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ual Analysis


1) In many cases, when we attempt to solve a philosophical problem, we try to analyze what a certain concept means. For example, the question

What is a person?
What is a cause?
Waht is an action?
What is knowledge?

call for the analysis of concepts. Concepts, however, can be simple or complex. While a complex concept can be analyzed by uncovering its constituent elements, no such thing can be done with a simple concept. Rather, in order to convey what we mean by a simple concept, we can do no more than give a definition by relating it to other concepts that we take to mean the same thing. We shall, therefore, distinguish between (i) defining a simple concept by stating synonyms and (ii) defining (or analyzing) a complex concept by breaking it down into its constituent elements.
1) 많은 경우들에서, 우리가 철학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시도할 때, 우리는 특정한 개념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석하고자 노력한다. 예를 들어

인간이란 무엇인가?
원인이란 무엇인가?
행위란 무엇인가?
앎이란 무엇인가?

이런 물음들을 개념들에 대한 분석이라 부른다. 그렇지만 개념들은 단순하거나 복잡할 수 있다. 복잡한 개념은 그 개념의 구성 요소들을 밝혀냄으로써 분석될 수 있는 반면, 단순한 개념을 가지고는 그러한 어떤 것도 수행될 수 없다. 오히려, 우리가 단순한 개념으로 의미하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우리는 그 개념을 우리가 똑같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치는 다른 개념들에 관련시킴으로써 정의를 내리는 것 이외에 다른 무엇도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i) 동의어들을 진술함으로써 다순한 개념을 정의하는 일과 (ii) 구성 요소들로 분해함으로써 복잡한 개념을 정의(또는 분석)하는 일 사이에 구분을 지을 것이다.

2) The concept of necessity, for example, is a simple one. A conceptual analysis of it, in the sense of identifying its constituent elements, cannot be given. However, we can define what we mean by the concept of necessity by relating it to the concept of possiblity. We can define the concept of a necessary proposition by saying this: A proposition is necessary if and only if it is not possible for it to be false. A parallel point can be made regarding the concept of possiblity. Since it cannot be broken down into constituent elements, we cannot give an analysis of it. We can, however, define a possible proposition by saying that a proposition is possibly true if and only if it is not necessarily false.
2) 예를 들어 필연성의 개념은 단순한 개념이다. 그 구성요소들을 규정한다는 의미에서 그 개념에 대한 개념적 분석은 제시될 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우리가 필연성이라는 개념으로 의미하는 것을 그 개념을 가능성의 개념에 관련시킴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우리는 필연 명제의 개념을 이와 같이 말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한 명제는 필연적이다 iff 그 명제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 가능성의 개념을 고려하는 데에 같은 점이 지적될 수 있다. 그 개념은 구성 요소들로 분해될 수 없으므로, 우리는 그 개념에 대한 분석을 제시할 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가능 명제를 한 명제가 가능적으로 참이다 iff 그 명제가 필연적으로 거짓은 아니다라고 말함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3) Another example of a simple concept is that of moral rightness. Rightness does not have any constituent parts, and therefore is not accessible to conceptual analysis. However, we can define the concept of rightness by relating it to other normative concepts. For example, we may say this: Doing x is morally right if and only if it is not morally obligatory to refrain from doing x. And the concept of obligation can in turn be defined by the concept of permissibility: Doing x is obligatory if and only if refraining from doing x is not permissible.
3) 단순한 개념에 대한 또 다른 예는 도덕적 옳음에 대한 개념이다. 옳음은 어떠한 구성 부분들도 가지지 않으며, 그러므로 개념적 분석이 허용될 수 없다. 그렇지만, 우리는 옮음의 개념을 그 개념을 다른 규범적인 개념들과 관련시킴으로써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이렇게 말할 것이다. x를 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다 iff x를 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 도덕적 의무가 아니다. 그리고 의무의 개념은 다시 허용가능성의 개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x를 하는 것은 의무이다 iff x를 하는 것을 그만두는 것이 허용가능하지 않다.

4) Unlike simple concepts, complex concepts have parts that are constitutive of their meaning. Thus, in order to convey what we mean by a complex concept, we can analyze its constituent elements. For example, the concept of a mother is complex: it contains the two constituents "being female" and "having at least one child." In order to formulate an analysis of that concept, we can put down a biconditional of the following form:

Sample Analysis #1
For every x, x is a mother if and only if (i) x is female and (ii) x has at least one child.

