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uth

1) There are several competing philosophical theories about the nature of truth: the correspondence theory, verificationism, and pragmatism.<8> Here is what these theories assert: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belief that p is true if and only if it corresponds with the fact that p.

Verificationism
The belief that p is true if and only if it is an instance of (idealized) rational acceptability.<9>

Pragmatism
The belief that p is true if and only if it is useful.<10>

1) 참이라는 것의 본성에 대한 여러 경쟁적인 철학적 이론들이 있다. 그것은 대응론, 증거론, 그리고 실용주의이다. <8>이러한 이론들이 주장하는 것은 이와 같다.

대응론
p라는 믿음은 그 믿음이 p라는 사실과 대응한다면 그리고 그러할 때에만 참이다.

증거론
p라는 믿음은 그 믿음이 (이상화된) 합리적 수용가능성의 한 사례라면 그리고 그러할 때에만 참이다.<9>

실용주의
p라는 믿음은 그 믿음이 유용하다면 그리고 그러할 때에만 참이다.<10>

2) Each of these theories has its shortcomings. The problem with the correspondence theory is that unless we know (i) what a fact is and (ii) what it is for a belief to correspond to a fact, the definition doesn't tell us much. Moreover, if we try to explain what a fact is, we will see that it is difficult to do so without using the concept of truth. Hence it is doubtful that the correspondence theory can provide us with a noncircular account of truth.
2) 이러한 이론들 각각은 그 단점들을 지니고 있다. 대응론의 문제는 우리가 (i) 무엇이 사실인지 그리고 (ii) 믿음이 사실에 일치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한, 그 정의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더구나, 만일 우리가 사실이 무엇인지 설명하고자 노력한다면, 우리는 참에 대한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그렇게 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따라서 대응론이 우리에게 참에 대한 비순환적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은 의심스럽다.

3) Next, consider verificationism. Since "rational acceptability" is just another term for "justification," what verificationism tells us is that a true belief in a certain area is one that enjoys ideal justification - the best kind of justification we can come by in that area. The problem with this view is that it's not so easy to explain why it shouldn't be possible for a belief to enjoy such justification and nevertheless be false. Take the belief that there is an external world of physical bodies. This belief is a good candidate for an ideally justified belief. Many philosophers believe, however, that it is logically possible for this belief to be false. Descartes, for example, took it to be a logical possibility that an evil demon was deceiving him into believing that there is a world of physical objects, and many contemporary philosophers think that it is logically possible to be a brain in a vat that is somehow kept alive and stimulated so that the illusion of a normal life is generated. But if it is possible to be deceived by an evil demon or to be a brain in a vat, then it is possible for ideally justified beliefs about physical objects to be false. Since verificationists can't allow for evil-demon deception and unsuspecting brains in vats, they face the uphill battle of having to show what precludes such things from being possible.<11>
3) 다음으로, 증거론을 고찰해 보자. "합리적 수용가능성"은 단지 "정당성"의 또다른 말이므로, 증거론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은 특정한 영역에서 참인 믿음이 이상적 정당화 - 우리가 그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정당화 - 를 향유하는 그러한 한 가지의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과 관련된 문제는 그 관점이 믿음이 거짓이라고 할지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정당화를 누리는 것, 그것이 어째서 가능하지 않아야 하는지 설명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물리적 실체들의 외부세계가 있다는 믿음을 취해보자. 이 믿음은 이상적으로 정당화된 믿음의 훌륭한 후보이다. 그렇지만 다수의 철학자들이 이 믿음이 거짓이 되는 일이 논리적으로 가능하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데카르트는 한 사악한 악마가 그로 하여금 물리적 대상들의 세계가 있다고 믿도록 그를 기만하고 있었다는 것을 논리적인 가능성의 하나로 취했었고, 여러 현대 철학자들은 어떤 식으로든 계속 살아있으며 자극을 받아 일상적 삶이라는 환각이 산출되도록 된 통 속의 뇌가 있을 논리적 가능성을 생각한다. 그러나 만일 사악한 악마에 의해 기만받는 것이나 통 속의 뇌가 있는 것이 가능하다면, 물리적 대상들에 대해 이상적으로 정당화된 믿음들이 거짓일 것도 가능하다. 증거론자들은 사악한 악마의 기만과 의심하지 않는 통 속의 뇌를 허용할 수 없으므로, 그들은 그러한 것들을 존재할 가능성을 막는 어떤 것을 보여주어야만 하는 난관에 직면한다.
(진리치와 정당성은 독립적인가, 인식주체와 인식대상은 분리되어 있는가, 존재론과 인식론의 관계, 등등의 문제)

