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One
1장

Knowledge and Justification
앎과 정당화

Epistemology
인식론

Epistemology is the study of knowledge and justified belief. To engage in this study is to seek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Q1. What is knowledge?
Q2. What do we know?
Q3. What is it for a belief to be justified?
Q4. Which of our beliefs are justified?
인식론은 앎과 정당화된 믿음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 참여한다는 것은 다음 물음들에 대한 답변들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질문 1. 앎이란 무엇인가?
질문 2. 우리는 무엇을 아는가?
질문 3. 믿음이 정당화된다는 것은 무엇인가?
질문 4. 우리의 믿음들 중 어떤 것이 정당화되는가?

1) To answer question 1, we must define the concept of knowledge, while to answer question 2, we must determine the extent of knowledge. Question 3 calls for an analysis of the concept of justification, which involves stating criteria that tell us when beliefs are justified and when they are not. And if we wish to answer question 4, we must figure out the extent of what we are justified in believing. According to skeptics, the extent of what we know and what we are justified in believing is smaller than we ordinarily think. They reason that we have no way of ruling out that an evil demon is deceiving us without our being aware of the deception, or that a mad scientist has reduced us to unsuspecting brains in vats. According to nonskeptics, the claim that we have no way of ruling out such skeptical hypotheses is false. Nonskeptics believe, therefore, that the actual extent of knowledge and justified belief is, by and large, what we ordinarily think it is.
1) 질문 1.에 답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반드시 앎의 개념을 정의해야만 하는 반면, 질문 2.에 대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반드시 앎의 범위를 확정하여야만 한다. 질문 3.은 우리에게 언제 믿음들이 정당화되고 또 언제 정당화되지 않는지를 알려줄 기준들을 진술하는 것을 수반하는 정당화의 개념에 대한 분석을 요구한다. 그리고 만일 우리가 질문 4.에 답하기를 바란다면, 우리는 반드시 우리가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범위를 이해해야만 한다. 회의주의에 따르면, 우리가 아는 것과 우리가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는 것의 범위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더욱 작다. 그들은 우리에게 사악한 악마가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우리를 속이고 있다거나, 한 미친 과학자가 우리를 이상한 낌새를 채지 못하는 통 속의 뇌로 뒤바꿨다는 것을 배제할 아무런 방법도 없다고 추론한다. 비회의론자들에 따르면 우리가 그러한 회의주의적 가정들을 배제시킬 어떠한 방법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주장은 거짓이다. 비회의론자들은 그러므로 앎과 정당화된 믿음의 실제 범위는 대체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범위 정도라고 믿는다.

2) The four questions listed above are theoretical in nature. Epistemologists, however, are also interested in a practical question: What should we believe?<1>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epistemologists must develop appopriate methodologies - methodologies that, if followed, help their practitioners to acquire justified beliefs, or even knowledge, and to avoid unjustified beliefs and error. Our focus in this book will be mostly theoretical. We shall discuss issues of practical epistemology only insofar as they bear on theoretical questions.
2) 위에 열거된 네 가지 물음들은 실상 이론적이다. 그렇지만 인식론자들은 또한 실천적인 문제에도 흥미를 가진다. 즉 우리가 믿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1>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진다.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해, 인식론자들은 반드시 적절한 방법론들을, 만일 그 방법론들에 따른다면 그 방법론들의 실천자들이 정당화된 믿음들, 또는 앎까지도 획득하도록 돕고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들과 오류를 피하도록 돕는 그러한 방법론들을 개발해야만 한다. 이 책에서 우리는 주로 이론적인 데에 촛점을 맞출 것이다. 우리는 실천적 인식론의 문제들을 오로지 그 문제들이 이론적 물음들과 관련되는 한에서만 논의할 것이다.

3) Many philosophers think there is a close conceptual connection between knowledge and justification. They hold that a belief cannot amount to knowledge unless it is justified. On that view, we cannot answer the two questions about knowledge wihtout answering the two questions about justification. However, since the nature and extent of justified belief is an independently interesting issue, questions 3 and 4 would still remain central questions of epistemology even if these philosophers were wrong.
3) 많은 철학자들이 앎과 정당화 사이에 밀접한 개념적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믿음이 정당화되지 않는 한 그것은 앎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우리는 정당화에 대한 두 가지 물음들에 대답하지 않고 앎에 대한 두 가지 물음들에 답할 수가 없다. 그렇지만, 정당화된 믿음의 본성과 범위는 그 자체로 흥미로운 문제이기 때문에, 물음 3.과 4.는 설령 [앎과 정당화 사이에 연관이 있다고 하는]그 철학자들이 틀렸다손 치더라도 여전히 인식론의 중심문제들로 남을 것이다.

