 특징을 가지는 그러한 모든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그러한 비규범적 특징이 있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두 믿음들이 이러한 특징을 공유하지만, 그런데도 그 믿음들 중 하나는 정당화되는 반면 나머지 하나는 그렇지 않을 수는 없다. 달리 말하자면, 상응하는 비인식적 차이 없이 인식적 상태의 차이는 있을 수 없다.

4) Some philosophers would argue that the WS thesis is too weak. They would maintain that although the WS thesis goes a long way toward providing us with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epistemic normativity, it falls short of satisfying a further important intuition about the nature of epistemic evaluation. This intuition will become clear if we digress into ethics. The ethical equivalent to the WS thesis asserts that, necessarily, whenever an act has a moral property M, there is a nonnormative property P such that any act having P has M. Let us apply this principle to Jeffrey Dahmer's horrible crimes: acts of kidnapping and killing boys and young men for the sake of gratifying a perverse lust for murder and domination. The ethical version of the WS thesis, expressing the requirement of universalizability, asserts that we must judge any act like that, irrespective of who commits it, in the same way we judge Jeffrey Dahmer's acts. However, it does not tell us how we must judge Jeffrey Dahmer's acts. Thus, if we were perverted enough to call his acts noble, and if we were to call noble all acts like his, then we would meet the requirement of universalizability. Philosophers who consider the ethical version of the WS thesis too weak would say, however, that surely we believe acts like Dahmer's are necessarily wicked, and thus could not possibly be noble. They would deny that there is a possible world in which someone commits acts like Dahmer's and does something noble. The WS thesis, however, allows for such a world. It merely tells us that if in any world W in which Dahmer's acts are noble, all like acts in W are noble as well.
4) 일부 철학자들은 WS 명제가 지나치게 약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그들은 WS 명제가 우리에게 인식적 규범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제공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된다 할지라도, 그 명제는 인식적 평가의 본성에 대한 더욱 중요한 직관을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이러한 직관은 만일 우리가 윤리학으로 말을 돌린다면 분명해질 것이다. WS 명제의 윤리학적 대응 명제는 다음과 같이 주장할 것이다. 필연적으로, 하나의 행위가 도덕적 특성 M을 지닐 때에는 언제라도, P를 가지는 어떤 행위이든 M을 가지는 그러한 비규범적 특성 P가 있다는 것이다. 이 원칙을 제프리 다머의 끔찍한 범죄들에 적용시켜 보도록 하자. 그 범죄들은 곧 살인과 지배에 대한 이상성욕의 충족을 위한 아동 및 청년 납치 살해 행위들이다. 보편화가능성 조건을 표현하는 WS 명제의 윤리학적 변형은 우리가 반드시 그와 같은 어떤 행위이든, 그 행위를 누가 저질렀든 상관 없이, 우리가 제프리 다머의 행위들을 판단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판단해야만 한다고 단언한다. 그렇지만, 그 명제는 우리에게 우리가 제프리 다머의 행위들을 어떻게 판단해야만 하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만일 우리가 그의 행위를 고결하다고 할 만큼 충분히 비뚤어졌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의 행위들과 유사한 모든 행위들을 고결하다고 부르게 된다면, 우리는 보편화가능성 조건을 충족시킬 것이다. 그렇지만 WS 명제의 윤리학적 변형이 지나치게 약하다고 고찰하는 철학자들은 확실히 우리가 다머의 행위들과 같은 행위들이 필연적으로 사악하다고 믿고, 그래서 고귀하다고 믿을 가능성은 있을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그들은 누군가 다머와 비슷한 일들을 저지르면서 어떤 고귀한 일을 하는 그러한 가능세계가 있다는 것을 부정할 것이다. 그렇지만 WS 명제는 그러한 세계를 허용한다. 그 명제는 단지 우리에게 만일 다머의 행위들이 고귀한 어떤 세계 W에서라면, W에서 그와 유사한 모든 행위들도 마찬가지로 고귀하다고 말해줄 따름이다.

