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lusive and Nonconclusive Evidence
결정적 증거와 비결정적 증거

1) Justification comes in degrees: some beliefs are more justified than others. Examples of beliefs that are justified to the highest degree are beliefs in the elemetary truths of arithmetic and axioms of logic, as well as simple beliefs about one's own conscious states. Beliefs that are justified to lesser degrees are those about the physical world, the past, the future, and things that are presently unobserved.
1) 정당화는 등급들이 있다: 일부 믿음들은 다른 믿음들보다 더욱 정당화된다. 높은 정도로 정당화되는 믿음들의 예들은 산술의 기본 진리들과 논리의 공리들에 대한 믿음들, 또한 한 개인의 의식적 상태들에 대한 단순한 믿음들이다. 덜 정당화되는 믿음들은 물리적 세계, 과거, 미래, 현재 관찰되지 않는 것들에 대한 믿음들이다.

2) The degree to which a belief is justified depends, among other things, on whether that belief is supported by conclusive or nonconclusive evidence. Conclusive evidence guarantees the truth of the belief it supports, and thus affords complete certainty to the possessor of such evidence. Nonconclusive evidence, on the other hand, does not guarantee the truth of the belief it supports. Thus, if one has nonconclusive evidence for a proposition p, one's justification for p is of a lower degree than complete certainty.
2) 믿음이 정당화되는 정도는 특히 그 믿음이 결정적인 증거에 의해서 지지되는지 혹은 비결정적인 것에 의해 지지되는지에 의존한다. 결정적 증거는 그 증거가 뒷받침하는 믿음의 참을 보장하고, 그래서 그러한 증거의 소유자에게 완전한 확실성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비결정적 증거는 그 증거가 뒷받침하는 믿음의 참을 보장하지 않는다. 그래서, 만일 p 명제에 대해 비결정적 증거를 가진다면, p에 대한 정당성은 완전한 확실성보다 더 낮은 정도의 것에 속한다.

3) Consider the belief "I exist." As Descartes argued in the first of his Meditations, if I didn't exist, then I couldn't be thinking about my own existence. Consequently, it is impossible to mistakenly believe oneself to exist. My evidence for believing that I exist - introspectiv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 am thinking about the question whether I exist - is conclusive: it guarantees that my belief that I exist is true, and thus provides me with complete certainty.
3) "내가 존재한다"라는 믿음을 고찰해 보자. 그의 『방법서설』에서 주장하였듯, 만일 내가 현존하지 않는다면, 나는 나의 고유한 현존에 대해 생각하고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실수로 자신을 현존한다 믿는 것은 불가능하다. 내가 현존한다고 믿기 위한 나의 증거 - 내가 현존하는지 하는 물음에 대해 내가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내성적 자각 - 은 결정적이다. 그 증거는 내가 현존한다는 나의 믿음이 참임을 보장하고, 그래서 나에게 완전한 확실성을 제공한다.

4) In contrast, my evidence for believing that there is a desk in my office is nonconclusive. I presently have the experience of seeing that desk in front of me. However, it is logically possible that I who am having that experience am a brain in a vat whose sensory experiences are the result of direct stimulation through a computer.<16> If I were such a brain in a vat, then exhypothesi I would not be in Brown Hall 109 but in a mad scientist's laboratory. Consequently, having the perceptual evidence I am currently having does not provide me with a logical guarantee that the belief that evidence supports is true.
4) 반대로, 내 사무실에 책상이 있다고 믿기 위한 나의 증거는 비결정적이다. 나는 현재 내 앞에 책상을 보는 경험을 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경험을 하고 있는 내가, 통 속의 뇌, 그 뇌의 감각 경험들이 컴퓨터를 통한 직접자극의 결과인 그러한 통 속의 뇌라는 것도 논리적으로는 가능하다.<16> 만일 내가 그러한 통 속의 뇌라면, 가설에 따라 나는 브라운 관 109호가 아니라 한 미친 과학자의 연구실에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내가 현재 가지고 있는 지각적 경험을 갖는다는 것은 나에게 그 증거가 뒷받침하는 믿음이 참이라는 논리적 보증을 제공하지 않는다.