4) Finally, let's consider pragmatism, which proposes that a true belief is a useful belief. It is doubtful that truth and usefulness are as closely linked as this theory supposes. It is easy to imagine true beliefs that are not useful at all. Suppose you are about to take an oral examination on a difficult subject. You believe - unfortunately - that you are badly prepared. In all likelihood, this belief will not be useful to you; it might even make you more nervous than you would be anyhow, and thus lower your chances of passing the exam. Now suppose you believe - falsely - you are well prepared. This belief might be useful to you because it will make you more confident, and thus able to perform as well as your present level of ability allows. It would appear, therefore, that true beliefs can fail to be useful and useful beliefs can fail to be true.
4) 끝으로, 참인 믿음은 유용한 믿음이라고 제안하는 실용주의를 고려해 보도록 하자. 참과 유용성이 이 이론이 생각하는 만큼 밀접하게 연계된다는 것은 의심스럽다. 전혀 쓸모 없는 참인 믿음들을 상상하는 일은 쉽다. 당신이 한 어려운 주제에 대한 구두시험을 막 치려는 참이라고 가정해 보자. 당신은 - 불행하게도 - 당신이 준비가 영 안 되어 있다고 믿는다. 십중팔구 이 믿음은 당신에게 유용하지 않을 것이다. 그 믿음은 당신을 여느때보다 훨씬 불안하게 만들기조차 할 것이고, 그래서 당신이 시험에 통과할 가능성을 낮출 것이다. 이제 당신이 - 거짓으로 - 아주 잘 준비되었다고 믿는다고 가정해 보자. 이 믿음은 아마도 당신에게 유용할 것인데 왜냐하면 그 믿음은 당신이 더욱 자신감 있도록 해줄 것이고, 그래서 당신의 현재 수준에서 허용하는 만큼의 능력발휘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므로 참인 믿음들이 유용하지 않을 수 있고 유용한 믿음들이 참이 아닐 수 있는 것으로 보일 것 같다.
(인식론적 유용성과 윤리적-가치적 유용성의 차이.)

5) In spite of their respective shortcomings, each of these views has its advocates. Since we cannot delve any further into these matters here, we shall take a neutral stance concerning the nature of truth. However, we shall presuppose that in doing epistemology, we should be guided by the following two poin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truth and justification:

(i) It is possible that p is true although there is no one who has a justified belief that p.
(ii) It is possible for S to be completely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although p is false.

5) 그 이론들의 개별적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점들은 각기 그 지지자들을 가진다. 우리는 여기에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더 멀리까지 뒤적거릴 수 없으므로, 참의 본성에 대해 중립적 입장을 취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인식론을 수행함에 있어서 우리가 참과 정당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다음 두 가지 점들에 의해 인도되어야 한다고 추정해야 할 것이다.

(i) p라는 정당화된 믿음을 가진 사람이 한 사람도 없다 할지라도 p가 참인 것은 가능하다.
(ii) p가 거짓이라 할지라도 S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완전하게 정당화되는 것은 가능하다.