5) In epistemology, the WS thesis raises a parallel problem. Consider again your and your friend's belief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The WS thesis tells us that if we call your belief justified, then we must call your friend's belief - and indeed all beliefs that are like your belief in their relevant features - justified. Likewise, it tells us that if we call your belief unjustified, then we must call your friend's belief unjustified, and indeed all beliefs that share their relevant nonnormative properties with your belief. The WS thesis does not tell us, however, that the beliefs in question, given their nonepistemic properties, must be justified. Rather, it allows for possible worlds in which such beliefs are unjustified. According to those who think the WS thesis is too weak, this is objectionable, for they take it that given the descriptive properties of these beliefs, they could not possibly be unjustified.
5) 인식론에서, WS 명제는 병렬문제를 일으킨다. 다시 한 번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는 당신의 믿음과 당신 친구의 믿음을 고찰해 보자. WS 명제는 우리에게 만일 우리가 당신의 믿음을 정당화된다 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당신 친구의 믿음 - 덧붙여서 그 관계된 특징들에 있어서 당신의 믿음과 유사한 모든 믿음들 - 도 정당화된다고 해야만 한다. 같은 방식으로, 그 명제는 우리에게 만일 우리가 당신의 믿음을 정당화되지 않는다고 말한다면, 우리는 반드시 당신 친구의 믿음도, 그리고 그 관계된 비규범적 특징들을 당신의 믿음과 공유하는 모든 믿음들도 정당화도지 않는다고 해야만 한다. 그렇지만 WS 명제는 우리에게 문제가 되는 믿음들이, 그 믿음들의 비인식적 특징들을 고려해 보면, 반드시 정당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 명제는 그러한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는 가능세계들을 허용한다. WS 명제가 지나치게 약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 따르면, 이 점은 반박가능한데, 왜냐하면 그들은 그 명제를 이러한 믿음들의 기술적 특징들을 고려해 보면, 그 믿음들이 정당화되지 않을 가능성은 있을 수 없다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6) If we wish to modify the definition of weak supervenience so as to ensure this result, we must add the modal operator "necessarily" before the last clause. Thus we get a special case of what Kim calls "strong supervenience":

Strong Supervenience
J strongly supervenes on N: necesarily, whenever a belief has property J, there is property P in N such that, necessarily, whenever a belief has P, it has J.

Let the term "SS thesis" stand for the claim that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trongly supervenes on nonnormative properties. The SS thesis tells us this: Whenever a belief is justified, there must be a nonnormative property that entails the property of justification. A belief that has this property could not possibly fail to be justified. Thus, if the SS thesis is true, there is no possible world in which a belief has the same nonnormative features as your belief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and yet is unjutified.
6) 만일 우리가 이러한 결과를 보증하도록 약한 수반성에 대한 정의를 수정하고자 바란다면, 우리는 반드시 서법 기능어 "필연적으로"를 마지막 절 앞에 덧붙여야만 한다. 그래서 우리는 김재권이 "강한 수반성"이라 부르는 것에 대한 특수한 사례를 얻는다.

강한 수반성
J는 강력하게 N에 수반한다. 즉 필연적으로, 하나의 믿음이 특성 J를 가지는 때라면 언제든, N 안에는, 필연적으로, 한 믿음이 P를 가진다면 언제든 그 믿음이 J를 가지는 그러한 속성 P가 있다.

"SS 명제"가 정당화된 것의 속성은 강력하게 비규범적 속성들에 수반한다는 주장을 뜻하도록 하자. SS 명제는 우리에게 이와 같은 것을 말해준다. 즉 한 믿음이 정당화되는 때라면 언제든, 반드시 정당화의 속성을 함의하는 비규범적 속성이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속성을 지니는 한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을 수 없다. 그래서, 만일 SS 명제가 참이라면, 한 믿음이 저기에 개 한 마리가 있다는 당신의 믿음처럼 동일한 비규범적 특성들 을 가지는데에도 정당화되지는 않는 어떠한 가능세계도 없다.