5) The distinction between conclusive and nonconclusive evidence is an epistemological one. Do not confuse it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conclusive and inconclusive evidence that is part of our ordinary language. When I'm in my office looking at my desk, then my evidence for believing that there is a desk there is certainly not inconclusive in the sense in which that term is ordinarily used. That is to say, outside of the context of epistemology, we would take my evidence to be conclusive - to leave no doubt whatsoever as to the presence of my desk. However, in the sense in which we shall use the term here, my evidence is nonconclusive since it does not guarantee my belief's truth.
5) 결정적 증거와 비결정적(nonconclusive) 증거 사이의 구분은 인식론적 구분이다. 그것을 우리의 일상언어의 일부인 결정적 증거와 미결정적(inconclusive) 증거 사이의 구분과 혼동하여서는 안 된다. 내가 내 사무실에서 나의 책상을 바라보고 있을 때, 책상이 있다고 믿기 위한 나의 증거는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의 뜻에서 확실성이 있고 미결정적이지 않다. 그것은 인식론의 문맥 바깥에서, 우리가 나의 증거를 결정적인 - 나의 책상의 현전에 관한 것은 그 무엇이든지 의심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는 - 것으로 받아들인다는 말이다. 그렇지만 우리가 여기에서 사용하는 의미로 나의 증거는 비결정적인데 왜냐하면 그것은 나의 믿음의 참을 보장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6) One way of expanding one's stock of justified beliefs is to use deduction. Consider the following argument.

(1) I exist.
Therefore:
(2) Someone exists.

Premise (1) is certain, and it is certain that (2) follows deductively from (1). Thus the deductive link between (1) and (2) transmits certainty from (1) to (2). In general, because deduction is truth-preserving, it allows us to start out with premises for which we have conclusive evidence and to end up with conclusions for which we have conclusive evidence.<17> Conclusive evidence for a conclusion cannot be achieved with nondeductive types of derivation. For example, if p does not entail q but only makes q probable, then I cannot have conclusive evidence for q even if my evidence for p is conclusive.
6) 우리의 정당화된 믿음들의 양을 확장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연역을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 논증을 고찰해 보자.

(1) 나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2) 누군가는 존재한다.

전제 (1)은 확실하고, (2)가 연역적으로 (1)로부터 귀결한다는 것은 확실하다. 그래서 (1)과 (2) 사이의 연역적 연결은 (1)로부터 (2)에게로 확실성을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연역은 진리-보존적이기 때문에,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결정적 증거를 가지고 있는 전제들로 시작하는 것과 우리가 결정적 증거를 가지는 결론들로 끝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7> 결론에 대한 결정적 증거는 비연역적 유형의 도출을 가지고 성취될 수 없다. 예를 들어, 만일 p가 q를 수반하지 않지만 q를 개연적이도록 만들기만 한다면, 나는 설령 p에 대한 나의 증거가 결정적이라 할지라도 q에 대한 결정적 증거를 가질 수 없다.

7) It should be noted that a deductively derived conclusion cannot enjoy a higher degree of justification than the premise (or premises) from which it is derived. To illustrate this, we will consider another argument.

(1) My wife is presently at home
Therefore:
(2) Presently, someone is at home

Suppose I am justified in believing (1) because I know that at the present time my wife is normally at home. Clearly, though, this kind of evidence does not provide me with certainty for (1). After all, she might be out on an errand. Hence, although the deductive step from (1) to (2) is certain, the argument's conclusion is not because the premise from which it is derived is not.
7) 연역적으로 도출된 결론은 그 결론이 도출된 전제 (혹은 전제들) 보다 더 높은 정도의 정당성을 향유할 수 없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우리는 또 다른 논증을 고찰할 것이다.

