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 ist auch nicht nötig, daß wir die Anschauungsart in Raum und Zeit auf die Sinnlichkeit des Menschen einschränken; es mag sein, daß alles endliche denkende Wesen hierin mit dem Menschen notwendig übereinkommen müsse, (wiewohl wir dieses nicht entscheiden können,) so hört sie um dieser Allgemeingültigkeit willen doch nicht auf Sinnlichkeit zu sein, eben darum, weil sie abgeleitet (intuitus derivativus), nicht ursprünglich (intuitus originarius), mithin nicht intellektuelle Anschauung ist, als welche aus dem eben angeführten Grunde allein dem Urwesen, niemals aber einem, seinem Dasein sowohl als seiner Anschauung nach (die sein Dasein in Beziehung auf gegebene Objekte bestimmt), abhängigen Wesen zuzukommen scheint; wiewohl die letztere Bemerkung zu unserer ästhetischen Theorie nur als Erläuterung, nicht als Beweisgrund gezählt werden muß.

→ 우리가 직관방식을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간 감성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모든 유한한 사유하는 존재는 이 점에서 인간과 필연적으로 일치해야만 할지도 모른다. (비록 우리가 이러한 것을 구분할 수는 없지만.) 그래서 그것들은 이러한 보편적 가능성에 속할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에 속하지 않는 것이 되지는 않는다. 바로 그것들이 근원적이지 않고 (근원적 직관) 파생되었기 (파생적 직관)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간과 공간은 제시된 토대로부터만 그것의 현존만이 아니라 그것의 직관에도 결코 따르지 않는 (그 직관이 그것의 현존을 주어진 객체에 대한 관계 속에서 규정하는) 근원존재에 의존적 본질을 일치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그러한 지성적 직관이 아니다; 비록 우리의 감성 이론을 위한 후자의 견해는 논거로서가 아니라 단지 해명으로서 헤아려져야만 하지만 말이다.

 

Beschluß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초월론적 감성학의 맺음말

 

Hier haben wir nun eines von den erforderlichen Stücken zur Auflösung der allgemeinen Aufgabe der Transzendentalphilosophie: wie sind synthetische Sätze a priori möglich? nämlich reine Anschauungen a priori, Raum und Zeit, in welchen wir, wenn wir im Urteile a pirori über den gegebenen Begriff hinausgehen wollen, dasjenige antreffen, was nicht im Begriffe, wohl aber in der Anschauung, die ihm entspricht, a priori entdeckt werden und mit jenem synthetisch verbunden werden kann, welche Urteile aber aus diesem Grunde nie weiter, als auf Gegenstände der Sinne reichen, und nur für Objekte möglicher Erfahrung gelten können.

→ 여기에서 우리는 이제 초월론적철학의 보편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부문들에 대한 한 가지 것을 가진다: 어떻게 선험적 종합 명제들이 가능한가?→ 즉 순수한 선험적 직관들인 공간과 시간은 그 안에서 우리가 선험적 판단에서 주어진 개념을 넘어서고자 할 때, 개념 안에서는 아니지만 그러나 그것에 상응하는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드러날 수 있고 저런 것과 종합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어떤 것과 마주치지만, 그러나 그러한 판단들이 감관의 대상들에 미치는 이외에 이러한 근거에서 결코 더 나아가서 유효할 수는 없고, 단순히 가능한 경험의 객체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 있다.

 

 

 

Es ist auch nicht nötig, daß wir die Anschauungsart in Raum und Zeit auf die Sinnlichkeit des Menschen einschränken;

그것은 필요하지 않다, 우리가 직관방식을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간 감성으로 제한하는 것;

es mag sein, daß alles endliche denkende Wesen hierin mit dem Menschen notwendig übereinkommen müsse, (wiewohl wir dieses nicht entscheiden können,) so hört sie um dieser Allgemeingültigkeit willen doch nicht auf Sinnlichkeit zu sein, eben darum, weil sie abgeleitet (intuitus derivativus), nicht ursprünglich (intuitus originarius), mithin nicht intellektuelle Anschauung ist, als welche aus dem eben angeführten Grunde allein dem Urwesen, niemals aber einem, seinem Dasein sowohl als seiner Anschauung nach (die sein Dasein in Beziehung auf gegebene Objekte bestimmt), abhängigen Wesen zuzukommen scheint;