7) Consider again the ethical analogy. The ethical equivalent to the SS thesis, according to which moral properties strongly supervene on nonmoral properties, asserts that whenever an action has a moral property M, there must be a nonnormative property P that entails M. When we apply this thesis to the Jeffrey Dahmer example, it tells us that the wickendness of his acts supervenes on a nonnormative property that is a necessitating ground of wickedness. Put differently, the thesis that moral properties strongly supervene on natural properties tells us that there are no possible worlds in which acts like those committed by Jeffrey Dahmer fail to be wicked.
7) 다시 윤리학적 유추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SS 명제의 윤리학적 대응 명제, 그에 따르면 도덕적 특성들은 강력하게 무도덕적 특성들에 수반하는 그 대응 명제는 하나의 행위가 도덕적 특성 M을 가지는 때라면 언제든, 반드시 M을 함의하는 비규범적 특성 P가 있어야만 한다. 우리가 이 명제를 제프리 다머 사례에 적용할 때, 그 명제는 우리에게 그의 행위에 속하는 악함은 악함의 근거를 필연적으로 동반하는 것인 하나의 비규범적 특성에 수반한다고 말해준다. 달리 말하면, 도덕적 특성들이 강력하게 자연적 특성들에 수반한다는 그 명제는 우리에게 제프리 다머에 의해 저질러진 것과 같은 그러한 행위들이 사악하지 않은 어떠한 가능세계도 없다고 말해준다.

8) Back to epistemology: Let's consider the example involving your justified belief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Regarding that belief (let's call it B), the SS thesis asserts that the conjunction of its nonnormative properties entails that it is justified. There is no possible world in which a belief B* shares its descriptive characteristics with B and fails to be justified. Thus the SS thesis is considerably stronger than the WS thesis. Whereas the WS thesis merely asserts that in any possible world in which B is justified, all beliefs like it are justified, the SS thesis tells us that beliefs like B are justified in all possible worlds.
8) 인식론으로 되돌아 가서,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는 당신의 정당화된 믿음을 포함하는 사례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그 믿음(그 믿음을 B라고 부르도록 하자)과 관련하여, SS 명제는 그 믿음의 비규범적 특성들의 결합은 그 믿음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함의한다고 단언한다. 믿음 B*가 그 믿음의 기술적 특징들을 B와 공유하면서 정당화되지 않는 어떠한 가능 세계도 없다. 그래서 SS 명제는 WS 명제보다 상당히 더 강력하다. WS 명제가 단지 B가 정당화되는 어떠한 가능세계에서든, B와 비슷한 모든 믿음들은 정당화된다고만 주장하는 반면에, SS 명제는 우리에게 B와 같은 명제들은 모든 가능세계들에서 정당화된다고 말한다.


The Case for Strong Supervenience
강력한 수반성에 대한 사례

1) Should we accept the doctrine that a belief's justification supervenes on its nonnormative properties? If we were to reject this doctrine, then we would have to deny either the WS thesis or the SS thesis. Let us see what such denials would involve.
1) 우리는 한 믿음의 정당성이 그 믿음의 비규범적 특성들에 수반한다는 원칙을 허용하여야 하는가? 만일 우리가 이 원칙을 거절하게 된다면, 우리는 WS 명제나 SS 명제를 부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한 부정들이 수반할 것을 보도록 하자.

2) In order to discuss what it means to deny the WS thesis, consider again the example in which you and your friend see a dog run across the lawn, and thus both of you believe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We stipulated that this belief is a paradigm example of what we would consider a justified belief. We also stipulated that there is no relevant difference between your believing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and your friend's believing that there is a dog over there. According to the WS thesis, your belief's epistemic status of being justified must be accompanied by a nonnormative property P such that any belief having P is justified.
2) WS 명제를 부정한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를 논의하기 위해, 다시 당신과 당신 친구가 개 한 마리가 잔디밭을 가로질러 달려가는 것을 보고, 그래서 당신과 친구 모두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는 그 사례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우리는 이 믿음이 우리가 정당화된 믿음으로 여길 믿음의 전형적인 예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우리는 개 한 마리가 저기 있다는 당신의 믿음과 개 한 마리가 저기 있다는 당신 친구의 믿음 사이에 어떠한 관련된 차이점도 없다고 규정하였다. WS 명제에 따르면, 정당화됨에 대한 당신 믿음의 인식적 상태는 반드시 P를 가진 어떠한 믿음이든 정당화되는 그러한 비규범적 특성 P에 의해 동반되어야만 한다.