(1) 나의 아내는 지금 집에 있다
그러므로
(2) 지금, 누군가는 집에 있다

내가 지금 시간에 나의 아내가 보통 집에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가정하자. 분명히, 그럴지라도, 이러한 종류의 증거는 나에게 (1)에 대한 확실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그녀는 심부름을 하러 갔을지도 모른다. 따라서, 비록 (1)로부터 (2)로의 연역적 단계가 확실하다 할지라도, 그 논증의 결론은 확실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그 결론이 도출된 전제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이다.


Justification and Defeasibility
정당성과 상쇄가능성

1) One'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a proposition p is sensitive to changes in the total body of one's evidence. As one's evidence changes, one can gain, lose, and regain justification for believing something. Suppose S sees a sheet of paper that looks to him. S believes

(1) This sheet of paper is blue
on the perceptual evidence that
(2) The sheet of paper looks blue to S.
Suppose further that S is informed that
(3) Blue light is shining on that sheet of paper.
If what S has to go on is no more than (2) and (3), S is not justified in believing (1) because (3) defeats (2) as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We can define the concept of evidential defeat as follows:

Evidential Defeat
D defeats e as evidence for p if and only if e is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but e in conjunction with d is not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a proposition p is defeated if S has evidence for another proposition that defeats S's evidence for p. This can happen in two ways: (i) S can acquire evidence that justifies S in believing that p is false; or (ii) S can acquire evidence that destroys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is true, without, however, justifying S in believing that p is false. Let us call defeaters of the former type contradicting defeaters and those of the latter type undermining defeaters.<18> (3) is an example of an undermining defeater. It destroys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1) is true, but it does not justify S in believing that (1) is false.
1) 명제 p를 믿기 위한 정당성은 그 증거의 총체에 있어서의 변화들에 민감하다. 증거가 변화할 때, 어떤 것을 믿기 위한 정당성은 습득할 수 있고, 잃을 수 있으며, 재습득할 수 있다. S가 그에게 보이는 한 장의 종이를 본다고 가정해 보자. S는 다음과 같이 믿는다

(1) 이 한 장의 종이는 파랗다
다음과 같은 지각적 증거에 의거해서 그러하다
(2) 그 한 장의 종이가 S에게 파랗게 보인다.
더 나아가 S가 다음과 같이 알게 된다고 가정해 보자
(3) 푸른 빛이 그 한 장의 종이를 비추고 있다.
만일 S가 근거로 삼아야 할 것이 (2)와 (3) 말고는 없다면, S는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3)이 S가 (1)을 믿기 위한 정당화로서의 (2)를 상쇄시키기 때문이다. 우리는 증거적 상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증거적 상쇄
D는 p에 대한 증거 e를 e가 p라는 것을 믿기 위한 증거이지만 d와의 결합에 있어서 e가 p를 믿기 위한 증거가 아니라면 또 오로지 그러한 경우에만 상쇄시킨다.
S의 명제 p를 믿기 위한 정당화는 만일 S가 p에 대한 S의 증거를 상쇄시키는 또 다른 명제에 대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면 상쇄된다. 이러한 일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i) S는 p가 거짓이라고 믿음에 있어서 S를 정당화시키는 증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ii) S는 p가 거짓이라고 믿음에 있어서 S를 정당화함이 없이 p가 참이라고 믿기 위한 S의 정당화를 파괴하는 증거를 획득할 수 있다. 우리는 전자의 유형에 속하는 상쇄자들을 반박 상쇄자들이라 부르고 후자 유형에 속하는 것들을 기반약화 상쇄자들이라 부르도록 하자. <18> (3)은 기반약화 상쇄자의 일례이다. (3)은 (1)이 참이라고 믿기 위한 S의 정당성을 파괴하지만, (1)이 거짓이라고 믿음에 있어서 S를 정당화하지는 않는다.

2)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a contradicting defeater. Suppose again that S believes (1) on the basis of (2). Suppose further that S is informed of the truth of the following two propositions:

(4) This sheet of paper is a grade-change form.
(5) Crade-change forms are always pink.