We shall call the left-hand side of an analysis the analysandum (that which needs to be analyzed) and the right-hand side the analysans (that which does the analyzing). For an analysis to be correct, the analysans must specify conditions that are individually necessary and jointly sufficient for the analysandum. Our sample analysis does just that. The two conditions it lists are individually necessary: a person can't be a mother without being female, and a person can't be a mother without having at least one child. Furthermore, the two conditions it lists are jointly sufficient: whoever satisfies both (i) and (ii) is a mother.
4) 단순 개념들과 달리, 복합 개념들은 그 개념들의 의미에 대해 구성적인 부분들을 가진다. 그래서, 우리가 한 복합 개념으로 의미하는 바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는 그 개념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머니의 개념은 복합적이다. 즉 그 개념은 두 가지 구성요소들인 "여성임"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식을 가짐"을 함의한다. 그 개념에 대한 분석을 정식화하기 위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형식의 쌍조건문을 내놓을 수 있다.

단순 분석 #1
모든 x에 대해서, x는 어머니이다 iff (i) x는 여성이고 (ii) x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식을 가진다.

우리는 왼편의 분석을 피분석항(분석될 필요가 있는 것)이라 부르고 오른편을 가분석항(분석을 행하는 것)이라 부를 것이다. 옳은 분석에 대해서, 가분석항은 반드시 피분석항에 대해 개별적으로 필요조건이며 공통적으로 충분조건인 조건들을 상술하여야만 한다. 우리의 분석 사례는 바로 그것을 수행한다. 그 분석 사례가 열거한 두 가지 조건들은 개별적으로 필요조건이다. 즉 한 사람이 여성이지 않고 어머니일 수 없으며, 한 사람이 하나 이상의 아이를 가지지 않고 어머니일 수 없다. 더 나아가, 그 분석이 열거하는 두 가지 조건들은 공통적으로 충분조건이다. 즉 (i)과 (ii)를 모두 만족시키는 그 누구든지 어머니이다.

5) The same point can be made by saying that for an analysis to be correct, the analysandum must entail each of the conditions in the analysans, and the analysans must entail the analysandum. Again, our sample analysis satisfies this requirement. The concept of a mother entails "being female" as well as "having at least one child," and these two concepts taken together entail "being a mother." In short, then, a correct analysis is one in which the analysandum and analysans entail each other - that is, are equivalent, or necessarily coextensive. Thus if an analysis is correct, there is no possible world in which an object is an instance of the analysans but fails to satisfy the conditions stated in the analysans, and vice versa. The following two analyses do not satisfy this requirement.

Sample Analysis #2
For all x, x is a mother if and only if (i) x has at least one child.

Sample Analysis #3
For all x, x is a mother if and only if (i) x is female and (ii) x has at least one son.

Our second sample analysis fails because the analysandum does not entail the analysans, for there is a counterexmple: a person who has at least one child but is not a mother - that is, a person who is a father. This means the analysis is too broad; it includes too much. In contrast, the third sample analysis is too narrow; it excludes too much. Although its analysans implies the analysandum, it is not the case that the analysandum implies the analysans. That this is so can again be illustrated with a counterexample: a mother who does not satisfy condition (ii) - that is, a mother who has one or several daughters, but no sons. A general requirement for an analysis of a concept, then, is that there be no counterexamples to it, which is the case if and only if it is neither too broad nor too narrow.
5) 동일한 점이 분석이 옳다고 말함으로써 지적될 수 있다, 피분석항은 반드시 가분석항에서 각각의 조건들을 함의해야만 하고, 가분석항은 반드시 피분석항을 함의해야만 한다. 다시, 우리의 분석 사례는 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 어머니의 개념은 "여성임"뿐만 아니라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아이를 가짐"도 함의하고, 이러한 두 개념들은 합쳐서 "어머니임"을 함의한다. 그래서 짧게 말해 옳은 분석은 그 안에서 피분석항과 가분석항이 상호 함의하는 것이다 - 즉, 동치, 또는 필연적 동연인 것이다. 그래서 만일 하나의 분석이 옳다면, 그 안에서 한 대상이 가분석항의 사례이지만 가분석항에서 진술된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데에는 실패하는, 또 그 역이 성립하는 그러한 가능세계는 아무것도 없다. 다음 두 가지 분석들은 이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다.

