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
Was die objektive Einheit des Selbstbewußtseins sei
자기의식의 객관적 통일이란 무엇인가

Die transzendentale Einheit der Apperzeption ist diejenige, durch welche alles in einer Anschauung gegebene Mannigfaltige in einen Bewgriff vom Objekt vereinigt wird. Sie heißt darum objektiv, und muß von der subjektiven Einheit des Bewußtseins unterschieden werden, die eine Bestimmung des inneren Sinnes ist, dadurch jenes Mannigfaltige der Anschauung zu einer solchen Verbindung empirisch gegeben wird. Ob ich mir des Mannigfaltigen als zugleich, oder nach einander, empirisch bewußt sein könne, kommt auf Umstände, oder empirische Bedingungen, an. Daher die empirische Einheit des Bewußtseins, durch Assoziation der Vortstellungen, selbst eine Erscheinung betrifft, und ganz zufällig ist. Dagegen steht die reine Form der Anschauung in der Zeit, bloß als Anscahuung überhaupt, die ein gegebenes Mannigfaltiges enthält, unter der ursprünglichen Einheit des Bewußtseins, lediglich durch die notwendige Beziehung des Mannigfaltigen der Anschauung zum Einen: Ich denke; also durch die reine Synthesis des Verstandes, welche a priori der empirischen zum Grunde liegt. Jene Einheit ist allein objektiv gültig; die empirische Einheit der Apperzeption, die wir hier nicht erwägen, und die auch nur von der ersteren, unter gegebenen Bedingungen in concreto, abgeleitet ist, hat nur subjektive Gültigkeit. Einer verbindet die Vorstellung eines gewissen Worts mit einer Sache, der andere mit einer anderen Sache; und die Einheit des Bewußtseins, in dem, was empirisch ist, ist in Ansehung dessen, was gegeben ist, nicht notwendig und allgemein geltend.
→ 통각의 초월론적 통일은 그를 통하여 직관에 주어진 모든 잡다가 대상에 대한 개념 안으로 결합되는 그러한 것이다.→ 그 통일은 그런 이유로 객관적이라 일컬어지고, 의식의 주관적 통일, 내적 감관의 규정이며, 그를 통하여 저 직관의 잡다가 그러한 하나의 결합에 경험적으로 주어지는 그러한 통일과 구분되어야만 한다.→ 내가 잡다에 속하는 나에게 경험적으로 동시적으로 의식될 수 있는지, 아니면 연속적으로 의식될 수 있는지 하는 것은 상황들 또는 경험적 조건들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의식의 경험적 통일은 표상들의 연관을 통하여 스스로 하나의 현상에 관계하고, 전적으로 우연적이다.→ 그에 반해 직관의 순수 형식은 시간 안에서 순전히 직관 일반으로서 존립하고, 그러한 직관은 주어진 잡다를, 그 의식의 근원적 통일 아래에서, 오로지 직관의 잡다와 내가 생각한다는 그 하나의 것과의 필연적 관계를 통해서; 그러므로, 경험적인 것들의 토대를 선험적으로 마련하는 지성의 순수한 종합을 통해서만 포함한다.→ 오로지 저 통일만이 객관적으로 정당하다; 우리가 여기에서 고려치 않으며 또한 그 통일이 단지 전자의 통일로부터만, 주어진 조건들 아래에서 확고하게, 파생되는 통각의 경험적 통일은 오직 주관적 정당성만을 가진다.→ 한 사람은 언어의 표상을 사태와 결합시키고, 또 다른 언어표상을 또 다른 사태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경험적인 어떤 것 내에서 의식의 통일은 주어진 어떤 것에 관계하는 것이고 필연적이거나 우세하지 않다.


Die transzendentale Einheit der Apperzeption ist diejenige, durch welche alles in einer Anschauung gegebene Mannigfaltige in einen Bewgriff vom Objekt vereinigt wird.
통각의 초월론적 통일은 그를 통하여 직관에 주어진 모든 잡다가 대상에 대한 개념 안으로 결합되는 그러한 것이다.
→ 통각의 초월론적 통일은 그를 통하여 직관에 주어진 모든 잡다가 대상에 대한 개념 안으로 결합되는 그러한 것이다.
Sie heißt darum objektiv, und muß von der subjektiven Einheit des Bewußtseins unterschieden werden, die eine Bestimmung des inneren Sinnes ist, dadurch jenes Mannigfaltige der Anschauung zu einer solchen Verbindung empirisch gegeben wird.