In this case, S has an explanation of why the sheet of paper look blue - namely (3) - and has further evidence indicating in believing that (1) is false. The conjunction of (4) and (5), therefore, functions as a contradicting defeater.
2) 다음의 것들은 반박 상쇄자들의 예시이다. 다시 S가 (2)에 기초하여 (1)을 믿는다고 가정하자. 나아가 S가 다음 두 가지 명제들에 대해 참이라고 알게 된다고 가정하자.

(4) 이 한 장의 종이는 성적정정 양식서이다.
(5) 성적정정 양식서들은 언제나 분홍색이다.

이 경우, S는 어째서 그 한 장의 종이가 파랗게 보이는지 - 즉 (3) - 에 대한 설명을 가지고 나아가 (1)이 거짓이라고 믿음에 대해 지시하는 증거를 가진다. (4)와 (5)의 결합은 그러므로 반박 상쇄자로서 기능한다.

3) A defeater for p can, in turn, be defeated. If this happens, then the justification S originally had for p is restored. Suppose, once again, that S believes (1) on the basis of (2). S is informed that (3) is true, and thus hi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1) is defeated. However, subsequently S is informed of the following two propositions:

(6) This sheet of paper is a grade-appeal form.
(7) Grade-appeal froms are always blue.

This information provides S with further relevant evidence indicating that (1) is true after all. Since this evidence is not perceptual in nature, it is not affected by the fact that blue light is shining on the sheet of paper. After all, a sheet of paper that is blue to begin with will still look blue when illuminated by blue light. Hence, as soon as S learns of the facts expressed by (6) and (7), he is again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 sheet of paper he is looking at is blue.
3) p에 대한 상쇄자가 이번에는 상쇄될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일이 일어난다면, S가 원래 p에 대해 가졌던 정당성은 복구된다. 다시 한 번, S가 (2)에 기초하여 (1)을 믿는다고 가정해 보자. S는 (3)이 참이라고 알게 되고, 그래서 (1)을 믿기 위한 그의 정당성은 상쇄된다. 그렇지만, 이어서 S는 다음 두 가지 명제들에 대해 알게 된다.

(6) 이 한 장의 종이는 성적이의 양식이다.
(7) 성적이의 양식들은 언제나 파랗다.

이 정보는 S에게 (1)이 무엇보다도 참이라고 지시하는 더욱 유관한 증거를 제공한다. 이 증거는 본성에 있어서 지각적이지 않으므로, 푸른 빛이 그 한 장의 종이를 비추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처음에 파란 그 한 장의 종이는 파란 빛에 의해 비추어질 때에도 여전히 파랗게 보일 것이다. 따라서, S가 (6)과 (7)에 의해 표현되는 사실들에 대해 알게 되자마자, 그는 다시 그가 바라보고 있는 종이가 파랗다고 믿는 데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Defeasibility and The Gettier Problem
상쇄가능성과 게티어 문제

1) In the last section, we saw that justification can be defeated because some elements of S's evidence can defeat other elements of S's evidence. In this section, we shall see that - as is illustrated by Gettier cases - justification can also be defeated by certain facts: facts that bear evidentially on, but are not part of, S's evidence and defeat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in the sense that his justification for p remains intact but fails to give him knowledge of p. Let us keep these two types of defeat separate by distinguishing between evidential and factual defeat of justification. The following two definitions specify how these concepts differ:

Justificational Defeat
d evidentially defeats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i) S has evidence e for believing that p; (ii) S has also evidence e' for a proposition d that defeats e as evidence for p.