4) In this chapter, we weill focus on the definition of knowledge and the role justification plays in that definition. In Chapter 2, we will consider precisely what we wish to accomplish when we attempt to analyze concepts such as knowledge and justification. In Chapter 3 through 8, we will consider various theories about the nature of justification. In Chapter 9, we will be concerned with issues of methodology, with how epistemology ought to be done. Finally, in Chapter 10, we will examine the extent of justified belief and knowledge and discuss skeptical and nonskeptical responses to questions 2 and 4.
4) 이 장에서, 우리는 앎에 대한 정의와 그 정의에 있어서 정당화가 수행하는 역할에 촛점을 맞출 것이다. 2장에서는 우리가 앎과 정당화 같은 개념들을 분석하고자 시도할 때 우리가 성취하길 바라는 바로 그것을 고찰할 것이다. 3장에서 8장까지에서는 정당화의 본성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고찰할 것이다. 9장에서는 방법론에 대한 문제들, 인식론이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관계할 것이다. 끝으로 10장에서는 정당화된 믿음과 앎의 범위를 검토하고 질문 2.와 질문 4.에 대한 회의주의와 비회의주의의 응답들을 논의할 것이다.


Propositional Knowledge
명제적 앎

1) When epistemologists concern themselves with knowledge, what they are interested in is the propositional meaning of the word "know," which must be distinguished from two other meanings. First, the word "know" can be used in the sense of "knowing how" to do a certain thing. For example, we may say: "He knows how to cook an omelet," or "She knows how to play the violin," or "They know how to pick good stocks." Second, the word "know" can be used in the sense of "being acquainted with." In this sense, knowing something, such as a place, a person, or a movie, involves becoming acquainted with it through a personal experience. I know Paris if I have been there and explored the city a bit; I know Arnold Schwarzenegger if I have met him; and I know the movie Vertigo if I have seen it.
1) 인식론자들이 앎에 관계할 때, 그들이 흥미를 가지는 것은 "안다"라는 말의 명제적 의미, 그 단어의 두 가지 다른 뜻들과 반드시 구별되어야만 하는 그러한 명제적 의미이다. 첫째로, "안다"라는 말은 특정한 어떤 것을 "할 줄 안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그는 오믈렛을 만들 줄 안다"라거나 "그녀는 바이올린을 켤 줄 안다," 또는 "그들은 좋은 가축을 고를 줄 안다"고 말할 것이다. 둘째로, "안다"라는 말은 "접한 적이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장소, 사람, 영화 따위의 어떤 것을 안다는 것은 개인적 경험을 통해서 그것과 접하게 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내가 만일 파리에 가 본 적이 있고 그 도시를 잠시 여행한 적이 있다면 나는 파리를 안다; 만일 내가 아놀드 슈왈츠제네거를 만난 적이 있다면 나는 그를 안다; 그리고 Vertigo라는 영화를 본 적이 있다면 나는 그 영화를 안다.

2) Knowledge in the propositional sense, however, is knowledge of facts; it is knowing that so-and-so. This kind of knowledge is called "propositional" because the phrase "so-and-so" is to be replaced with a sentence expressing a proposition. For example, replacing "so-and-so" in "I know that so-and-so" with the sentence "The opossum is a nocturnal animal" results in "I know that the opossum is a nocturnal animal."
2) 그렇지만 명제적인 의미에서 앎이란 사실들에 대한 앎이다. 그러한 앎은 이러저러하다는 것을 안다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앎이 "명제적"이라고 불리는데 왜냐하면 "so-and-so"라는 관용구가 명제를 표현하는 하나의 문장으로 대체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나는 이러저러하다는 것을 안다"라는 데에서 "이러저러하다"를 "주머니쥐는 야행성 동물이다"라는 문장으로 대체시키면 "나는 주머니쥐가 야행성 동물이라는 것을 안다"라는 것이 된다.