분석 사례 #2
모든 x에 대해서, x는 어머니이다 iff (i) x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식을 가진다.

분석 사례 #3
모든 x에 대해서, x는 어머니이다 iff (i) x는 여성이고 (ii) x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아들을 가진다.

우리의 두 번째 분석 사례는 실패하는데 왜냐하면 피분석항이 가분석항을 함의하지 않기 때문이며, 왜냐하면 반례가 있기 때문이다. 즉 최소한 하나 이상의 자식을 가지지만 어머니가 아닌 사람 - 즉, 아버지라는 반례가 있다. 이것은 그 분석이 너무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그것은 너무 많은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세 번째 분석 사례는 너무 좁다. 즉 너무 많은 것을 배제시킨다. 그 사례의 가분석항이 피분석항을 함축한다 할지라도, 그 사례는 피분석항이 가분석항을 함축하는 경우가 아니다. 이것이 그렇다는 것은 다시 반례를 가지고 설명될 수 있다. 그 반례는 조건 (ii)를 만족시키지 않는 어머니 - 즉, 하나 혹은 여러 딸들을 가졌지만 아들들은 전혀 없는 어머니이다. 개념 분석에 대한 일반적 요구조건은 그래서 그 분석에 대한 어떠한 반례들도 없다는 것이며, 그 분석은 너무 넓지도 너무 좁지도 않다면 또한 오직 그러한 때에만 그러한 경우이다.

6) The point of the last paragraph can be restated as follows: For an analysis to be correct, the analysandum and the analysans must be equivalent, or necessarily coextensive. It would be a mistake to think, however, that any biconditional relating two equivalent concepts amounts to an analysis. For example, the following analysis

Sample Analysis #4
For all x, x is a mother if and only if x is a mother of at least one child

meets the equivalence requirement. Nevertheless, it fails because it is circular: the concept that needs to be analyzed occurs in the analysans. For an analysis to be successful, it must be illuminating, which it cannot be if it is circular. An analysis also fails to be illuminating if the concept used in the analysans is as much in need of analysis as the analysandum itself. For example, the following analysis

Sample Analysis #5
For all x, x is a triangle if and only if x is three-sided

does not admit of any counterexamples, for triangularity and three-sidedness are necessarily coextensive concepts. Nevertheless, it fails to be illuminating because when we are told that all triangles are three-sided and vice versa, we are not really being told a triangle is.(?)
6) 마지막 문단의 요점은 다음과 같이 재진술될 수 있다. 분석이 옳은 것이기 위해서, 피분석항과 가분석항은 반드시 동치 또는 필연적 동연이어야만 한다. 그렇지만 동치 개념들과 관련된 어떠한 쌍조건문이든 분석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실수일 것이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분석,

분석 사례 #4
모든 x에 대해서, x는 어머니이다 iff x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아이의 어머니이다

같은 것은 동치 필요조건을 충족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실패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순환적이기 때문이다. 즉 분석될 필요가 있는 개념이 가분석항에서 발생한다. 분석이 성공하기 위해, 그 분석은 반드시 이해를 돕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 분석이 순환적이라면 이해를 도울 수 없다. 또한 하나의 분석은 만일 가분석항에서 사용된 개념이 피분석항 자체만큼 분석을 필요로 한다면 이해를 도울 수 없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분석

분석 사례 #5
모든 x에 대해서, x는 삼각형이다 iff x는 세 변을 가진 도형이다

이런 분석은 어떤 반례들도 허용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삼각형과 세 변 도형임은 필연적으로 동연 개념들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분석은 해명에 실패하는데 왜냐하면 우리가 모든 삼각형은 세변도형이고 그 역도 성립한다고 말할 때, 우리는 실제로 삼각형을 말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Criteriological Analysis
규준적 분석

1) A definition of a simple concept conveys that concept's meaning by relating it to other concepts. An analysis of a complex concept conveys that concept's meaning by beaking it down into its constitutive elements. In this section, we shall see that when we are concerned with evaluative (or normative) concepts, there is yet another type of analysis.
1) 단순 개념에 대한 정의는 그 개념의 의미를 그 개념을 다른 개념들에 관련시킴으로써 전달한다. 복합 개념에 대한 분석은 그 개념의 의미를 그 개념을 그 개념의 구성 요소들로 분해함으로써 전달한다. 이 절에서, 우리는 우리가 평가적 (혹은 규범적) 개념들과 관련하게 될 것이지만, 또 다른 유형의 분석이 있지는 않다.