6) We will use the following example to illustrate the first point: Let p be a truth about what 999 is equal to. I don't have a justified belief that p for two reasons: first, I lack the requisite belief; and second, I didn't make any attempt to compute what that figure is equal to, so I have no justification for forming a belief about the matter.
6) 우리는 첫번째 사항을 설명하기 위해 다음의 예시를 사용할 것이다. p가 999에 등가인 어떤 것에 대해 참이라고 하자. 나는 두 가지 이유들로 p라는 정당화된 믿음을 가지지 못한다. 첫째, 나는 필요한 믿음을 결여하고 있다. 둘째, 나는 그 수치가 무엇인지 계산하기 위한 어떠한 시도도 하지 않았고, 그래서 나는 그 문제에 대해 하나의 믿음을 형성하기 위한 어떠한 정당성도 가지고 있지 않다.

7) To illustrate the second point, let us suppose that, unbeknownst to the public, Susan Rook, one of the anchors on CNN, has an identical twin sister, Sibyl Rook. Sometimes Sibyl, pretending to be Susan, reads the news, and except for a few people on the CNN staff, no one knows this is going on. Suppose you turn on CNN and believe yourself to be watching and listening to Susan Rook, when in fact Sibyl Rook is acting as the anchor on that occasion. Since you have no reason to suspect such a deception, your belief is justified. Nevertheless, it is false. Hence it is possible to have a justified false belief.
7) 두번째 사항을 설명하기 위해, 대중적으로는 알려지지 않은 CNN 앵커 수잔 룩이 똑같은 쌍둥이 자매 시뷜 룩을 하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 보자. 가끔 쉬빌은 수잔인 척하고 뉴스를 진행하고, 소수의 CNN 스텝들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을 모른다. 당신이 CNN을 켜고, 사실 시뷜 룩이 마침 앵커를 하고 있을 때, 당신 스스로 수잔 룩을 보고 또 듣고 있다고 믿는다고 생각해 보자. 당신은 그러한 속임수를 의심할 아무런 이유도 없으므로, 당신의 믿음은 정당화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믿음은 거짓이다. 따라서 정당화된 거짓 믿음을 가지는 것은 가능하다.

8) You may think that these points are inconsistent with verificationism. Note, however, that verificationism doesn't identify truth simply with justification, but with ideal justification. Hence a verificationist could accommodate the first point by arguing that a true belief about what 999 is equal to is one that is capable of ideal justification, whether or not I actually hold that belief and whether or not I actually have justification for it. For example, she could say that the equation in question is a truth because the community of the best-trained mathematicians endorses it. Concerning the second point, she could argue that when you mistake Sibyl for Susan Rook, you are completely justified in that belief although it is not an instance of a belief that enjoys ideal justification.<12>
8) 당신은 이러한 사항들이 증거론에는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지 모른다. 그렇지만 증거론은 참을 단순한 정당화와 동일시하지는 않고, 이상적 정당화와 동일시한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증거론자는 첫번째 사항에 대해 여지를 남겨둔다. 그러니까 999와 등가인 어떤 것에 대한 참인 믿음이 이상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 한 가지의 것이라고, 내가 실제로 그 믿음을 고수하든 하지 않든 그리고 내가 실제로 그 믿음에 대한 정당성을 가지든 갖지 않든 말이다. 예를 들어, 그녀(?)는 그 질문에서 방정식은 참인데 왜냐하면 최고로 숙련된 수학자들의 집단이 그것을 보증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사항과 관련해서, 그녀는 당신이 시뷜을 수잔 룩으로 착각했을 때, 당신은 그 믿음에 있어서 비록 그 믿음이 이상적 정당성을 향유하는 믿음의 일례가 아닐지라도 완전히 정당화된다고 주장할 수 있다.

Belief
믿음

1) The standard view is that a belief is an attitude one can have toward a proposition.<13> Epistemologists distinguish among the following three propositional attitudes. One can:

(i) believe that p (take p to be true);
(ii) disbelieve that p (take p to be false);
(iii) suspend judgment as to p (neither believe nor disbelieve p).
1) 표준적 관점은 믿음이 한 사람이 명제에 대해 취할 수 있는 하나의 태도라는 것이다.<13>

(i) p라는 것을 믿는다 (p를 참인 것으로 취한다);
(ii) p라는 것을 믿지 않는다 (p를 거짓인 것으로 취한다);
(iii) p에 관해 판단을 유보한다 (p를 믿지도 불신하지도 않는다).

