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1) This book presents a systematic, up-to-date account of the landscape of contemporary epistemology. To ensure that it is suitable for introductory epistemology courses, I have explained each issue from scratch, presupposed very little philosophical knowledge, and included an account of the logical and conceptual tools that are used for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analysis. Numerous examples illustrate the problems, theories, objections, and rebuttals that make up the meat of each topic, and study questions and excercises at the end of each chapter review and reinforce the material covered in that chapter.
1) 이 책은 현대 인식론의 조망에 대한 체계적인 최신의 설명을 제시한다. 이 책이 입문 수준의 인식론 과정들을 위해 적합하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나는 각각의 문제를 아무런 예비 없이 설명하였고, 아주 적은 철학적 지식만을 상정하였으며, 철학적 논의와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이고 개념적인 수단들에 대한 설명을 포함시켰다. 많은 예시들은 각 주제의 골자를 이루는 문제들, 이론들, 반박들, 그리고 반증들을 설명하며, 각 장 말미의 학습과제들과 연습문제들은 해당 장에서 다루어진 제재[題材]를 복습하고 보강한다.

2) The writer of a textbook of limited length must make some kind of trade-off between breadth and depth, between including every important topic and doing full justice to every topic included. This book, I believe, offers a reasonable compromise. It contains chapters on all the central topics of epistemology - the analysis of knowledge, epistemic justification, foundationalism, coherentism, reliabilism, traditional versus naturalistic epistemology, and skepticism - and discusses each of these topics in depth. Thus it is of interest to both undergraduates and beginning graduate students who wish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epistemological territory.
2) 제한된 난이도의 교재를 저술하는 사람은 반드시 넓이와 깊이 사이에서, 중요한 모든 주제를 포함하는 일과 포함된 각각의 모든 주제를 완전히 공평하게 다루는 일 사이에서, 일종의 균형을 이루어야만 한다. 내가 믿기로 이 책은 합리적인 절충을 제공한다. 이 책은 인식론에 대한 모든 중심 주제들에 대한 장들을 - 앎에 대한 분석, 인식론적 정당화, 토대론, 정합론, 신빙론, 전통적 인식론 대(對) 자연주의적 인식론, 회의주의 - 포함하며 이러한 주제들 하나하나를 깊이있게 논의한다. 그래서 인식론 분야에 정통하고자 하는 학부생들과 석사 초년생들 모두에게 이 책은 흥미있는 것이다.

3) There are sections in this book in which, some will think, I unnecessarily digress from the main theme or pursue a particular issue for too long. Since diverging judgments about such matters can't be avoided, I propose that instructors simply choose from the table of contents to make up a menu of their own liking.
3) 이 책에는 일부 사람들에게 내가 불필요하게 핵심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지나치게 장황하게 특정 주제를 파고든다고 생각하게 될 부분들이 있다. 그러한 문제들에 대해 의견이 갈리는 것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나는 강의자들이 그들의 고유한 취향에 맞는 계획표를 구성하도록 목차에서 단순히 선택할 것을 제안한다.

4) One epistemological topic conspicuously missing from this book is perception. I decided to omit this topic because including it would have meant either making the book too long for an introductory test or omitting some other topic I considered too important to leave out. I suggest that instructor who want to cover perception use supplementary course materials. Another feature of this book that needs explaining is the location of the chapter on skepticism. Since skeptical arguments are an excellent device for getting students excited about the study of epistemology, a discussion of them might reasonably be expected at the book's beginning. A satisfactory treatment of skepticism, however, requires a good grasp of what epistemology is about, plus a certain amount of skill at philosophical reasoning. For these reasons, I have placed the discussion of skepticism at the very end of the book.
4) 이 책에서 명백하게 결여된 한 가지 인식론적 주제는 지각이다. 나는 이 주제를 생략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왜냐하면 그 주제를 포함한다는 것이 이 책을 입문 수준의 시도로서는 지나치게 길게 만들거나 내가 배제시킬 수 없을 만큼 중요하게 고려하는 다른 어떤 주제를 생략한다는 것을 의미했을 터이기 때문이다. 나는 지각을 포괄하길 원하는 강의자가 추가적인 강의교재들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설명을 요하는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회의주의를 다루는 장의 위치이다. 회의적 논증들은 학생들을 인식론에 열광케 하기 위한 훌륭한 장치이기 때문에, 그 논증들에 대한 논의는 마땅히 이 책의 서두에 올 것이 예상될 것이다. 그렇지만 회의주의에 대한 만족스러운 논의는 인식론이 무엇에 대한 것인를 훌륭하게 이해할 것을, 거기에 더하여 철학적 추론에 있어서 일정 정도의 기술을 요한다. 이러한 이유들로, 나는 회의주의에 대한 논의를 이 책의 말미에 두었다.