2) When nonevaluative concepts are applied to an object, nothing is asserted to the effect that there is some way in which that object is good or bad, worthy of our praise, or just the way it ought to be. In contrast, when evaluative concepts are applied to an object, the object is being evaluated as in some respect good or bad, as being, or not being, the way it ought to be. In ethics, some central evaluative concepts, to be applied to human acts, are: obligatory, permissible, right, forbidden. And in epistemology, some central evaluative concepts, to be applied to either beliefs or propositions, are: justified, certain, probable, reasonable, evident, unreasonable, improbable, doubtful, unjustified.<5>
2) 평가적이지 않은 개념들이 대상에 적용될 때, 그 방식에서 대상이 좋거나 나쁜, 혹은 우리의 칭찬을 받을 가치가 있는, 또는 그 대상이 따라야만 하는 방식대로인 어떤 방식이 있다는 결과를 단언하게 되는 아무것도 없다. 반대로, 평가적 개념들이 대상에 적용될 때에는, 그 대상은 어떤 면에서 좋거나 나쁜 것으로, 그 대상이 따라야 하는 방식대로인 것, 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서 평가되는 것이다. 윤리학에서, 인간 행위들에 적용될 일부 중심적인 평가적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의무, 허용가능, 옳음, 금지. 그리고 인식론에서 믿음들이나 명제들에 적용될 일부 중심적인 평가적 개념들은 다음과 같다. 정당화됨, 확실함, 가능함, 타당함, 증거, 부당함, 불가능함, 의심스러움, 정당화되지 않음.<5>

3) What matters with regard to the analysis of these concepts is this: they are all simple. They can be defined in terms of other evaluative concepts belonging to the same family, but they cannot be broken down into constituent parts. From this we should not, however, draw the conclusion that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f these concepts are restricted to offering definitions. Rather, philosophers have traditionally been engaged in two projects concerning the evaluative concepts of ethics and epistemology: conveying what these concepts mean by giving definitions of them; and stating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these concepts. In addition to definition and conceptual analysis, there is, then, a third philosophical project: criteriological analysis.
3) 이러한 개념들의 분석에 관계되는 문제들은 이것, 즉 그 개념들이 모두 단순하다는 것이다. 그 개념들은 다른 평가적 개념들, 동류에 속하지만 구성 부분들로 분해될 수는 없는 다른 평가적 개념들로 정의될 수 있다. 그렇지만 우리는 이로부터 이러한 개념들에 대한 철학적 탐구들이 정의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한되어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내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윤리학과 인식론의 평가적 개념들에 관련한 두 가지 기획들에 착수하여 왔다. 즉 이러한 개념들이 의미하는 것을 그 개념들에 정의들을 내림으로써 전달하는 일과 이러한 개념들의 적용을 위한 규준들을 진술하는 일이 그 두 가지 기획들이다. 정의와 개념적 분석에 덧붙여서, 그래서 세 번째 철학적 기획, 규준적 분석이 있다.

4) To see what criteriological analysis amounts to, consider hedonistic utilitarianism, according to which an action's moral status is determined by the effect it has on the overall balance of pleasure over pain. According to hedonistic utilitarianism, moral rightness is to be analyzed thus:

Hedonistic Utilitarianism
An action x is right if and only if x maximizes the balance of pleasure over pain.

The right-hand side of this biconditional does not tell us what we mean by rightness. Rather, it provides us with a criterion for the application of the term right: it tells us when an action is morally right by specifying a condition that is supposed to be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moral rightness. It asserts, then, that the concept of maximizing the balance of pleasure over pain entails, and is entailed by, the concept of moral rightness.
4) 규준적 분석이 무엇에 해당하는지 보기 위해, 쾌락주의적 실용주의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그에 따르면 행위의 도덕적 상태는 고통에 대한 쾌락의 종합적 우세에 대해 그 행위가 가지는 영향(결과)에 의해 결정된다. 쾌락주의적 실용주의에 따르자면, 도덕적 옳음은 그래서 다음과 같이 분석된다:

쾌락주의적 실용주의
하나의 행위 x는 옳다 iff x가 고통에 대한 쾌락의 우세를 최대화한다.