2) Of course, disbelief is just a special case of belief, for if you disbelieve that p, then you believe that the negation of p is true.
2) 물론, 불신은 믿음의 굉장히 특수한 경우인데, 만일 당신이 p라는 것을 불신한다면, 당신은 p의 부정이 참이라는 것을 믿기 때문이다.

3) The concepts of theism, atheism, and agnosticism can be used to illustrate these three propositional attitudes. Let the proposition in question be that God exists. The theist believes that proposition, the atheist disbelieves it, and the agnostic neither believes nor disbelieves it, but suspend judgment on the matter of God's existence.
3) 유신론, 무신론, 불가지론의 개념들이 이러한 세 가지 명제적 태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신이 현존한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명제라고 하자. 유신론자는 그 명제를 믿고, 무신론자는 그 명제를 불신하며, 불가지론자는 그 명제를 믿지도 불신하지도 않지만, 신의 현존에 대한 문제에 대해 판단을 유보한다.

4) Note that, with regard to any proposition one consider, one cannot escape taking one of these three attitudes. If you wonder whether God exists - that is, if you consider the proposition "God exists" - then you must either beileve that God exists, disbelieve it, or suspend judgment on the question.
4) 한 사람이 고찰하는 어떤 명제에 대해서든, 그는 이 세 가지 태도들 중 하나를 취하는 일을 피할 수 없다는 점을 주의하라. 만일 당신이 신이 현존하는지 궁금해 한다면 - 즉, 만일 당신이 "신이 현존한다"라는 명제를 고찰한다면 - 당신은 신이 현존한다고 믿거나, 그것을 불신하거나, 또는 그 물음에 대해 판단을 유보해야만 한다.

5) Beliefs, of course, are held with various degree of intensity. You might be slightly inclined to believe that God exists, or you might be generally convinced that God exists although at times you have doubts, or you might feel so certain that he exists that there is no room in your mind for any doubt.
5) 물론 믿음들은 여러 상이한 강도로 주장된다. 당신은 신이 현존한다는 것을 약간 믿고 싶어 할지도 모르고, 또는 당신이 때로 의심들을 품을지라도 대체로 신이 현존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며, 혹은 신이, 당신의 마음에 어떠한 의심의 여지도 없이 현존한다고 강한 확신을 가질지도 모른다.

6) Before moving on to justification, let us consider one more distinction epistemologists make concerning the concept of belief: that between occurrent and standing beliefs. An occurent belief is one that is presently before your mind. For example, having just read about God's existence, your belief that God exists (or does not exist) might be one you are presently focusing on. If so, it is an occurent belief. Occurent beliefs can be either standing beliefs or beliefs that are newly formed. For example, that two and two equal four is a standing belief of yours that is not normally occurent. In contrast, a belief such as "The phone is ringing" is typically an occurent belief without being a standing belief.
6) 정당화로 넘어가기에 앞서, 믿음의 개념에 관련해 인식론자들이 만든 또 하나의 구별을 고찰해 보도록 하자. 그 구별은 일시적 믿음과 지속적 믿음 사이의 차이이다. 일시적 믿음은 지금 당신 마음 속에 떠오른 믿음이다. 예를 들어, 방금 막 신의 현존에 대해 읽었기 때문에, 신이 현존한다는(또는 현존하지 않는다는) 당신의 믿음은 당신이 지금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것일 터이다. 만일 그렇다면, 그것은 일시적인 믿음이다. 일시적 믿음들은 지속적 믿음들이 되거나 새롭게 형성되는 믿음들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에 2를 더하면 4와 같다는 것은 보통 일시적이지 않은 당신의 지속적 믿음이다. 반대로, "전화가 울리고 있다"와 같은 그런 믿음은 지속적인 믿음이 아닌 전형적으로 일시적인 믿음이다.