3) This calim can be attacked in two ways. First, it might be asserted that it's possible that your belief is justified while your friend's is not, and vice versa. But if that were possible, then it would be possible for two beliefs to differ in epistemic status for no reason whatever. If we were to ask, Why do they differ in epistemic status? there would be no other answer than: Well, they just do. Certainly this would not be a very appealing view of epistemic normativity.
3) 이러한 주장은 두 가지 방식으로 반격받을 수 있다. 첫째로, 아마도 당신의 믿음이 정당화되는 반면 당신 친구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는, 그리고 그 역이 성립하는 가능성이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두 믿음들이 무엇이 되었든 아무런 이유도 없이 인식적 상태에 있어서 상이하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만일 우리가 어째서 그 믿음들이 인식적 상태에 있어서 상이한지 묻게 된다면 "네, 그것들이 그냥 그렇네요."라는 대답 외에 다른 어떠한 대답도 없을 것이다. 확실히 이것은 그렇게 호소력 있는 인식적 규범성에 대한 관점은 아닐 것이다.

4) Second, the WS thesis might be attacked by asserting that while a difference in epistemic status requires a nonepitsemic difference, this difference need not be nonnormative. For example, it could be argued that differences in epistemic status are grounded in differences in moral status. The problem with this suggetion is that a difference in moral status, being a normative difference itself, is just as much in need of an explanation as the difference in epistemic status it is supposed to explain. Ultimately, we are seeking a nonnormative difference that explains the difference in epistemic status. We must conclude, therefore, that there are good reasons for endorsing a supervenience thesis that is at least as strong as the WS thesis.
4) 둘째로, WS 명제는 인식적 상태에서의 상이성이 비인식적 상이성을 요청하고, 이 상이성은 비규범적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반격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식적 상태에 있어서의 상이성들이 도덕적 상태에 있어서의 상이성들에 기초된다고 주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안과 관련된 문제는 도덕적 상태에 있어서의 차이, 그 자체로 규범적 차이인 그것이 바로 설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인식적 상태에 있어서의 차이만큼이나 설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궁극적으로, 우리는 인식적 상태에 있어서의 차이를 설명하는 비규범적 차이를 추구하고 있다. 우리는 그러므로 최소한 WS 명제 만큼은 강한 수반성 명제를 지지하기 위한 훌륭한 이유들이 있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5) Let us now see what is involved in denying the SS thesis. If we were to accept the WS thesis, but not the SS thesis, then we would have to accept that there are pairs of possible worlds W1 and W2 such that although there are no relevant nonnormative differences between them,

(i) all beliefs that are justified in W1 are unjustified in W2;
(ii) in W1, all beliefs are jutified, while in W2 all beliefs are unjustified;
(iii) in W1, all beliefs formed in the hour of 12:00 to 1:00 p.m., and no other beliefs, are justified, while in W2 all beliefs formed in the hour of 12:00 to 1:00 p.m., and no other beliefs, are unjustified.

Advocates of the SS thesis would say that such possibilities are absurd: there are no possible wordls that correspond to these descriptions. The WS thesis, However, allows for such worlds, for the WS thesis does not demand that the nonepistemic property on which a belief's justification supervenes be such that it entail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Consequently, the WS thesis permits possible worlds in which epistemic properties are linked to nonepistemic properties in the most bizarre ways.<13>
5) 이제 SS 명제를 부정함에 있어서 수반되는 것을 살펴 보도록 하자. 만일 우리가 WS 명제를 허용하지만, SS 명제는 허용하지 않게 된다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능 세계들 W1과 W2의 한 쌍이 있다는 것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그 두 세계들은 비록 관련된 비규범적 차이들이 그 세계들 사이에 없다 할지라도,

(i) W1에서 정당화되는 모든 믿음들은 W2에서 정당화되지 않고,
(ii) W1에서 모든 믿음들이 정당화되는 반면 W2에서 모든 믿음들은 정당화되지 않으며,
(iii) W1에서는 다른 어떠한 믿음들도 아니라 정오부터 오후 1시 안에 형성된 모든 믿음들만 정당화되는 반면, W2에서는 다른 어떠한 믿음들도 아니라 정오부터 오후 1시 안에 형성된 모든 믿음들만 정당화되지 않는다.