이 쌍조건문의 오른편은 우리에게 우리가 옳음을 가지고 의미하는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은 우리에게 그 옳음이란 용어의 적용을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 즉 그것은 우리에게 언제 하나의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지를 도덕적 옳음에 대한 필요충분조건으로 생각되는 조건을 상술함으로써 말해준다. 그래서 그것은 고통에 대한 쾌락의 우위를 최대화함의 개념이 도덕적 옳음의 개념을 함의하며 또 그에 의해 함의된다고 단언한다.

5) Of course, we might have objections to hedonistic utilitarianism. However, the point here is not to debate which analysis of moral rightness is correct, but rather to illustrate that when philosophers set forth an analysis of rightness - be it a version of utilitarianism or some other theory - they attempt to specify what are sometimes called "right-mak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edonistic utilitarianism, there is one, and only one, right-making characteristic: the maximization of the balance of pleasure over pain. Other ethical theories offer alternative right-making characteristics. But however these theories differ, they typically share a common objective: to pin down what it is that makes an action right and, most importantly, to do so without using evaluative terms.
5) 물론, 우리는 쾌락주의적 실용주의에 반론들을 가질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여기에서 요점은 도덕적 옳음에 대한 어떤 분석이 옳은지 논쟁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철학자들이 옳음의 분석을 내놓을 때 - 그 분석이 실용주의의 견해이든 어떤 다른 이론의 견해이든 - 그들이 종종 "옳게 만드는 특징들"이라 불리는 것을 상술하고자 시도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쾌락주의적 실용주의에 따르자면, 옳게 만드는 특징이 한 가지 있고 그 한 가지 특징이 유일한 것이다. 그것은 고통에 대한 쾌락의 우위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다른 윤리학 이론들은 대안적인 옳게 만드는 특징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들이 상이하기는 하지만, 그 이론들은 전형적으로 공통된 목적을 공유한다. 그 목적은 하나의 행위를 옳은 것으로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확정짓는 것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평가적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고 그렇게 하는 것이다.

6) A striking feature of hedonistic utilitarianism is this: while its analysandum - rightness - is a normative term, no such term occurs in the analysans. The key notions of the analysans are those of pleasure and pain. But these concepts are nonnormative - or, as we might say, naturalistic, or descriptive. When we state, for example, that Jones is in pain, we are not evaluating Jones in any way whatever, but merely dscribing a condition Jonse is in. If we were to state that it is a bad thing for Jones to be in pain, or that Jones is deserving of the pain he is experiencing, or that we are obligated to alleviate Jone's pain, then we would be making an evaluative statement. But if we state simply that Jones is in pain and say no more than that, we are not at all making a normative judgment.
6) 쾌락주의적 실용주의의 가장 강력한 특징은 이와 같다. 즉 그것의 피분석항 - 옳음 - 은 규범적 용어인 반면에, 가분석항에서는 그러한 용어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가분석항의 핵심 관념들은 쾌락과 고통에 대한 관념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은 규범적이지 않다 - 또는, 우리가 아마도 그렇게 말할 것처럼, 중립적이거나, 기술적(서술적)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존스는 고통받고 있다고 진술할 때, 우리는 존스를 무엇이 되었든 어떤 방식으로도 평가하고 있지 않고, 단지 존스가 처한 상황을 기술하고 있다. 만일 우리가 고통 속에 있는 것이 존스에게 나쁜 일이라고, 또는 존스가 그가 경험하고 있는 고통을 받을 만하다고, 혹은 우리가 존스의 고통을 경감시킬 의무가 있다고 진술할 것이라면, 우리는 하나의 평가적 진술을 만들고 있는 것일 터이다. 그러나 만일 우리가 단순히 존스가 고통 속에 있다고 진술하고 그 이상의 다른 어떤 것도 말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전혀 규범적 판단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7) Hedonistic utilitarianism, then, offers us a descriptive criterion for an evaluative term; it states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moral rightness in nonnormative terms. In epistemology, criteriological analyses of normative concepts are supposed to do the same: they are expected to state criteria for the application of such terms without using any evaluative language.<6> With regard to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Alvin Goldman puts this point thus:

The term "justified" … is an evaluative term, a term of appraisal. Any correct definition or synoym of it would also feature evaluative terms. I assume that such definitions or synoyms might be given, but I am not interested in them. I want a set of substantive conditions that specify when a belief is justified. [Consider] the term "right." … Normative ethics tries to specify non-ethical conditions that determine when an action is right …. Analogously, I want a theory of justified belief to specify in non-epistemic terms when a belief is justified.<7>