Justification
정당성

1) According to the JTB account of knowledge, for a true belief to amount to knowledge, it must be justified. Now, if the JTB account were true, we should be able to characterize justification as that which "epistemize" true belief - as that which turns true belief into knowledge. We have seen, however, that the three conditions of the JTB account are not sufficient for knowledge. What epistemizes true beilef is justification plus something else, or "de-Gettiered" justification. But if justification is not what "epistemizes" true belief, how can we charaterize it?
1) 앎에 대한 JTB 설명에 따르면, 참된 믿음이 앎이 되기 위해서 그 믿음은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 이제, 만일 JTB 설명이 참이라면, 우리는 정당화를 참인 믿음을 "인식화하는" 어떤 것으로서 규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즉 참인 믿음을 앎으로 만드는 그러한 어떤 것으로 말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JTB 설명의 세가지 조건들이 앎에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았다. 참인 믿음을 인식화하는 것은 정당화에 다른 어떤 것을 더하는 것이거나, "게티어문제를 해결한" 정당화이다. 그러나 만일 정당화가 참인 믿음을 "인식화하는" 어떤 것이 아니라면,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2) Epistemologists frequently answer this ques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two kinds of true beliefs: those that are lucky guesses and those that are not. Recall the example of a lucky guess we considered avobe: A professor believes, without taking a head count,

(1) And here we have full attendence once again

and he happens to be right. We assumed that his belief lacked justification because, instead of basing it on evidence acquired through counting, he simply succumbs to wishful thinking. The reason the professor's belief must be viewed a "lucky guess" is that he doesn't have evidence in support of (1). In fact, his knowledge that in the second week of semester class attendance usually drops makes it likely that (1) is false. Thus he has no reason to think that (1) is true, and if subsequently he were to assess the situation, he'd have to say that it was mere luck that he got things right. Let us, then, define a lucky guess as follows:

Lucky guess
S's belief that p is a lucky guess if and only if (i) p is true; (ii) S believes that p; (iii) S has no evidence for believing that p is true.

Note that we are not defining the concept of a lucky guess by simply saying: A lucky guess is a belief the truth of which is just a matter of luck. To do so would be misguided because, as Gettier cases illustrate, even a completely justified belief can be true as a result of sheer luck. Consider the Gettier case we stated earlier. Smith believes:

(2)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arcelona.

Smith's reasoning in support of (2) is impeccable. He has good evidence for believing that Jones owns a Ford, and he knows that (2) is entailed by the proposition that Jones owns a Ford. So as far as Smith's evidence and reasoning go, his belief is by no means a lucky guess. Yet, given that the first disjunct of (2) is false, there is a sense in which (2) is true by sheer luck. Brown just happens to be in Barcelona on the day Smith is ruminating about Jones's Ford. Had Brown changed his travel plans, he might have been somewhere else.
2) 인식론자들은 흔히 이 물음에 대해 참인 믿음들을 두 종류로, 즉 요행한 추측인 참믿음들과 그렇지 않은 것들로 구별함으로써 대답한다. 위에서 우리가 고찰하였던 요행한 추측의 예를 기억해 보자. 한 교수가 인원수를 세지도 않고 다음과 같이 믿는다.

(1) 여기 다시 한 번 전원이 출석하였다.

그리고 그는 우연히 맞았다. 우리는 그의 믿음이 정당성을 결여했다고 추정했는데, 왜냐하면, 세어 봄을 통해 획득된 증거에 기초하는 대신에, 그가 단순히 희망적인 생각에 굴복하였기 때문이다. 그 교수의 믿음이 틀림없이 "요행한 추측"으로 보이는 까닭은 그가 (1)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사실, 학기 둘째 주 강의실 출석률이 일반적으로 떨어진다는 그의 앎은 (1)이 거짓일 것처럼 만든다. 그래서 그는 (1)이 참이라고 생각할 아무런 이유도 없고, 만일 나중에 그가 그 상황을 평가한다면, 그는 그가 맞추었던 것이 순전히 행운이었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요행한 추측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도록 하자.