3) In order to ask the question, "What is knowledge?" in complete generality, let us use the letter S to stand for the subject to whom knowledge is attributed. Furthermore, instead of using the phrase "so-and-so" to represent the proposition known, let us use the letter p. This allows us to reformulate our question thus: What is it for S to know that p?<2> In contemporary epistemology, the dominant approach to answering this question is to state a set of conditions that are both necessary and sufficient for a person S to know that p.
3) 최대한 일반적으로  "앎이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을 던지기 위해서, 그의 앎이 그에게 귀결되는 주체를 대신해서 S라는 문자를 사용하도록 하자. 여기에 더해서, 알려진 명제를 표현하기 위해 "이러저러하다"라는 관용구를 사용하는 대신 문자 p를 사용하도록 하자. 이것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의 물음을 이와 같이 재정식화하도록 해준다. S가 p를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2> 현대 인식론에서, 이 물음에 대한 지배적인 접근은 S라는 사람이 P라는 것을 아는 데에 필요하고도 충분하기도 한 일련의 조건들을 진술하는 것이다.


Knowledge as Justified True Belief
정당화된 참인 믿음으로서의 앎

There is an analysis of knowledge, often referred to as the traditional or standard account, that holds that knowledge is justified true belief. We may state the conditions of the standard account of knowledge as follows:

The JTB Account
S knows that p if and only if(iff) (i) p is true; (ii) S believes that p; and (iii) S is justified in believing that p.
종종 전통적 또는 표준적 설명으로 언급되는 앎에 대한 분석이 있는데, 그것은 앎이란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라 주장한다. 우리는 앎에 대한 표준적 설명에 속하는 조건들을 다음과 같이 진술할 것이다.

정당화된 참인 믿음 설명
만일 (i) p가 참이고, (ii) S가 p라는 것을 믿으며, (iii) S가 p를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면, 그리고 오직 그러한 경우에만 S는 p를 안다.

1) The first condition, the truth condition, requires that p be true. What is known must be true, or to put it the other way around, it is impossible to know a proposition that is false. Here are two examples. First, since it is false that there is a fax machine on my desk, I cannot know that there is a fax machine on my desk. Second, many people believe that there are space aliens who periodically visit earth and abduct humans to perform experiments upon them. Some people claim that they themselves have been the victims of such abductions. According to the truth condition, if it is false that these people were abducted by space aliens, then they do not know they were abducted, however strongly they believe it.
1) '참 조건'인 첫 번째 조건은 p가 참일 것을 요구한다. 알려지는 것은 반드시 참이어야 하거나, 혹은 그걸 반대로 두고, 한 명제에 대해 그것이 거짓임을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 여기에 두 가지 예시들이 있다. 첫째로, 내 책상 위에 팩스기기가 있다는 것이 거짓이기 때문에, 나는 내 책상 위에 팩스기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없다. 둘째로, 많은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지구를 방문하고 인간들에게 실험을 하기 위해 그들을 납치하는 외계인들이 있다고 믿는다. 일부 사람들은 그들 자신들이 그러한 유괴들의 희생자들이었노라고 주장한다. 참 조건에 따르면, 이러한 사람들이 외계인들에 의해 유괴되었다는 것이 거짓이라면, 그들은 그들이 유괴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하지만, 그들은 강력하게 그걸 믿는다.

2) The second condition, requiring that S believe that p, is called the belief condition, there is, for example, the truth expressed by the 978th entry in the Chicago telephone book (assuming the possessor of the number listed in that entry hasn't disconnected service). Now, if I have got no idea what that number is and whom it belongs to, I don't have a belief about that matter, and thus don't know the truth contained in that entry.
2) S가 p를 믿을 것을 요청하는 두 번째 조건은 믿음 조건이라 불리는데, 예를 들어 시카고 전화번호부에 978번째 항목이 명시된 사실이 있다(그 항목에 기재된 번호의 소유자가 서비스를 끊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이제, 만일 내가 그 번호가 뭔지 그리고 그 번호가 누구 번호인지 아무 생각도 없다면, 그 문제에 대해서 나는 하나의 믿음을 가지지 않고, 그래서 그 항목에 포함된 진실을 알지 못한다.

3) According to the third condition of the JTB account, the justification condition, a true belief amounts to knowledge only if it is justified. This condition was first suggested by Plato. In his dialogue Theatetus, Socrates asks: What shall we say that knowledge is? Theatetus answers that knowledge is true opinion. Socrates is not pleased with this answer, and formulates an objection to it. In reply, Theatetus says:

There is a distinction, Socrates, which I have heard made by someone else, but I had forgotten it. He said that true opinion, combined with reason, was knowledge, but that the opinion which had no reason was out of the sphere of knowledge: and that things of which there is no rational account are not knowledge.<3>
3) JTB 설명의 세 번째 조건인 정당화 조건에 따르면, 참인 믿음은 오직 그것이 정당화될 때라야만 앎이 된다. 이 조건은 플라톤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다. 그의 대화편 『테아이테토스』에서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앎이라고 말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묻는다. 테아이테토스는 앎이란 참된 의견이라고 대답한다. 소크라테스는 이 대답에 달가워하지 않고, 그에 대해 하나의 반박을 내놓는다. 테아이테토스는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소크라테스, 제가 다른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것을 들었던 것은 다른 점이 있습니다만, 저는 잊어 버렸습니다. 그는 근거와 결합된 참된 의견은 앎이지만, 아무런 근거도 없는 의견은 앎의 테두리 밖에 있다고, 그리고 아무런 합리적인 설명도 없는 그러한 것들은 앎이 아니라고 말했습니다.<3>

4) The distinction Theatetus alludes to is that between beliefs supported by reason and beliefs not supported by reason, and his proposal is that true beliefs qualify as knowledge only if they are supported by reason. In contemporary parlance, the distinction is that between justified and unjustified beliefs, and the condition Theatetus is proposing is that for a true belief to amount to knowledge, it must be justified.
4) 테아이테토스가 언급하는 차이점은 근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믿음들과 근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 믿음들 사이의 차이이고, 그의 제안은 참된 믿음들이 오로지 근거에 의해 뒷받침되어야만 앎의 자격을 얻는다는 것이다. 현대적 용어로, 그 차이는 정당화된 믿음들과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들 사이의 차이이고, 테아이테토스가 내놓고 있는 조건은 참된 믿음이 앎이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반드시 정당화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5) What is the rationale for claiming that justification is necessary for knowledge? Many epistemologists would say that an unjustified true belief is no more than a lucky guess, and that a lucky guess falls short of being knowledge.
5) 정당화가 앎의 필요조건이라고 주장하기 위한 근거는 무엇인가? 많은 인식론자들은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은 요행스런 추측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고, 그리고 요행한 추측은 앎이기에 부족하다고 말할 것이다.

6) Here is an example of what is meant by calling a belief a "lucky guess." Consider a professor who enjoys full attendance in his logic class during the first week of the semester. On Monday of the second week, there does not appear to be an obvious drop in attendance, and the professor forms the belief: "And here we have full attendance once again." As a matter of fact, the professor's belief is true. However, he has no evidence to support his belief, for there are too many students taking his course for him to recognize how many are in attendance just by glancing around the classroom. Moreover, the fact that there was full attendance throughout the entire first week does not mean that there will be full attendance throughout the second week. Actually, after the first week of a course, a drop in attendance is to be expected. Hence, in order to be justified in believing that there is full attendance, the professor would have to count how many students are actually in his classroom. But he doesn't do that. Instead, he succumbs to wishful thinking. He is hoping for full attendance, and when he looks out on a nearly full classroom, he just can't help believing that all of his student are present. The professor's belief, then, is unsupported by evidence and triggered by wishful thinking. Though ture, it is an unjustified belief - a lucky guess - and thus is not an instance of knowledge.
6) 하나의 믿음을 '요행한 추측"이라고 이름으로써 뜻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하나의 예시가 여기 있다. 학기 첫 주 동안 그의 논리학 수업에 전원이 출석해서 즐거워하는 한 교수를 생각해 보자. 둘째 주 월요일에, 출석률이 뚜렷하게 감소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았고, 그 교수는 다음과 같은 믿음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시 한 번 전원 출석을 하였다." 사실, 그 교수의 믿음은 참이다. 그렇지만, 그는 그의 믿음을 뒷받침할 아무런 증거도 가지고 있지 않은데, 왜냐하면 그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너무나 많아서 그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출석하였는지 단지 강의실을 한 번 죽 훑어 보는 것만으로는 알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첫째 주 전체를 통해 전원이 출석했다는 그 사실은 둘째 주를 통해서도 전원이 참석할 것임을 의미하진 않는다. 실제로, 강의 첫째주 이후로는 출석률 감소가 예상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전원이 출석했다는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되기 위해서, 그 교수는 그의 강의실에 실제로 얼마나 많은 학생들이 있는지 헤아려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대신에, 그는 낙관적 생각에 굴복한다. 그는 전원 출석을 희망하고 있으며, 그가 거의 가득 찬 강의실을 바라보았을 때, 그는 그저 그의 학생 전부가 출석해 있다고 믿을 수밖에 없다. 그 교수의 믿음은 그래서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고 낙관적 생각에 의해 촉발된다. 참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 - 요행한 추측 - 이며 그래서 앎의 사례가 아니다.