Notice that Goldman distinguishes here between defining the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and offering what we are calling a criteriological analysis of that concept. Both are, of course, legitimate projects of epistemology.<8> Note further that Goldman demands of his analysis that it be carried out in nonepistemic terms. By this he means terms that do not share the evaluative character of the concepts of epistemic appraisal we mentioned earlier, concepts such as certainty, probability, reasonableness, justification, and the like.
7) 그래서 쾌락주의적 실용주의는 우리에게 평가적 용어에 대한 기술적 규준을 제공한다. 그 규준은 비규범적 용어들로 도덕적 옳음의 필요충분조건을 진술한다. 인식론에서, 평가적 개념들에 대한 규준적 분석들도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그 규준적 분석들은 그러한 용어들의 적용을 위한 기준들을 어떤 평가적 언어도 사용함이 없이 진술할 것으로 기대된다.<6> 정당화의 개념과 관계하여, 알빈 골드만은 이 점을 이와 같이 내놓았다.

"정당화된"이란 용어는 … 평가적인 용어, 평가에 속하는 용어이다. 그 용어의 어떤 정확한 정의나 동의어도 또한 평가적 용어들을 특징으로 삼을 것이다. 나는 그러한 정의들이나 동의어들이 주어질지도 모른다고 추정하지만, 그러한 것들에는 관심이 없다. 나는 언제 하나의 믿음이 정당화되는지를 상술하는 일련의 본질적 조건들을 원한다. "옳음"이라는 용어.[를 고려해 보자] … 규범적 윤리학은 언제 하나의 행위가 옳은지 결정하는 비-윤리학적 조건들을 상술하고자 노력한다…. 유사하게, 나는 비-인식론적 용어들로 언제 하나의 믿음이 정당화되는지 상술하는 정당화된 믿음에 대한 이론을 원한다.

골드만이 여기에서 인식론적 정당화에 대한 개념 정의와 우리가 그 개념에 대한 규준적 분석이라 부르는 것 사이에 구별을 짓는다는 점에 주의하도록 하자. 물론 둘 다 인식론의 타당한 기획들이다.<8> 더 나아가 골드만이 그의 분석에 대해 그 분석이 비인식론적 용어들로 완수되기를 요구한다는 점에 주의하도록 하자. 이로써 그는 우리가 앞서 언급한, 확실성, 가능성, 타당성, 정당성, 그리고 그와 같은 그러한 개념들, 인식론적 평가에 속하는 개념들의 평가적 성격을 공유하지 않는 용어들을 의미한다.


Supervenience in Epstemology
인식론에 있어서의 수반

1) Why is it the aim of a criteriological analysis of epistemic justification to specify when a belief is jutified in nonevaluative terms? One answer to this question has been proposed by Jaegwon Kim. He writes:

A justified belief cannot be a brute fundamental fact unrelated to the kind of belief it is. There must a reason for it, and this reason must be grounded in the factual descriptive properties of that particular belief.<9>

The same can be said about the moral status of an action. If a particular action is the right thing to do, then there must be a reason for its rightness - that is, there must be something about this action that makes it a right action. Its rightness, Kim would say, cannot be a "brute" fact that is inaccessible to an explanation in terms of nonevaluative right-making characteristics. Likewise, a belief's epistemic status - the degree to which it is justified or unjustified - must be explainable by reference to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belief, characteristics that confer on it its epistemic status.
1) 어째서 언제 하나의 믿음이 정당화되는지를 비평가적 용어들로 상술하는 것이 인식론적 정당화의 규준적 분석의 목표인가? 이 물음에 대한 한 가지 대답은 김재권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

정당화된 믿음은 그 믿음이 속하는 그러한 종류의 믿음과 무관한 맹목적인 기초적 사실일 수 없다. 그 믿음에 대한 이유가 반드시 있어야만 하고, 이러한 이유는 그 특수한 믿음에 대한 사실 기술적 특성들에 근거되어야만 한다.

