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ailed Attempt at Solving The Gettier Problem
게티어 문제 해결에 실패한 시도

1) In the next section, we shall discuss how the concept of defeasibility can be exploited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Gettier problem. In this section, we shall consider a different solution, one that has turned out to be a dead end.<20> The gist of this solution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condition:

C1    S's justification for p does not depend on any falsehood.

This condition gives us the right result for Gettier's original case about Smith and his ruminations about Jones's Ford. When Smith deduces (2), he uses (1) as a premise. But (1) is false, and thus hi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2) depends on a falsehood. So S does not meet condition C1, and hence does not know (2).
1) 다음 절에서, 우리는 어떻게 상쇄가능성의 개념이 게티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할 것이다. 이 절에서는 우리는 하나의 다른 해법, 막다른 길로 밝혀진 그러한 해법을 고찰할 것이다.<20> 이 해법의 요지는 다음 조건으로 표현된다:

C1    S의 p에 대한 정당성은 어떠한 거짓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이 조건은 우리에게 스미스와 존스의 Ford차에 대한 그의 숙고에 대한 게티어의 원래 사례에 대해 옳은 결론을 준다. 스미스가 (2)를 연역할 때, 그는 전제로서 (1)을 사용한다. 그러나 (1)은 거짓이고, 그래서 (2)를 믿기 위한 그의 정당성은 거짓에 의존한다. 그래서 S는 조건 C1을 충족시키지 않고, 따라서 (2)를 알지 못한다.

2) Nevertheless, supplementing the JTB account with C1 does not solve the Gettier problem. There are other Gettier-type cases in which a justified true belief meets C1, yet does not qualify as an instance of knowledge. Let's consider a case of that type.
2) 그럼에도 불구하고, JTB 설명에 C1을 보충하는 것은 게티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C1을 충족시키는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지만 앎의 사례로서 자격을 얻지는 못하는 다른 게티어 유형의 사례들이 있다. 그러한 유형의 사례 하나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3) Suppose you look out your window and see your cat in your yard. Naturally, you believe, "My cat is in the yard." But what you take to be your cat isn't cat at all but a hologram so perfect that, by vision alone, it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an actual cat. Unbeknownst to you, your neighbor has acquired the equipment to project holograms, and he is playing a trick on you. Furthermore, suppose that your cat is in your yard, but is lying right underneath the window, where you cannot see her from your present point of view. Your belief that your cat is in your yard, then, happens to be true. Furthermore, you are completely justified in believing that your cat is in the yard because your cat can be found there quite frequently, the hologram bears a striking resemblance to your cat, and you have no grounds whatever to suspect your neighbor of projecting cat-holograms into your yard.
3) 당신이 당신의 창밖을 바라보고 당신의 마당에 있는 당신의 고양이를 본다고 가정해 보자. 자연스럽게, 당신은 "나의 고양이가 마당에 있다"라고 믿는다. 그러나 당신이 당신의 고양이라고 받아들인 것은 전혀 고양이가 아니고 단지 눈만으로는 그것이 실제 고양이와 구별될 수 없는 아주 완벽한 홀로그램이다. 당신이 모르는 사이에, 당신의 이웃이 홀로그램 영사기를 구했고, 그는 지금 당신을 속이고 있다. 더 나아가서, 당신의 고양이가 당신의 마당에 있지만, 창문 바로 밑, 당신이 당신이 바라보는 현재 위치에서는 그 고양이를 볼 수 없는 곳에 누워 있다고 가정하자. 당신의 고양이가 당신의 마당에 있다는 당신의 믿음은 그래서 우연히도 참이다. 더욱이, 당신은 당신의 고양이가 당신의 마당에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완전히 정당화되는데 왜냐하면 당신의 고양이가 매우 자주 거기에서 발견될 수 있었고, 그 홀로그램은 당신의 고양이와 현저하게 유사한 것을 내놓으며, 당신은 당신의 이웃이 고양이-홀로그램을 당신의 마당에 영사하고 있으리라 의심할 그 어떤 근거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4) In this case, the proposition you are justified in believing - my cat is in the yard - is not deduced from anything. Rather, you have a certain perceptual experience (that of seeing what seems to you to be your cat), and that experience triggers in you the belief that your cat is in the yard. Your justification for your belief is not, therefore, inferred from a further proposition that is false, and hence does not depend on any falsehood. Hence, if the JTB account is supplemented with C1, we get the wrong result for cases like this one.
4) 이 사례에서, 당신이 믿음 - 나의 고양이는 마당에 있다 - 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는 명제는 어떤 것으로부터도 연역되지 않는다. 오히려, 당신은 특정한 지각 경험 (당신에게 당신의 고양이로 보이는 어떤 것을 보고 있다는 경험) 을 가지고, 그 경험은 당신 안에서 당신의 고양이가 그 마당에 있다는 믿음을 촉발시킨다. 당신의 믿음에 대한 당신의 정당화는 그러므로 그 이상의 거짓인 명제로부터 추론되지 않으며, 따라서 어떠한 거짓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일 JTB 설명이 C1으로 보충된다면, 우리는 이와 같은 사례들에 대해 잘못된 결과를 얻게 된다.