그 통일은 그런 이유로 객관적이라 일컬어지고, 의식의 주관적 통일과 구분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통일은 내적 감관의 규정이며, 그를 통하여 저 직관의 잡다가 그러한 하나의 결합에 경험적으로 주어진다.
→ 그 통일은 그런 이유로 객관적이라 일컬어지고, 의식의 주관적 통일, 내적 감관의 규정이며, 그를 통하여 저 직관의 잡다가 그러한 하나의 결합에 경험적으로 주어지는 그러한 통일과 구분되어야만 한다.
Ob ich mir des Mannigfaltigen als zugleich, oder nach einander, empirisch bewußt sein könne, kommt auf Umstände, oder empirische Bedingungen, an.
내가 잡다에 속하는 나에게 동시적으로, 아니면 연속적으로, 경험적으로 의식될 수 있는지, 상황들 또는 경험적 조건들에 의존한다.
→ 내가 잡다에 속하는 나에게 경험적으로 동시적으로 의식될 수 있는지, 아니면 연속적으로 의식될 수 있는지 하는 것은 상황들 또는 경험적 조건들에 의존한다.
Daher die empirische Einheit des Bewußtseins, durch Assoziation der Vortstellungen, selbst eine Erscheinung betrifft, und ganz zufällig ist.
그러므로 의식의 경험적 통일은 표상들의 연관을 통하여 스스로 하나의 현상에 관계하고, 전적으로 우연적이다.
→ 그러므로 의식의 경험적 통일은 표상들의 연관을 통하여 스스로 하나의 현상에 관계하고, 전적으로 우연적이다.
Dagegen steht die reine Form der Anschauung in der Zeit, bloß als Anscahuung überhaupt, die ein gegebenes Mannigfaltiges enthält, unter der ursprünglichen Einheit des Bewußtseins, lediglich durch die notwendige Beziehung des Mannigfaltigen der Anschauung zum Einen: Ich denke; also durch die reine Synthesis des Verstandes, welche a priori der empirischen zum Grunde liegt.
그에 반해 직관의 순수 형식은 시간 안에서 순전히 직관 일반으로서 존립하고, 그러한 직관은 주어진 잡다를 포함한다, 그 의식의 근원적 통일 아래에서, 오로지 직관의 잡다와 하나의 것, 내가 생각한다는 것과의 필연적 관계를 통해서만; 그러므로 지성의 순수한 종합을 통해서, 경험적인 것들의 토대를 선험적으로 마련하는.
→ 그에 반해 직관의 순수 형식은 시간 안에서 순전히 직관 일반으로서 존립하고, 그러한 직관은 주어진 잡다를, 그 의식의 근원적 통일 아래에서, 오로지 직관의 잡다와 내가 생각한다는 그 하나의 것과의 필연적 관계를 통해서; 그러므로, 경험적인 것들의 토대를 선험적으로 마련하는 지성의 순수한 종합을 통해서만 포함한다.
Jene Einheit ist allein objektiv gültig; die empirische Einheit der Apperzeption, die wir hier nicht erwägen, und die auch nur von der ersteren, unter gegebenen Bedingungen in concreto, abgeleitet ist, hat nur subjektive Gültigkeit.
오로지 저 통일만이 객관적으로 정당하다; 통각의 경험적 통일은, 우리가 여기에서 고려치 않는, 그리고 그 통일이 또한 단지 전자의 통일로부터만, 주어진 조건들 아래에서 확고하게, 파생되는, 오직 주관적 정당성만을 가진다.
→ 오로지 저 통일만이 객관적으로 정당하다; 우리가 여기에서 고려치 않으며 또한 그 통일이 단지 전자의 통일로부터만, 주어진 조건들 아래에서 확고하게, 파생되는 통각의 경험적 통일은 오직 주관적 정당성만을 가진다.
Einer verbindet die Vorstellung eines gewissen Worts mit einer Sache, der andere mit einer anderen Sache; und die Einheit des Bewußtseins, in dem, was empirisch ist, ist in Ansehung dessen, was gegeben ist, nicht notwendig und allgemein geltend.
누군가는 언어의 표상을 사태와 결합시키고, 또 다른 사람은 또 다른 언어표상을 또 다른 사태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의식의 통일은 경험적인 어떤 것 내에서 주어진 어떤 것에 관계하는 것이고 필연적이거나 우세하지 않다.
→ 한 사람은 언어의 표상을 사태와 결합시키고, 또 다른 언어표상을 또 다른 사태와 결합시킨다; 그리고 경험적인 어떤 것 내에서 의식의 통일은 주어진 어떤 것에 관계하는 것이고 필연적이거나 우세하지 않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