Factual Defeat
d factually defeats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i) S has evidence e for believing that p; (ii) there is a proposition d such that d is true, S does not have evidence for d, and d defeats e as evidence for p.
1) 전 절에서, 우리는 정당화가 S의 증거들 중 일부 요소들이 S의 증거들 중 다른 요소들을 상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쇄될 수 있음을 보았다. 이번 절에서, 우리는 - 게티어 사례들에 의해 설명되는 것과 같이 - 정당화는 또한 특정한 사실에 의해 상쇄될 수 있음을 볼 것이다. 그 사실들은 S의 증거와 증거적으로 관련은 있지만 S의 증거의 일부는 아니며 S가 p를 믿기 위한 정당성을 상쇄시키는데 그의 p에 대한 정당성이 온전히 남지만 그에게 p에 대한 앎을 제공하는 데에는 실패한다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두 종류의 상쇄를 정당화에 대한 증거적 상쇄와 사실적 상쇄 사이의 구별을 통해 구분하도록 하자. 다음 두 가지 정의들은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다른지 명시한다.

정당화적 상쇄
d는 증거적으로 S의 p라는 믿음을 위한 정당성을 (i) S가 p를 믿기 위한 증거를 가지고 (ii) S가 또한 p에 대한 증거로서의 e를 상쇄시키는 명제 d를 위한 증거 e'를 가진다면 또 그러할 때에만  상쇄시킨다.

사실적 상쇄
d는 사실적으로 S의 p라는 믿음을 위한 정당성을 (i) S가 p를 믿기 위한 증거 e를 가지고 (ii) d가 참이고, S는 d에 대한 증거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d는 p에 대한 증거로서의 e를 상쇄시킨다는 그러한 명제 d가 있다면 또 그러할 때에만 상쇄시킨다.

2) Suppose some elements of my evidence support p in such a way that, if I had no further relevant evidence, I would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Suppose further that other elements of my evidence defeat the evidence I have for p. In that case, I am not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However, if there is a fact that is hidden from me - hidden in the sense that I don't have evidence for it - that defeats my evidence for p, then although I remain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 am not in a position to know that p.<19>
2) 만일 내가 그 이상의 어떠한 적절한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내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것이라는 그런 방식으로 나의 증거의 일부 요소들이 p를 지지한다고 가정해 보자. 나아가 나의 증거의 다른 요소들이 내가 p에 대해 가지는 그 증거를 상쇄시킨다고 가정해 보자. 그 경우, 나는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만일 나로부터 감추어진 - 내가 그에 대한 증거를 가지지 않는다는 의미로 감추어진 -  p에 대한 나의 증거를 상쇄시키는 사실이 있다면, 내가 p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 채로 남는다 할지라도, 나는 p라는 것을 아는 입장에 있지 않다.<19>

3) To keep these two types of defeat properly distinct, we shall distinguish between epistemizing and nonepistemizing justification. Epistemizing justification is justification that is both evidentially and factually undefeated; it turns true beliefs into knowledge. Nonepistemizing justification is justification that is factually defeated without being evidentially defeated. Nonepistemizing justification's shortcoming is taht, for reasons beyond S's ken, it is undermined by certain facts about S's situation, and thus fails to epistemize S's belief that p - that is, to turn it into knowledge.
3)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상쇄를 적절하게 구별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우리는 인식화하는 정당화와 비인식화 정당화 사이에 구별을 해야 할 것이다. 인식화하는 정당화는 증거적으로도 사실적으로 상쇄되지 않는 정당화이다. 그러한 정당화는 참인 믿음들을 앎으로 바꾼다. 비인식화 정당화는 증거적으로 상쇄됨이 없이 사실적으로 상쇄되는 정당화이다. 비인식화 정당화의 결점은 그의 이해를 넘어서는 이유들로 인하여, S의 상황에 대한 특정 사실들에 의해 약화되고, 그래서 S의 p라는 믿음을 인식화하는 데에 - 즉, 그 믿음을 앎으로 바꾸는 데에 실패한다는 것이다.