그것은 있을지 모른다, 모든 유한한 사유하는 존재는 이 점에서 인간과 필연적으로 일치해야만 한다는 것, (비록 우리가 이러한 것을 구분할 수는 없지만,) 그래서 그것들은 이러한 보편적 가능성에 속할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에 속하지 않는 것이 되지는 않는다, 바로 그 때문에, 그것들이 파생되었기 때문에 (파생적 직관), 근원적이지 않고 (근원적 직관), 그러므로 지성적 직관이 아니다, 제시된 토대로부터만 근원존재에, 그것의 현존만이 아니라 그것의 직관에도 결코 따르지 않는 (그 직관이 그것의 현존을 주어진 객체에 대한 관계 속에서 규정하는), 의존적 본질을 일치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어떠한 것으로서;

wiewohl die letztere Bemerkung zu unserer ästhetischen Theorie nur als Erläuterung, nicht als Beweisgrund gezählt werden muß.

비록 우리의 감성 이론을 위한 후자의 견해는 논거로서가 아니라 단지 해명으로서 헤아려져야만 하지만 말이다.

→ 우리가 직관방식을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간 감성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모든 유한한 사유하는 존재는 이 점에서 인간과 필연적으로 일치해야만 할지도 모른다. (비록 우리가 이러한 것을 구분할 수는 없지만.) 그래서 그것들은 이러한 보편적 가능성에 속할 것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성에 속하지 않는 것이 되지는 않는다. 바로 그것들이 근원적이지 않고 (근원적 직관) 파생되었기 (파생적 직관) 때문이다. 그러므로 시간과 공간은 제시된 토대로부터만 그것의 현존만이 아니라 그것의 직관에도 결코 따르지 않는 (그 직관이 그것의 현존을 주어진 객체에 대한 관계 속에서 규정하는) 근원존재에 의존적 본질을 일치시키는 것처럼 보이는 그러한 지성적 직관이 아니다; 비록 우리의 감성 이론을 위한 후자의 견해는 논거로서가 아니라 단지 해명으로서 헤아려져야만 하지만 말이다.

 

Beschluß der transzendentalen Ästhetik

초월론적 감성학의 맺음말

 

Hier haben wir nun eines von den erforderlichen Stücken zur Auflösung der allgemeinen Aufgabe der Transzendentalphilosophie: wie sind synthetische Sätze a priori möglich?

여기에서 우리는 이제 초월론적철학의 보편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부문들에 대한 한 가지 것을 가진다: 어떻게 선험적 종합 명제들이 가능한가?

→ 여기에서 우리는 이제 초월론적철학의 보편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필수적인 부문들에 대한 한 가지 것을 가진다: 어떻게 선험적 종합 명제들이 가능한가?

nämlich reine Anschauungen a priori(, Raum und Zeit, in welchen wir, wenn wir im Urteile a pirori über den gegebenen Begriff hinausgehen wollen, dasjenige antreffen, was nicht im Begriffe, wohl aber in der Anschauung, die ihm entspricht, a priori entdeckt werden und mit jenem synthetisch verbunden werden kann, welche Urteile aber aus diesem Grunde nie weiter, als auf Gegenstände der Sinne reichen, und nur für Objekte möglicher Erfahrung gelten können.

즉 순수한 선험적 직관들, 공간과 시간이, 그 안에서 우리가, 우리가 선험적 판단에서 주어진 개념을 넘어서고자 할 때, 그것을 마주치는, 개념 안에서는 아니지만, 그러나 직관 안에서, 그 직관이 그것에 상응하는, 선험적으로 드러날 수 있고 저런 것과 종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판단들이 이러한 근거에서 결코 더 나아가서 (유효할 수는 없고), 감관의 대상들에 미치는 이외에, 그리고 단순히 가능한 경험의 객체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 있다.

→ 즉 순수한 선험적 직관들인 공간과 시간은 그 안에서 우리가 선험적 판단에서 주어진 개념을 넘어서고자 할 때, 개념 안에서는 아니지만 그러나 그것에 상응하는 직관 안에서 선험적으로 드러날 수 있고 저런 것과 종합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어떤 것과 마주치지만, 그러나 그러한 판단들이 감관의 대상들에 미치는 이외에 이러한 근거에서 결코 더 나아가서 유효할 수는 없고, 단순히 가능한 경험의 객체에 대해서만 유효할 수 있다.

 

-蟲-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