The Gettier Problem
게티어 문제

1-1) According to the standard account, knowledge is justified true belief. In his famous paper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Edmund Gettier demonstrated, however, that the three conditions of the standard account are not sufficient.<4> Let us consider one of the two counterexamples he presented in that paper.
Suppose Smith is justified in believing

(1) Jones owns a Ford.
1-1) 표준적 설명에 따르자면 앎이란 정당화된 참인 믿음이다. 그렇지만 에드문트 게티어는 그의 유명한 논문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앎인가?"에서 표준 설명의 세 가지 조건들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4> 그가 그 논문에서 제시한 두 가지 반례들 중 하나를 살펴보도록 하자.
스미스가 다음과 같이 믿는 것이 정당화되었다고 가정하자.

(1) 존스는 Ford차를 소유하고 있다.

1-2) because, as far back as Smith can remember, Jones has always owned a Ford, and he just got a ride in a Ford Jones claimed was his. As a matter of fact, Jones sold his old Ford and is currently driving a Ford he rented from Hertz. Hence (1) is false. Suppose further that Smith applies the laws of deductive logic to (1) and deduces the following three propositions about the whereabouts of his friend Brown:

(2)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oston.
(3)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arcelona.
(4) Either Jones owns a Ford or Brown is in Brest-Litovsk.
1-2) 스미스가 기억할 수 있는 한에서 존스는 언제나 Ford차를 가지고 있었고, 존스가 존스 자신의 차라고 주장했던 Ford차를 방금 타고 갔기 때문이다. 사실은, 존스는 그의 오래된 Ford를 팔았고 지금은 그가 헤르츠로부터 빌렸던 Ford차를 운정하고 있다. 따라서 (1)은 거짓이다. 나아가 스미스가 연역 논리의 법칙을 (1)에 적용하여 그의 친구 브라운의 소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명제들을 도출했다고 가정해 보자.

(2) 존스가 Ford차를 가지고 있거나 브라운이 보스턴에 있다.
(3) 존스가 Ford차를 가지고 있거나 브라운이 바르셀로나에 있다.
(4) 존스가 Ford차를 가지고 있거나 브라운이 브레스트-리토프스크에 있다.

1-3) By sheer coincidence, Brown happens to be in Barcelona. Hence (3) happens to be true. Smith, however, has no evidence at all for believing that Brown is in Barcelona. Nevertheless, according to Gettier, Smith is justified in believing (3). Gettier defends this claim by appealing to the following principle:

If S is justified in believing p, and p entails q,<5> and S believes q because he deduces q from p, then S is justified in believing q.<6>
1-3) 순전히 우연의 일치로, 브라운은 마침 바르셀로나에 있다. 따라서 (3)은 우연히도 참이다. 그렇지만 스미스는 브라운이 바르셀로나에 있다는 것을 믿을 아무런 증거도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티어에 따르면, 스미스는 (3)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 게티어는 이러한 주장을 다음 원칙에 호소함으로써 옹호한다.

만일 S가 p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면, 그리고 p가 q를 수반한다면,<5> 또 S가 p로부터 q를 도출하였기 때문에 q를 믿는다면, S가 q를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6>

1) Although some philosophers have challenged this principle, it must be admitted that it is quite plausible. Its plausibility derives from the fact that there is no better way of expanding the stock of one's justified beliefs than through deduction.<7> If we apply this principle to our case, we can reason thus: Smith is justified in believing (1), he recognizes that (1) entails (3), and thus deduces (3) from (1); consequently, he is justified in believing (3). However, does he know that (3) is true? Since (1) is false, and Smith has no evidence at all for believing that Brown is actually in Barcelona, we'd have to say that he does not. Hence (3) is an example of a justified true belief that falls short of being knowledge.
1) 일부 철학자들이 이 원칙에 저항하였다 할지라도, 그 원칙이 타당하다는 것은 인정될 수밖에 없다. 그 원칙의 정당성은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정당화된 믿음을 확장시키는 방법으로 연역을 통하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은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로부터 나온다.<7> 만일 우리가 이 원칙을 우리의 경우에 적용한다면, 우리는 따라서 스미스가 (1)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그리고 그가 (1)이 (3)을 수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따라서 (1)로부터 (3)을 도출한다고, 즉 결론적으로, 그는 (3)을 믿음에 있어서 정당화된다고 추론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가 (3)이 참임을 아는가? (1)이 거짓이므로, 그리고 스미스는 브라운이 실제로 바르셀로나에 있다는 것을 믿을 아무런 증거도 전혀 없으므로, 우리는 그가 알지 못한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3)은 앎이기에는 불충분한 정당화된 참인 믿음의 일례이다.