SS 명제의 지지자들은 그러한 가능성들이 부조리하다고 말할 것이다. 즉 이러한 기술들에 부합하는 어떠한 가능세계들도 없다고 말할 것이다. 그렇지만 WS 명제는 그러한 세계들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WS 명제는 한 믿음의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그러한 비인식적 특성이 정당화됨의 특성을 함의하는 그러한 것이기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WS 명제는 인식적 특성들이 가장 기이한 방식들로 비인식적 특성들과 결부되는 그러한 가능세계들을 허용한다.<13>

6) Opponents of the SS thesis might wonder whether we shouldn't concede that there are possible wordls as bizarre as those mentioned above. Such worlds are certainly crazy, but why should that mean they don't exist? The weakness of this objection becomes apparent as soon as we expand our view to include morality. If we were to assert that moral properties supervene only weakly on nonnormative properties, then we would have to accept that there are pairs of possible wordls W1 and W2 such that although there are no relevant nonnormative differences between them,

(i) all acts that are right in W1 are wrong in W2;
(ii) in W1, all acts (no matter how cruel) are right, while in W2, all acts (no matter how beneficent) are wrong;
(iii) in W1, all acts performed in the hour of 12:00 to 1:00 p.m., and no other acts, are right, while in W2 all acts performed in the hour of 12:00 to 1:00 p.m., and no other acts, are wrong.

Anyone who denies strong supervenience for moral properties must be prepared to assert that it is possible for an act of unspeakable cruelty to be right simply because it was performed during the hour between 12:00 and 1:00 p.m. Such an assertion, however, seems absurd. The property of being performed in the hour between 12:00 and 1:00 p.m. is not a right-making characteristic: it is not possible for such an act to be right simply because it was performed at that time. If, however, we are prepared to accept, on the basis of such considerations, that moral properties strongly supervene on nonnormative properties, it would seem to follow that we should accept the strong supervenience thesis for epistemic properties as well.
6) SS 명제의 반대자들은 우리가 위에서 언급한 것들 만큼이나 기괴한 가능 세계들이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지 궁금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세계들은 확실히 말도 안 되지만, 어째서 그게 그 세계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 되는가? 이 반박의 약점은 우리가 우리의 관점을 도덕성을 포함하는 데에까지 확장시키자마자 명백해진다. 만일 우리가 도덕적 특성들이 오로지 약하게만 비규범적 특성들에 수반한다고 주장하게 된다면, 우리는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능 세계들 W1과 W2의 한 쌍이 있다는 것을 허용해야 할 것이다. 그 두 세계들은 비록 관련된 비규범적 차이들이 그 세계들 사이에 없다 할지라도,

(i) W1에서 옳은 모든 행위들은 W2에서 그르고,
(ii) W1에서 모든 행위들은(얼마나 잔인한지는 상관 없이) 옳은 반면, W2에서 모든 행위들은(얼마나 유익한지와 무관하게) 그르며,
(iii) W1에서는 다른 어떠한 행위들도 아니라 정오부터 오후 1시 안에 수행된 모든 행위들만 옳은 반면, W2에서는 다른 어떠한 행위들도 아니라 정오부터 오후 1시 안에 수행된 모든 행위들만 그르다.

도덕적 특성들에 대한 강한 수반성을 부정하는 누구든지 이루 말할 수 없는 잔학행위에 속하는 행위가 단순히 정오와 오후 1시 사이 시간 안에 수행되었기 때문에 옳은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단언은 부조리한 듯하다. 정오와 오후 1시 사이 시간 안에 수행되었음의 속성은 옳게 만드는 특징이 아니다. 즉 단순히 그 행위가 그 시간에 수행되었기 때문만으로 그러한 한 행위가 옳은 것일 가능성은 없다. 그렇지만 만일 그러한 고찰들을 기초로 하여 도덕적 속성들이 비규범적 속성들에 강력하게 수반한다는 것을 허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면, 우리가 인식적 속성들에 대한 강한 수반성 명제 또한 허용해야 할 것이라는 점이 뒤따를 것으로 보일 것이다.