A Defeasibility Solution to The Gettier Problem
게티어 문제에 대한 상쇄자 해법

1) Since Gettier examples involve the factual defeat of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e proposition in question, many epistemologists attempt to solve the Gettier problem by formulating conditions that require that S's justification remain undefeated.<21> There are, of course, rival proposals, among which this defeasibility approach is just one contender. Indeed,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what is conspicuous about the literature on the Gettier problem is, first, the multitude of approaches and, second, the lack of a settled solution. Unfortunately, for reasons of space, we cannot go beyond a discussion of the defeasibility approach here.
1) 게티어 예시들은 S가 문제가 되는 명제를 믿기 위한 정당성에 대해 사실적 상쇄자를 포함하므로, 다수의 인식론자들은 게티어 문제를 S의 정당성이 상쇄되지 않은 채로 남을 것을 요구하는 조건들을 만들어냄으로써 해결하고자 시도한다.<21> 물론 경쟁하는 제안들이 있고, 이러한 상쇄가능성 접근법은 그 중에서 단지 하나의 경쟁이론일 따름이다. 덧붙여서, 게티어 문제에 대해서 논문에 대해서 눈에 띄는 것은, 우선, 접근법들의 다양함이고, 둘째로, 정착된 해법의 부재(결핍)이다. 불행하게도, 지면의 이유들로, 우리는 상쇄가능성 접근법에 대한 논의에서 더 넘어갈 수 없다.

2) The defeasibility approach is based on the idea that the full range of relevant facts must not defeat - in the factual sense of the word -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The following condition captures the idea behind this approach:

C2    There is no proposition d such that d factually defeats S'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C2 gives us the right result for the Gettier case we have considered. In Gettier's case about Smith and Jones's Ford, we assumed the following proposition is true:

(1) The Ford Jones is currently driving is a Hertz rental car.

(1) defeats the epistemizing potential of Smith'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arcelona. Hence, although Smith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arcelona, he does not know it.
2) 상쇄가능성 접근법은 관련 사실들의 전 영역이 반드시 S가 p라는 것을 믿기 위한 정당성을 - 세계의 사실적 의미에서 - 상쇄시키지 않아야만 한다는 발상에 기초된다. 다음 조건은 이러한 접근법의 이면에서 그 발상을 포착한다:

C2    p를 믿기 위한 S의 증거를 사실적으로 상쇄시키는 그러한 명제 d는 아무것도 없다.

C2는 우리에게 우리가 고찰하였던 게티어 사례에 대한 옳은 결론을 준다. 스미스와 존스의 Ford차에 대한 게티어의 사례에서 우리는 다음 명제가 참이라고 가정하였다:

(1) 존스가 현재 몰고 있는 Ford차는 헤르츠가 빌려준 차이다.

(1)은 존스가 Ford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브라운이 바르셀로나에 있다고 믿기 위한 스미스의 정당성에 있어서 그 인식화 가능성을 상쇄시킨다. 따라서, 비록 존스가 Ford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브라운이 바르셀로나에 있다고 믿음에 있어서 스미스가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그는 그 사실을 알지 못한다.