요행한 추측
p라는 S의 믿음은 (i) p가 참이고 (ii) S가 p를 믿으며 (iii) S가 p를 참이라고 믿을 아무런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만 요행한 추측이다.

우리가 요행한 추측을 단순히 그 참이 단지 요행인 그러한 믿음이라고만 말함으로써 요행한 추측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주의하자. 그렇게 하는 것[요행한 추측을 요행한 참으로만 정의하는 것]은 오해될 것인데 왜냐하면 게티어의 사례들이 보여주듯 완전히 정당화된 믿음조차 행운의 결과로서 참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앞서 진술하였던 게티어 사례를 고려해 보자. 스미스는 다음 명제를 믿는다.

(2) 존스가 Ford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브라운이 바르셀로나에 있다.

(2)를 뒷받침하는 스미스의 추론은 흠잡을 것이 없다. 그는 존스가 Ford차를 소유하고 있다고 믿을 훌륭한 증거를 가지고 있고, (2)라는 그의 앎은 존스가 Ford차를 소유하고 있다는 명제에 의해 수반된다. 스미스의 증거와 추론이 그러한 한에서, 그의 믿음은 요행한 추측일 수 없다. 하지만, (2)의 첫 번째 선언지가 거짓임을 고려해 보면, (2)가 순전히 운으로 참이라는 의미이다. 브라운은 단지 우연히 스미스가 존스의 Ford차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 그 날 바르셀로나에 있는 것이다. 브라운이 그의 여행 계획을 변경했다면, 그는 다른 어떤 곳에 있었을지 모른다.

3) We must distinguish, then, between two kinds of lucky beliefs. First, a belief can be lucky because, in relation to certain relevant facts, its truth was not a likely outcome. Second, a belief can be lucky because, in relation to the subject's evidence, its truth was not a likely outcome. Let us call the former a lucky truth (for lack of a better name), and the latter a lucky guess. Justification is what prevents a true belief from being a lucky guess, but not from being a lucky truth.
3) 그래서 우리는 두 종류의 요행한 믿음들을 구별해야만 한다. 첫째로, 한 믿음은 특정한 관련 사실들과의 관계에서 그것의 참이 도출되지 않았을 성싶기 때문에 요행한 것일 수 있다. 둘째로, 한 믿음이 그 주체의 증거와의 관계에서 그것의 참이 도출되지 않을 것 같기 때문에 요행한 것일 수 있다. 우리는 전자를 요행한 참 (더 나은 이름이 없으니) 이라 부르고, 후자를 요행한 추측이라 부르도록 하자. 정당화는 참인 믿음이 요행한 추측이 되지 않도록 막는 것이지만, 요행한 참이 되지 않도록 막는 것은 아니다.

4) We are now in a position to re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Gettier problem. What the Gettier problem shows us is that in order for a true belief to qualify as knowledge, it must satisfy two conditions: it must not be a lucky guess (that is, it must be justified), and it must not be a lucky truth. A true belief that isn't a lucky guess - like Smith's belief that (2) is true - may still be a lucky truth, and thus fall short of being knowledge. Hence in order to solve the Gettier problem, epistemologists have to figure out what kind of condition can prevent a true belief from being a lucky truth. Later in this chapter, we shall consider two proposals about what such a condition might look like. Before we can do that, however, we must examine a few more points about the nature of justification.
4) 이제 우리는 게티어 문제의 의미를 재평가하는 위치에 있다. 게티어 문제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참인 믿음이 앎의 자격을 얻기 위해서 그 믿음이 반드시 두 가지 조건들을 만족시켜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반드시 요행한 추측이 아니어야만 하고 (즉, 반드시 정당화되어야 하고), 반드시 요행한 참이 아니어야만 한다. 요행한 추측이 아닌 참인 믿음 - (2)가 참이라는 스미스의 믿음과 같이 - 은 여전히 요행한 참일 것이고, 그래서 앎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게티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인식론자들은 어떤 종류의 조건이 참인 믿음을 요행한 참이 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는지 알아내야 한다. 이 장 뒤에서, 우리는 그러한 한 가지 조건일 것 같기도 한 어떤 것에 대한 두 가지 제안들을 고찰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 일을 하기에 앞서 우리는 정당화의 본성에 대한 조금 더 많은 사항들을 검토해야만 한다.