Analytical Monism and Pluralism
분석적 일원론과 다원론

1) If we agree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supervenes on certain of its nonnormative properties, obviously we would like to know what these properties are. Thus if we accept the supervenience doctrine, we have a good reason to conceive of the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the way Alvin Godman suggests in the passage cited earlier: as the task of specifying the nonnormative properties that are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epistemic justification.<14> Such a project can be carried out in two ways. First, it might be argued that there is one, and only one, nonevaluative property on which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supervenes. Second, it might be argued that there are many such properties. We shall call examples of the first approach "monistic" theories, and examples of the second "pluralistic" theories.
1) 만일 우리가 한 믿음의 인식적 상태는 그 믿음의 비규범적 속성들 중 어떤 것들에 수반한다는 데에 동의한다면, 분명히 우리는 이러한 속성들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할 것이다. 따라서 만일 우리가 수반 원칙을 허용한다면, 우리는 앞서 인용된 구절에서 앨빈 골드만이 제안한 방식으로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분석을 염두에 둘 훌륭한 이유를 가진다. 즉 인식적 정당성의 필요충분조건인 비규범적 특성들을 상술하는 과업으로서 말이다.<14> 그러한 하나의 기획은 두 가지 방식으로 완수될 수 있다. 첫째로, 정당화됨의 속성이 그에 수반하는 한 가지의 유일한 비평가적 속성이 있다고 주장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그러한 여러 특성들이 있다고 주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처 번째 접근방식의 예들을 "일원론적" 이론들이라 부를 것이고, 두 번째에 속하는 예들을 "다원론적" 이론들이라 부를 것이다.

2) In ethic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types of theories is nicely illustrated by utilitarianism, on the one hand, and W.D. Ross's theory of prima facie duties, on the other.<15> As G.E. Moore aptly puts it, utilitarianism is an answer to the following question: "What charateristic is there which belongs to all voluntary actions which are right, and only to those among them which are right?"<16> According to utilitarianism, the characteristic in question is the maximization of utility. Utilitarians believe that there is one unique property all right acts have in common: that of maximizing utility.<17> W.E. Ross, however, rejects the idea that there is just one "right-making" characteristic; he believes that there are many diffrenct ones - gratitude, justice, and beneficence, for example.
2) 윤리학에 있어서,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이론들 사이에서의 차이는 한편으로 실용주의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W.D. 로스의 직견적 의무들에 대한 이론에 의해 훌륭하게 설명된다.<15> G.E. 무어가 적절히 풀이하였듯, 실용주의는 다음 물음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다. "모든 옳은 자발적 행위들에 속하는, 그리고 오로지 그 행위들 중에서 옳은 그러한 행위들에만 속하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16> 실용주의에 따르자면, 문제시되는 특징은 공리의 최대화이다. 실용주의자들은 모든 옳은 행위들이 공통으로 지니는 하나의 유일한 특성이 있다고 믿는다.<17> 그렇지만 W.E. 로스는 단지 하나의 "옳게 만드는" 특징만이 있다는 생각을 거부한다. 그는 여러 상이한 특징들이 - 예를 들어 감사, 정의, 그리고 유익성 - 있다고 믿는다.

3) In epistemology, a prominent example of the monistic approach is reliabilism, according to which there is one unique nonnormative property that makes beliefs justified: the property of being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18> Reliabilism, in its simplest form, asserts the following:

SR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s belief that p is produced by a reliable cognitive process.

Roderick Chisholm champions the pluralistic approach. According to him, the project of analyzing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must be carried out by producing a list of epistemic principles.<19> An epistemic principle is a conditional that (i) is supposed to express an entailment and (ii) may not contain any normative terms in the antecedent. Thus the antecedent of an epistemic principle is meant to state a nonnormative base property that entails the property of being justified. Any belief having such a property would be a justified belief.
3) 인식론에 있어서, 일원론적 접근법의 중요한 예는 신빙론이다. 그에 따르면 믿음들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하나의 유일한 비규범적 특성이 있다. 그것은 즉 신뢰할 만한 인식 과정에 의해 산출되었음의 속성이다.<18> 가장 단순한 형태로서 보자면 신빙론은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

SR      S는 p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S의 p라는 믿음은 믿을 만한 인식 과정에 의해 산출된다.