동일한 내용이 한 행위에 대한 도덕적 상태에 대해서도 이야기될 수 있다. 만일 특수한 한 행위가 해야 할 옳은 일이라면, 그 행위의 옳음에 대한 이유가 있어야만 한다 - 즉, 이 행위에 대해 그것을 하나의 옳은 행위로 만드는 어떤 것이 반드시 있어야만 한다. 김재권은 그 행위의 옳음이 비규범적인 옳게 만드는 특징들에 속하는 용어들로 이루어진 설명에 수용불가능한 "맹목적" 사실일 수 없다고 말할 것이다. 비슷한 방식으로, 한 믿음의 인식적 상태 - 그 믿음이 정당화되거나 정당화되지 않은 정도 - 는 반드시 그 믿음에 대한 특정 특징들, 그 믿음에 그 믿음의 인식적 상태를 부여하는 특징들을 언급함으로써 설명가능해야만 한다.

2) This thougt motivates a doctrine that has in recent years gained much prominence: the doctrine that normative properties supervene on nonnormative properties.<10> To say that normative properties supervene on nonnormative properties means, roughly, that whether an object does or does not have a certain normative property depends on, or is determined by, its nonnormative properties. Another way of making the same point is to say that things have their normative properties by virtue of their nonnormative properties. Yet another way to state the same point is to say that what makes an object have the normative properties it has are its nonnormative properties. Applied to ethics, the supervenience doctrine tells us that an action's moral status is determined by its nonnormative properties; applied to epistemology, the doctrine tells us that a belief's epistemic status is determined by its nonnormative properties. Our ground for making these claims is the belief that things don't just happen to have the properties they have; rather, there are reasons they have certain properties and lack others.
2) 이러한 사유는 최근 수년간 많은 명성을 얻어온 한 주의를 유발시킨다. 그 주의는 규범적 특징들이 비규범적 특징들에 수반한다는 주의이다.<10> 규범적 특징들이 비규범적 특징들에 수반한다고 말하는 것은, 거칠게 말해서 하나의 대상이 특정한 규범적 특징을 가지는지 여부가 그 대상의 비규범적 특징들에 의존하거나 혹은 비규범적 특징들에 의해 결정된다는 뜻이다. 똑같은 점을 다른 방식으로 말하자면 그것들의 비규범적 특징들 덕분으로 그것들이 규범적 특징들을 가진다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똑같은 점을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한 대상이 그 대상이 가진 규범적 특징들을 가지도록 만드는 것은 그 대상의 비규범적 특징들이라는 것이다. 윤리학에 적용해 보면, 수반원칙은 우리에게 한 행위의 도덕적 상태는 그 행위의 비규범적 특징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해준다. 인식론에 적용해 보면 그 원칙은 우리에게 한 믿음의 인식적 상태는 그 믿음의 비규범적 특징들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해준다. 이러한 주장들을 만들기 위한 우리의 근거는 사물들이 그것들이 가진 특징들을 단지 우연히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믿음이다. 오히려, 그것들이 특정한 특징들을 지니고 다른 특징들은 가지지 않는 이유들이 있다.

3) Let us apply the supervenience doctrine to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as that concept is used in epistemology. Suppose that, while taking a walk in a park, you see a dog running across the lawn, and thus you believe "There is a dog over there." Let us stipulate that the conditions of observation are excellent: it is board daylight, your vision is excellent, and the dog is close enough to you to be clearly discernible. We may safely assume, your belief's epistemic status - its being justified - supervenes on your belief's epistemically relevant nonnormative properties. In this case, some of these properties are: its being a perceptual belief, its being a belief formed during daylight, and its being a belief about a medium-sized object that is not very far away.
3) 수반 원칙을 인식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정당화의 개념에 적용해 보도록 하자. 공원을 걷는 동안, 당신이 잔디밭을 달리고 있는 한 마리 개를 보고, 그래서 당신이 "저기 개 한 마리가 있다"고 믿는다고 가정해 보자. 관찰 조건들이 훌륭하다고, 즉 널리 햇살이 비추고, 당신의 시야가 탁월하며, 그 개는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충분히 당신에게 가깝다고 규정하도록 하자. 우리는 안전하게(확실하게), 당신의 믿음의 인식적 상태 - 그 믿음의 정당화되어 있음 - 가 당신의 믿음의 인식적으로 관련있는 비규범적 특징들에 수반한다고 추정할 것이다. 이 경우, 이러한 특징들 중 일부는 그 믿음이 지각적 믿음임, 낮동안에 형성된 믿음임, 그리고 너무 멀지 않은 중간 크기의 대상에 대한 믿음임일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