The Property and The Activity of Justification
정당성의 속성과 활동

1)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activity of jsutifying a belief and a belief's property of being justified. When you engage in the activity of justifying a belief, you are explaining what evidence, or what reasons, you have in support of that belief. Your aim of to convince others - or perhaps yourself - that the belief in question is justified. About the logical relation between justification as a property and justification as an activity, two points must be made.
1) 믿음을 정당화하는 활동과 정당화된 것으로서 믿음의 속성을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다. 당신이 믿음을 정당화하는 활동을 시작할 때, 당신은 무엇이 당신이 그러한 믿음을 뒷받침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증거인지, 또는 근거들인지 설명하고 있다. 당신의 목표는 그 믿음이 정당화되느냐는 문제에 있어서 다른 사람들을 - 혹은 어쩌면 당신 자신을 - 납득시키는 것이다. 속성으로서의 정당성과 활동으로서의 정당화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해서, 두 가지 사항들이 구성되어야만 한다.

2) First, a belief of yours can have the property of being completely justified even if you have not engaged in the activity of justifying it. Consider your present belief that your are reading book. Obviously, unless very odd circumstances obtain, this is a justified belief, even though (in all likelihood) you have not bothered to explain to anyone your evidence in support of that belief.
2) 첫째로, 당신의 믿음은 완전히 정당화된 것으로서의 속성을 지닐 수 있는데 설령 당신이 그 믿음을 정당화하는 활동을 하지 않았더라도 그러하다. 당신이 책을 읽고 있다는 당신의 현재 믿음을 고려해 보자. 분명히, 아주 기이한 상황들이 존재하지 않는 한, 이 믿음은 정당화된 믿음이고, 설령 (아마도) 당신이 누군가에게 그 믿음을 뒷받침하는 당신의 증거를 설명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할지라도 그러하다.

3) Second, it is possible for you to have no idea how to justify a certain belief although that belief is, as a matter of fact, justified. Suppose that on your first day in an epistemology class, the instructor asks you what your justification is for believing that you exist. Suppose further that the question completely dumbfounds you, so that you can't think how to respond to it. Does that mean you are not justified in believing you exist? Clearly not. Hence it is one thing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and quite another for the believer to be able to show that the belief is justified.
3) 둘째, 당신이 특정한 믿음을 설령 사실은 정당화된다 할지라도 어떻게 정당화하는지 아무런 생각도 없을 수 있다. 당신의 인식론 강의 첫날, 강의자가 당신에게 당신이 현존한다는 것을 믿기 위한 당신의 정당성이 뭐냐고 묻는다고 가정해 보자. 더 나아가서 그 물음이 완전히 당신의 말문을 막히게 만들어서, 당신이 그 물음에 어찌 답할지 생각할 수도 없다고 하자. 그것이 당신으로 하여금 당신이 현존한다는 것을 믿는 데에 있어서 정당화되지 않는다는 뜻인가? 분명히 아니다. 따라서 믿음이 정당화된다는 한 가지의 것과 그 믿는 사람이 그 믿음이 정당화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는 또 다른 것은 전혀 다른 것이다.


Justificaiton and Evidence
정당성과 증거

1) There is a tight connection between one's justification for believing that p and one's evidence for p. According to some philosophers, we can even say that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believing p fits S's evidence.<14> Others would further tighten the connection between justification and evidence; they would say that one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if and only if one has adequate evidence for p and believes that p because of that evidence.<15>
1) p를 믿기 위한 정당성과 p에 대한 증거 사이에는 긴밀한 관련이 있다. 일부 철학자들에 따르자면, 우리는 S가 p라는 것을 믿음에 있어서 p를 믿는 것이 S의 증거에 들어맞는다면 그리고 오직 그러한 때에만 정당화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14> 다른 철학자들은 정당성과 증거 사이의 연결을 더욱 팽팽하게 조일 것이다. 그들은 한 사람이 p를 믿음에 있어서 그가 p에 대한 적절한 증거를 가지고 그 증거 때문에 p라는 것을 믿는다면 또 오직 그러한 때에만 정당화된다고 말할 것이다.