Roderick Chisholm은 다원론적 접근법을 옹호한다. 그에 따르면, 정당화의 개념을 분석하는 기획은 인식 원칙들의 목록을 산출함으로써 수행되어야만 한다.<19> 인식 원칙은 (i) 수반을 설명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ii) 전제 안에 어떠한 규범적 용어들도 포함하지 않을 하나의 조건문이다. 그래서 인식 원칙의 전제는 정당화됨의 속성을 함의하는 비규범적 기본 속성을 진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속성을 지닌 어떠한 믿음이든 정당화된 믿음일 것이다.

4) Consider the following three nonnormative base properties - being grounded in (i) introspection, (ii) perception, and (iii) memory - and assume that these are just some among many properties on which epistemic justification supervenes. The following is a simplified version of a criteriological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P1    If a belief is grounded in introspection, then it is justified.
P2    If a belief is grounded in perception, then it is justified.
P3    If a belief is grounded in memory, then it is justified.

We shall refer to this analysis as a "Chisholm-type" analysis because it is a simplified model of the kind of theory Chisholm has proposed. Now since none of these three base properties on our list entails the property of justification, P1-P3 are all false. However, here we are not concerned with which principles are correct, but only with how the monistic and the pluralistic approaches differ from each other, and what they have in common.
4) 다음 세 가지 비규범적 기본 속성들을 - (i) 내성, (ii) 지각, 그리고 (iii) 기억에 기초된 - 고찰하고 이러한 속성들이 인식적 정당성이 그에 수반하는 여러 속성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라고 생각하도록 하자. 다음은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규준적 분석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P1    만일 한 믿음이 내성에 기초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P2    만일 한 믿음이 지각에 기초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P3    만일 한 믿음이 기억에 기초된다면, 그 믿음은 정당화된다.

우리는 이러한 분석을 "치셜-유형" 분석으로 언명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 분석이 치셜이 제안하였던 그러한 종류의 이론의 단순화된 모형이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의 목록에서 이러한 세 가지 기본 속성들 중 어느 것도 정당화의 속성을 함의하지 않으므로, P1에서 P3까지는 모두 거짓이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우리는 어떤 원칙들이 맞는지가 아니라, 오로지 어떻게 일원론적 접근법과 다원론적 접근법이 서로 다른지, 그리고 그 접근법들이 무엇을 공통으로 지니는지에만 관심을 가진다.

5) The chief difference between our simplified Chisholm-type list of epistemic principles and a monistic analysis such as SR is this: According to SR, there is one, and only one, nonevaluative property. According to the Chisholm-type list, however, there are three. Furthermore, SR tells us both what is sufficient and what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Our Chisholm-type list provides us with three properties that are sufficient for justification, but it doesn't tell us what is necessary for it. After all, a belief might be justified because it has a property that is not on the list. It does not, therefore, amount to an equivalence.
5) 인식 원칙들에 대한 우리의 단순화된 치셜-유형 목록과 SR과 같은 그런 일원론적 분석 사이의 주된 차이는 이것이다. 즉 SR에 따르면 하나의 유일한 비평가적 속성이 있다. 그렇지만 치셜-유형 목록에 따르면 세 가지가 있다. 더 나아가서, SR은 우리에게 정당성에 대해 무엇이 필요조건이고 무엇이 충분조건인지 둘 모두를 말해준다. 우리의 치셜-유형 목록은 우리에게 정당성에 대한 충분조건인 세 가지 속성들을 제공하지만, 무엇이 정당성에 대한 필요조건인지는 말해주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하나의 믿음은 그 믿음이 그 목록에 없는 속성을 지니기 때문에 정당화될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동치가 되지 않는다.

6) Suppose, however, that besides the three base properties we introduced above, there are no other properties on which justification supervenes. In that case, our list would tell us both what is sufficient and what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 and we could state the criteriological analysis of justification expressed by P1-P3 in the form of a biconditional:<20>

CA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S's belief that p is grounded in either introspection, perception, or memory.