2) In order to solve the Gettier problem, the definition of knowledge must be modified either by adding a fourth condition or by building an appropriate clause into the justification condition. Later in this chapter, we will return to this issue. In the meantime, let's briefly consider each of the three concepts that figure in the traditional account of knowledge: truth, belief, and justification.
2) 게티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앎에 대한 정의는 네 번째 조건을 추가함으로써든 아니면 정당화 조건에 적합한 구절을 붙박음으로써든 수정되어야만 한다. 이 장의 뒷부분에서, 우리는 이 문제로 되돌아올 것이다. 그 동안에, 앎에 대한 전통적인 설명에 등장하는 세 가지 개념들, 참, 믿음, 그리고 정당화의 각각을 간략하게 고찰하도록 하자.

<1> According to Roderick Chisholm (1989), the practical purpose of epistemology can be put thus: "We want to do our best to improve our set of beliefs - to replace those that are unjustified by others that are justified and to replace those that have a lesser degree of justification with others that have a greater degree of justification" (p.1). For an elaboration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mensions of epistemology, see Sosa (1991), essay 14.
<1> 로데릭 치솔름(1989)에 따르면, 인식론의 실천적 의도는 따라서 "우리는 우리의 일련의 믿음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를 바란다 - 정당화되지 않은 믿음들을 정당화된 다른 믿음들로 정당화의 정도가 부족한 믿음들을 정당화의 정도가 더욱 큰 다른 믿음들로 대체하기를 바란다"(p.1)라고 제시될 수 있다. 인식론의 이론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에 대한 노작에 대해서는 소사(1991), 소론 14를 보라.

<2> An expression of the form "S knows that p" is called a "schema." A schema is a formula that is neither true nor false, but can be transformed into a sentence that is true or false by making appropriate replacements. Thus, if we replace "S" with "Socrates" and "p" with "Courage is a virtue," the result is: "Socrates knows that courage is a virtue." Since strict adherence to the "that" clause can result in awkward formulations, we shall also use the phrase "S knows p," taking it to be understood that substituting a proposition for "p" will call for adding a "that."
<2> "S가 p라는 점을 안다"라는 형태의 표현은 "도식"이라 불린다. 도식은 참도 거짓도 아니지만 적절한 대체물들을 만듦으로써 참 또는 거짓인 문장으로 변형될 수 있는 식이다. 그래서, 만일 우리가 "S"를 "소크라테스"로 그리고 "p"를 "용기는 하나의 탁월함이다"로 대체한다면, 그 결과는 "소크라테스는 용기가 하나의 탁월함이라는 것을 안다"가 된다. "that(~라는 점, 사실, 것)" 절에 대한 엄격한 고수는 어색한 어구들을 귀결할 수 있으므로, 우리는 또한 "S가 p를 안다"라는 구를, "that"을 추가할 것을 요구할 "p"라는 명제를 대신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으로 취하면서, 사용할 것이다.

<3> Theatetus 200d - 201d. Quoted from The Dialogues of Plato, 4th ed., trans. Benjamin Jowett (Oxford: The Clarendon Press, 1953).
 
<4> See Gettier (1963).

<5> By saying that p entails q, we mean that it's not possible for p to be true and q to be false.
<5> p가 q를 수반한다고 말함으로써, 우리는 p가 참이면서 q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 This principle asserts that justification is transmitted from one proposition to another through recognized entailments. It is also referred to as the "closure" principle because it tells us that moving from one proposition to another on the basis of a recognized entailment does not get us outside of the closed area of justified beliefs. See Dancy (1985), pp. 10f.
<6> 이 원칙은 정당화가 의식된 계사 한정들을 통해서 한 명제에서 다른 명제로 전해진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또한 "폐쇄 원칙"으로 언급되기도 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우리에게 의식된 계사 한정에 기초한 한 명제로부터 다른 명제로의 이동이 정당화된 믿음들의 폐쇄된 영역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주기 때문이다.

<7> The reason for that is that deduction is truth-preserving. If p is true and q can be deduced from p, then it is impossible that q is false. See Klein (1992), p.460.
<7> [연역보다 더 나은 정당화된 믿음들의 확장방법이 없는]그 이유는 연역이 진리-보존적이라는 것이다. 만일 p가 참이고 q가 p로부터 연역된다면, q가 거짓이기는 불가능하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