3) In the case about your cat in the yard, this is true proposition:

(2) What you are looking at is a hologram that looks like a cat.

(2) is a factual defeater for the evidence you have for believing that your cat is in the yard. Hence you don't know that your cat is in the yard.
3) 마당의 당신 고양이에 대한 사례에서, 이것은 참인 명제이다:

(2) 당신이 바라보고 있는 것은 고양이처럼 보이는 홀로그램이다.

(2)는 당신의 고양이가 마당 안에 있다는 믿음에 대해 당신이 지니는 정당성에 대한 사실적 상쇄자이다. 따라서 당신은 당신의 고양이가 마당 안에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다.

4)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hen we apply C2 to particular cases, we must take into account the total body of S's evidence. The following case illustrates this. Suppose S's justified in believing

(3) This sheet of paper is blue

because the sheet of paper looks blue to him and he knows that

(4) This sheet of paper is a grade-appeal form and all such form are blue.

Suppose further that the following proposition is true:

(5) Blue light is shining on it.

(5) defeats S's perceptual evidence for believing (3). Nevertheless, C2 is met because (5) does not defeat S's evidence for (3) in its totality. Part of S's evidence is his knowledge of (4), which by itself is sufficient to justify S's belief. Hence, although there is a true proposition that defeats one element of S's justification for (3), S has nevertheless knowledge of (3).
4) 우리가 C2를 특수한 사례들에 적용할 때, 우리가 반드시 S의 증거에 속하는 총체를 고려해 넣어야만 한다는 것을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 사례는 이 점을 설명한다. S가 다음과 같이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생각해 보자.

(3) 이 한 장의 종이는 파랗다.

왜냐하면 그 한 장의 종이는 그에게 파랗게 보이고 또한 그가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기 때문이다.

(4) 이 한 장의 종이는 성적-이의 양식서이고 그러한 양식서는 모두 파랗다.

더 나아가 다음 명제가 참이라고 생각해 보자:

(5) 파란 빛이 그 양식서를 비추고 있다.
(5)는 (3)을 믿음에 대한 S의 지각적 증거를 상쇄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2는 충족되는데 왜냐하면 (5)는 (3)에 대한 S의 증거를 그 전체에 있어서 상쇄시키지는 않기 때문이다. S의 증거 중 일부는 (4)에 대한 그의 앎, 그 자체로 S의 믿음을 정당화시키기에 충분한 그러한 앎이다. 따라서, 비록 S의 (3)에 대한 정당화의 한 요소를 상쇄시키는 참 명제가 있다 할지라도, S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3)에 대한 앎을 가진다.


An Amended JTB Account of Knowledge
앎에 대한 수정된 JTB 설명

1)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account, knowledge involves three ingredients: truth, belief, and justification. The Gettier problem demonstrates that a further ingredient is needed. Advocates of the defeasibility approach propose that this missing ingredient is the absence of factual defeat. Thus they would add a fourth condition to the traditional account:

S knows that p if and only if
(i) p is true;
(ii) S believes that p;
(iii) S has justifying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iv) there is no proposition d that factually defeats S'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Note, however, that condition (iv) makes the truth condition redundant.<22> Whenever p is false, there will be a true proposition d that defeats whatever justification S may have for p: the negation of p, and any proposition that entails the falsehood of p. Hence condition (iv) fails to be met whenever p is false. To see why this is so, recall our definition of evidential defeat.

d defeats e as evidence for p if and only if e i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but e in conjunction with d is not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Suppose p is false, and S has evidence e in support of p. Since p is false, the negation of p, not-p, is true. We must ask, therefore, whether e in conjunction with not-p is evidence for e. And the answer is that it is not, for nothing is evidence for p if it is conjoined with the negation of p.(?)
1) 전통적인 설명에 따르자면, 앎은 세 가지 요소들을 포함한다. 즉 참, 믿음, 그리고 정당성이 그것이다. 게티어 문제는 그 이상의 요소가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한다. 상쇄가능성 접근법의 지지자들은 이 빠져 있는 요소가 사실적 상쇄의 부재라고 제안한다. 그래서 그들은 전통적 설명에 네 번째 조건을 추가할 것이다.