As a matter of fact, Chisholm does not aspire to state a complete list; he does not intend to make a claim about what is necessary for justification.<21> His analysis, therefore, falls short of asserting what epistemic justification is equivalent to.<22>
6) 그렇지만 우리가 위에서 소개하였던 세 가지 기본 속성들 이외에, 정당화가 그에 수반하는 다른 어떠한 속성들도 없다고 생각해 보자. 그 경우, 우리의 목록은 우리에게 정당성의 필요충분조건을 말해줄 것이고, 우리는 P-1에서 P3까지에 의해 쌍조건문 형식으로 표현된 정당성에 대한 규준적 분석을 진술할 수 있을 것이다.<20>

CA    S는 p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iff S의 p라는 믿음은 내성, 지각, 또는 기억에 기초된다.

사실상, 치셜이 완전한 목록을 진술하고자 열망하지는 않는다. 그는 무엇이 정당성의 필요조건인지에 대한 주장을 형성하고자 의도하지 않는다.<21> 그러므로 그의 분석은 무엇에 대해 인식적 정당성이 동치인지 단언하기에는 부족하다.<22>

7) Some philosophers object to the project of criteriological analysis because they think that the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ought to avoid what has been called the "scatter problem." Suppose CA is true: being grounded in introspection, perception, or memory are the three nonnormative properties that makes beliefs justified. Critics of analytical pluralism would argue that it is unsatisfactory to list several distinct properties as entailing grounds of epistemic justification without being able to say what these three properties have in common or what unites them.<23>
7) 일부 철학자들은 규준적 분석의 기획에 반대하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분석은 "산란 문제"라 불려온 것을 피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CA가 참이라고 생각해 보자. 내성, 지각, 혹은 기억에 기초됨은 믿음들을 정당화되도록 만드는 세 가지 비규범적 속성들이다. 분석적 다원주의에 대한 비판자들은 각각의 구별되는 속성들을 이러한 세 가지 속성들이 공통으로 지니는 어떤 것 또는 그것들을 통합시키는 어떤 것을 말할 수 있도록 함이 없이 인식적 정당성에 대한 수반하는 근거들로서 열거하는 것은 불충분하다고 주장할 것이다.<23>

8) Why, however, should we assume that there i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is shared by all instances of justified belief? There is no obvious reason in support of this assumption. Of course, the existence of such a property could be established by demonstraing the truth of a particular monistic analysis. For example, if reliabilism could be proven true, then we could know that perceptual, introspection, and memorial beliefs are ultimately justified, not because they are grounded in perception, introspection, or memory, but rather because they are reliably produced.
8) 그렇지만, 어째서 우리가 정당화된 믿음의 모든 사례들에 의해 공유되는 하나의 유일한 특징이 있다고 생각해야 하는가?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하는 아무런 명백한 근거도 없다. 물론, 그러한 속성의 현존은 특수한 일원론적 분석의 진리를 증명함으로써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일 신빙론이 참으로 입증될 수 있다면, 우리는 지각적, 내성적, 그리고 기억에 의한 믿음들이 궁극적으로 정당화되며, 그 까닭은 그 믿음들이 지각, 내성, 또는 기억에 기초되기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그 믿음들이 믿을 만하게 산출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9) What, however, if no monistic theory from among the various competing analyses proposed emerges as the clear winner? In that case, we may suspect that the advocates of analytical monism have set their expectations too high. And as a matter of fact,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no undisputed monistic theory has emerged. Perhaps, then, to assume that there is one unique base property, without having at hand a theory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such a property, is to be unduly optimistic about what criteriological analysis can achieve. Indeed, it is quite optimistic even to assume that a Chisholm-type pluralistic analysis of justification can be found, as we shall see in the next two sections.
9) 그렇지만 제안된 다양한 경쟁적 분석들 중으로부터 만일 어떠한 일원론적 이론도 명백한 승리자로 등장하지 않는다면 어찌 되는가? 그 경우, 우리는 분석적 일원론의 지지자들이 그들의 기대를 지나치게 높게 가진 것은 아닌지 의심할 것이다. 그래서 아마도 하나의 유일한 기본 속성이, 수중에 그러한 속성의 현존을 증명할 이론도 없이, 있다고 상정하는 것은 규준적 분석이 성취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인 것일 터이다. 덧붙여서, 정당성에 대한 치셜-유형의 다원론적 분석이 발견될 수 있으리라는 추정조차 꽤나 낙관적인 것이다. 우리가 다음 두 절들에서 보게 될 것처럼 말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