2) Traditionally, philosophers have recognized four sources of evidence: perception, introspection, reason, and memory. Perceptual evidence comes from our five senses: we have visual, auditory, olfactory, tactile, and gustatory experiences that provide us with evidential clues about the properties of physical objects. Introspection allows us to "look" inside ourselves, to know what mental states we are in: whether we are hungry, tired, excited, thinking about unicorns, worried about the future, and so on. Reason is the faculty that permits us to recognize such propositions as the following: p follows from q, p and q cannot both be true, p could not possibly be false, and p and q make r probable. Finally, memory permits us to retain knowledge that is derived from one of the others sources.
2) 전통적으로, 철학자들은 증거의 네 가지 원천들을 인정해 왔다. 그것들은 지각, 내성(성찰), 추론, 그리고 기억이다. 지각 증거는 오감으로부터 온다. 우리는 우리에게 물리적 대상들의 속성들에 대한 증거가 되는 조각들을 제공하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 경험들을 가진다. 내성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어떤 정신적 상태들에 처해 있는지, 그러니까 배가 고픈지, 피곤한지, 흥분되어 있는지, 유니콘들에 대해 생각하고 있는지, 미래에 대해 염려하고 있는지 따위를 알 수 있도록, 우리 자신의 내면을 "보는" 것을 가능케 한다. 추론은 우리로 하여금 다음과 같은 그런 명제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p는 q로부터 결과한다, p와 q가 모두 참일 수 없다, p가 거짓임은 가능할 수 없다, p와 q는 r을 개연적으로 만든다. 끝으로, 기억은 우리로 하여금 다른 원천들 중의 하나로부터 도출된 앎을 유지시킨다.

3) A reliable authority is one more commonly recognized source of evidence. Evidence based on a reliable authority can be acquired from an expert in a certain subject, an encyclopedia, an article in a trustworthy magazine, or the like.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evidence based on a reliable authority can be fully explained in terms of the other categories. Consider how you would acquire knowledge in Biology 101. The learning process in the classroom involves your senses: you hear the professor's voice, and you see what she writes on the board. Moreover, the professor's lectures and the textbook for this course convey a body of knowledge that was gained through cognitive processes and research methods combining perceptual observation, reason, and memory.
3) 또 하나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증거의 원천은 신뢰할 만한 권위이다. 신뢰할 만한 권위에 기초된 증거는 특정 주제의 전문가, 백과사전, 믿을 만한 지면, 또는 그와 비슷한 것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그렇지만 신뢰할 만한 권위에 기초된 증거가 그 외의 범주들로 완전히 설명될 수 있다는 점이 주의되어야 할 것이다. 당신이 어떻게 생물학 101에서 앎을 얻을 것인지 고려해 보자. 그 강의실에서의 학습과정은 당신의 감각들을 포함한다. 당신은 교수의 목소리를 듣고, 그녀가 칠판에 적는 것을 본다. 더욱이, 그 교수의 강의와 이 과정을 위한 교재는 지각적 관찰, 추론, 그리고 기억으로 조합된 인지 과정과 조사 방법들을 통하여 얻어진 앎의 집합체를 전달한다.

<11> 그래서 증거론( 또는 종종 이 관점이 그렇게 불리는 것으로서 반실재주의)를 지지하는 퍼트남은 정교한 논증을 내놓았다. 그에 따르면 통 속의 뇌는 가능할 수 없다.(?)

<12> 분명히, 이상적 조건들 아래에서, 당신은 당신이 실수로 수잔 룩이라고 믿는 그 여성의 참된 정체성을 밝히는 증거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