S는 p를 안다 iff
(i) p가 참이고,
(ii) S가 p라는 것을 믿으며,
(iii) S는 p라고 믿는 것을 정당화하는 증거를 가지고,
(iv) S가 p라고 믿는 증거를 사실적으로 상쇄시키는 명제 d는 아무것도 없다.

그렇지만 조건 (iv)가 참 조건을 잉여적인 것으로 만든다는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22> p가 거짓인 언제라도, S가 p에 대해 가질 그 어떠한 정당화든 상쇄시키는 참 명제 d, p의 부정이 있을 것이고, p의 거짓을 수반하는 어떤 명제든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조건 (iv)는 p가 거짓인 그 어느 때라도 충족되는 데에 실패한다. 이것이 왜 그러한지 보기 위해, 증거적 상쇄에 대한 우리의 정의를 상기해 보도록 하자.

d는 p에 대한 증거로서의 e를 e가 p라고 믿는 증거이지만 e와 d의 결합에 있어서는 p라고 믿는 증거가 아니라면 그리고 오로지 그러할 때에만 상쇄시킨다.

p가 거짓이고, S는 p를 뒷받침함에 있어서 증거 e를 가진다고 생각해 보자. p가 거짓이므로, p의 부정 not-p는 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e가 not-p와 관련하여 e에 대한 증거인지 물어야만 한다. 그리고 그 대답은 그렇지 않다는 것인데, 왜냐하면 만일 p의 부정과 관련된다면 그 어떤 것도 p에 대한 증거가 아니기 때문이다.(?)

2) Let us consider a simple case of believing a false proposition. Suppose that, while thinking a walk in the countryside, you believe

(1) There is a sheep in the field

because you see an animal that looks like a sheep to you. In fact, it is a dog that, because of some bizarre features, looks from your point of view exactly like a sheep. Thus the following proposition is true:

(2) What you are looking at is actually a dog that looks like a sheep.

This proposition factually defeats your evidence for believing (1). If you were to acquire evidence for (2), you would no longer be justified in believing (1). So condition (iv) of the amended JTB account of knowledge is not met, and we get the result that you don't know there is a sheep in the field.
2) 거짓 명제를 믿는 단순한 사례 하나를 고찰해 보도록 하자. 생각하면서 시골길을 걷는 동안에, 당신이 다음과 같이 믿었다고 생각해 보자.

(1) 들판에 양 한 마리가 있다.

왜냐하면 당신은 당신에게 한 마리 양처럼 보이는 동물 하나를 보기 때문이다. 사실, 그것은 약간 독특한 외형들 때문에 당신이 보는 위치에서 양처럼 보이는 개이다. 따라서 다음 명제는 참이다:

(2) 당신이 바라보고 있는 것은 사실 양처럼 보이는 개이다.

이 명제는 사실적으로 당신의 (1)이라는 믿는 증거를 상쇄시킨다. 만일 당신이 (2)에 대한 증거를 획득하게 된다면 당신은 더 이상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앎에 대한 수정된 JTB 설명의 조건 (iv)는 충족되지 않고, 우리는 들판에 양이 있다는 것을 당신은 알지 못한다는 결과를 얻는다.

3) As you can see, then, adding condition (iv) to the traditional account makes condition (i) superfluous. The amended account, therefore, can be stated in three conditions only:

S knows that p if and only if
(i) S believes that p;
(ii) S has justifying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iii) there is no proposition d that factually defeats S'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3) 당신이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래서, 전통적 설명에 조건 (iv)를 추가하는 것은 조건 (i)을 불필요한 것으로 만든다. 수정된 설명은 그러므로 단지 세 가지 조건들만으로 진술될 수 있다:

S는 p라는 것을 안다 iff
(i) S가 p라는 것을 믿는다;
(ii) S는 p라고 믿는 것을 정당화하는 증거를 가진다;
(iii) S가 p라고 믿는 증거를 사실적으로 상쇄시키는 명제 d는 아무것도 없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