4) In light of these considerations, it is clear that the phrase "S'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is defeated" is an ambiguous one. It might refer either to evidential or to factual defeat. Let us avoid ambiguity by adopting the following convention: When S's justification for p is evidentially defeated, we shall simply say that S's justification for p is defeated. If, on the other hand, S's justification for p is factually but not evidentially defeated, we shall say that the epistemizing potential of S's justification for p is defeated.
4) 이러한 고찰들의 조명 속에서, "S의 p를 믿기 위한 정당성이 상쇄된다"라는 구절은 모호한 것이라는 점이 분명해진다. 그 구절은 아마도 증거적 상쇄 또는 사실적 상쇄를 지시할 것이다. 다음 규정을 적용함으로써 모호성을 피하도록 하자: S의 p에 대한 정당화가 증거적으로 상쇄될 때, 우리는 단순히 S의 p에 대한 정당화가 상쇄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다른 한편 만일 S의 p에 대한 정당화가 사실적으로 상쇄되지만 증거적으로는 상쇄되지 않는다면, 우리는 S의 p에 대한 정당화의 인식화할 잠재적 가능성이 상쇄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5) Let us see how this convention works in a concrete case. Consider again the Gettier case we discussed earlier. Smith is justified in believing

(1) Jones owns a Ford
and deduces
(2)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arcelona.

Since Brown happens to be in Barcelona, (2) is true. But Smith doesn't know (2) because there is (or so let's suppose) the following fact about his situation that is hidden from him:

(3) The Ford Jones drives is a Hertz rental car.

(3) is a contradicting defeater for (1): if Smith had evidence for believing (3), then he would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1) is false. However, (3) is hidden from Smith; he has no evidence at all for (3). Consequently, (3) does not defeat Smith'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2); it merely defeats the epistemizing potential of his justification for (2), and thus prevents Smith from knowing (2). Hence, in spite of (3), Smith is fully justified in believing (2). Indeed, it is an essential element of Gettier cases in general that the subject's justification remains intact. Gettier cases, after all, are cases of justified true belief.
5) 이러한 규정이 구체적인 사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도록 하자. 다시 우리가 먼저 논의하였던 게티어 사례를 고찰해 보자. 스미스는 다음과 같이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1) 존스는 Ford차를 소유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연역한다.
(2) 존스가 Ford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브라운이 바르셀로나에 있다.

브라운이 우연히 바르셀로나에 있으므로, (2)는 참이다. 그러나 스미스는 (2)를 알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그로부터 감추어진 그의 상황에 대한 다음과 같은 사실이 있기 때문이다 (또는 우리가 그렇게 가정하도록 하자).

(3) 존스가 모는 Ford차는 헤르츠가 빌려준 차이다.

(3)은 (1)에 대한 반박적 상쇄자이다. 즉 만일 스미스가 (3)을 믿기 위한 증거를 가지고 있다면, 그는 (1)이 거짓이라고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될 것이다. 그렇지만, (3)은 스미스로부터 감추어져 있다. 그래서 그는 (3)에 대해 전혀 아무런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3)은 스미스의 (2)를 믿기 위한 정당성을 상쇄시키지 않는다. 그리고 단지 (2)에 대한 그의 정당성의 인식화의 잠재적 가능성을 상쇄시킬 뿐이며, 그래서 스미스로 하여금 (2)를 알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3)에도 불구하고, 스미스는 (2)를 믿음에 있어서 완전히 정당화된다. 덧붙여서, 주체의 정당성이 온전히 남는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게티어 사례들의 본질적 요소이다. 게티어 사례들은 무엇보다도 정당화된 참인 믿음에 대한 사례들이다.


<16> 이러한 가능성을 부정하는 일부 철학자들이 있다 할지라도, 그들조차 아마도 내가 너무나 생생하여 사실은 내가 미친 과학자가 환각을 유발시키고 있는 연구실에 있을 때 나의 사무실에서 내 책상을 바라보고 있다고 믿을 만큼 그렇게 생생한 환각을 겪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17> 물론, 전제들이 확실한 연역적 논증은 오직 유도의 각 단계가 또한 확실할 때에만 확실한 결론을 낳는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