5) I have tried, as far as possible, to link particular theories to the philosophers who advocate them because I think the best way to penetrate a philosophical issue is to look at the writings of philosophers who are widely regarded as representing opposing camps on that issue. Hence much of the book is devoted to discussing William Alston as a critic of the deontological concept of epistemic justification; Laurence Bonjour and Keith Lehrer as advocates of coherentism; Alvin Goldman as a proponent of reliabilism; W. V. Quine, Alvin Goldman, and Hilary Kornblith as advocates of naturalized epistemology. Other contemporary philosophers whose writings either figure in, or have influenced this book are Robert Audi, Roderick Chisholm, Alvin Plantinga, and Ernest Sosa.
5) 나는 가능한 한 특수한 이론들이 그 이론들을 지지한 철학자들과 연계되도록 노력하였는데, 왜냐하면 나는 철학적 문제를 통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그 문제에 대해 반대 진영을 대표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철학자들의 저술들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책의 상당부분은 인식론적 정당화의 의무론적 이해에 대한 비판자로서 윌리엄 알스톤을, 정합론에 대한 대변자들로서 로렌스 봉주르와 케이트 레러를, 신빙론의 제안자로서 앨빈 골드만을, 자연주의화된 인식론에 대한 지지자들로서 W. V. 콰인, 앨빈 골드만, 그리고 힐러리 콘빌스를 논의하는 데에 할애된다. 이 책에 저술들이 등장하거나 또는 영향을 미친 다른 동시대 철학자들은 로버트 아우디, 로드릭 치셜럼, 앨빈 플랜팅가, 그리고 어니스트 소사이다.

6) I don't believe that a textbook writer should attempt to adopt a neutral point of view. Concealing one's own stand on the issues under consideration usually results in a stale and lackluster product. Thus on occasion I have added my own two cents to the issues I discuss. Of course I have done my best to give each theory and point of view a fair hearing.
6) 나는 교재 저술가가 중립적 관점을 취해야 한다고는 믿지 않는다. 그 주제들에 대한 한 개인의 고유한 입장을 고려 하에 감추는 것은 보통 진부하고 생기 잃은 산물을 낳는다. 그래서 가끔 나는 나 자신의 2센트 짜리(시덥잖은) 생각들을 내가 논의하는 문제들에 덧붙였다. 물론 나는 각각의 이론과 관점을 공평하게 듣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7) I am indebted to Ted Bolen for his encouragement and support, to my colleague Casey Swank for reading the entire manuscript and discussing it with me, to Noah Lemos for his helpful comments on several chapters, and to my reviewers, Mark Bernstein, Douglas C. Long, and Paul E. Tibbetts, for their comments and criticisms. I am especially grateful to a reviewer who would like to remain anonymous for generously providing me with a vast amount of ciritical comments.
7) 나는 테드 볼렌에게 그의 응원과 지지에 대한 감사를 전하며, 나의 동료 케이시 스웽크에게는 전체 원고를 읽어주고 나와 함께 논의해준 점에 감사를 표하고, 노아 레모스에게는 여러 장들에 대한 그의 유익한 논평들을, 그리고 나의 논평자들인 마크 번슈타인과 더글라스 C. 롱, 그리고 폴 E. 티벳츠에게는 그들의 논평들과 비평들을 감사하는 바이다. 나는 특히나 나에게 엄청난 양의 비평적 논평들을 아낌없이 내놓은, 익명으로 남기를 바란 한 사람의 논평자에게 감사를 표한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