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 The scope of physics

A. Diogenes Laertius 7.148-9 (SVF 2.1022 and 2.1132)
(1) ὀυσίαν δὲ θεοῦ Ζήνων μέν φησι τὸν ὅλον κόσμον καὶ τὸν οὐρανόν, ὁμοίως δὲ καὶ Χρύσιππος ἐν τῷ πρώτῳ Περὶ θεῶν καὶ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πρώτῳ Περὶ θεῶν . . . (2) φύσιν δὲ ποτὲ μὲν ἀποφαίνονται τὴν συνέχουσαν τὸν κόσμον, ποτὲ δὲ τὴν φύσουσαν τὰ ἐπὶ γῆς. ἔστι δὲ φύσις ἕξις ἐξ αὑτῆς κινουμένη κατὰ σπερματικοὺς λόγους ἀποτελοῦσά τε καὶ συνέχουσα τὰ ἐξ αὑτῆς ἐν ὡρισμένοις χρόνοις καὶ τοιαῦτα δρῶσα ἀφ᾿ οἵων ἀπεκρίθη. ταύτην δὲ καὶ τοῦ συμφέροντος στοχάζεσθαι καὶ ἡδονῆς, ὡς δῆλον ἐκ τῆς τοῦ ἀνθρώπου δημιουργίας.
(1) 제논은 온 우주와 하늘이 신의 본질이라 말하고, 크뤼싶포스도 『신들에 관하여』 처음에서 그리고 포세이도니오스도 『신들에 관하여』 처음에서 마찬가지로 말한다 … (2) 그들은 어느 때엔 우주를 포괄(점유, 견지)하는 것을 자연으로 설명하고, 다른 때엔 지상의 것들을 생장시킬 것을 자연으로 설명한다. 그런데 자연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촉발되어 씨앗이 되는 로고스들에 따라 그 자신으로부터 나오는 것들을 한정된 시간들 속에서 완성시키고 포괄하며 또한 이러한 일들을 수행함으로써 이런 것들로부터 구분되어 나오는 질서이다. 그런가 하면

B. Diogenes Laertius 7.132
τὸν δὲ φυσικὸν λόγον διαιροῦσιν εἴς τε τὸν περὶ σωμάτων τόπον καὶ περὶ ἀρχῶν καὶ στοιχείων καὶ θεῶν καὶ περάτων καὶ τόπου καὶ κενοῦ. καὶ οὕτω μὲν εἰδικῶς, γενικῶς δ᾿ εἰς τρεῖς τόπους, τόν τε περὶ κόσμου καὶ τὸν περὶ τῶν στοιχείων καὶ τρίτον τὸν αἰτιολογικόν.
그런데 그들은 자연학적 이론을 물질들 관한 주제와 원리들에 관한 주제 그리고 원소들에 관한 주제와 신들에 관한 주제 또한 한계들에 관한 것과 장소에 관한 것 그리고 허공에 관한 것으로 나눈다. 또한 특수한 방식으로는 그렇게 나누지만, 일반적으로는 세 주제들로, 우주에 관한 주제와 원소들에 관한 주제 그리고 세 번째로 원인론으로 나눈다.

  In approaching Stoic physics, we should recall its integral connexion with Stoic philosophy as a whole (26B 4, D). Whether regarded as philosophy's flesh and blood (26D) or its soul (26B 2), physics, which is literally the study of nature, offers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its contents' (26A). The indispensability of such knowledge to the ethical end, 'living in agreement with nature' (63A-C), is based upon the principle that our individual human natures are parts of universal nature (63C 2).
  스토아 자연학에 접근함에 있어서, 우리는 그것이 총체로서의 스토아 철학과 지니는 필수적인 연결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철학의 살과 피로 간주되든 그 영혼으로 간주되든 자연학은 말 그대로 자연에 대한 탐구로서 세계와 그 내용물들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제공한다. 자연과의 일치 속에서 살아가는 윤리적 목표를 위한 그와 같은 지식의 불가결함은 우리의 사적 인간 본성들이 보편적(우주적) 자연의 부분들이라는 원칙에 기초한다.
  Physics therefore provides us with the understanding of who we are and of how we fit into the general workings of the world. Since the world is the 'substance' of god, and god is the 'nature which sustains the world and makes things grow' (A), physics, in the final analysis, is theology {26C; cf. 63E). To put it another way, physics is that part of Stoic philosophy which provides the terms and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at the world functions according to laws of an omnipresent divine nature - a nature, moreover, which is through and through alive, generative, and designing all its products according to a rational plan. Most sections of this chapter, especially 44, 46, 52-5, will underline these points repeatedly (and for further discussion of A 2 see commentary on 46A). Stoic physics contains many theories and strategies which are of great interest in their own right to the history of science. But in order to appreciate their conceptual significance, we should acknowledge the Stoics' lack of concern in general for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controlled observations characteristic of, say, Galen and Ptolemy. What fired the Stoics' imagination, in their observation of the world, was a total commitment to the rationalist theology just described.
  그러므로 자연학은 우리에게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세계의 일반적 작동들에 적합하게 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세계는 신의 '실체'이기에, 그리고 신은 세계를 지탱하고 사물들을 자라도록 만드는 자연이며, 자연학은 그 마지막 분류에서 신학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정할 때, 자연학은 편재하는 신성한 자연 - 더 나아가 철저하게 살아있고, 생육하며, 그 모든 산물들을 합리적 계획에 따라 설계하는 자연의 법칙들에 따라 세계가 기능한다는 것을 이해하기 위한 용어들과 이론들을 제공하는 스토아 철학의 부분이다. 이 장의 대다수 절들, 특히 44, 46, 52-5는 이러한 지점들을 반복적으로 강조할 것이다(A2에 대한 추가적 논의는 46A에 대한 주석을 보라). 스토아 자연학은 과학(학문?)의 역사에 대한 고유한 권리에 대단한 흥미거리가 되는 여러 이론들과 전략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것들의 개념적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는 말하자면 갈레노스과 프톨레마이오스에게 특유한 정량적 분석과 통제된 관찰들에 대한 스토아 학파의 결핍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세계에 대한 그들의 관찰에서 스토아학파의 상상을 촉발시켰던 것, 그것은 기술된 그대로의 합리주의 신학에 대한 총체적 전념이었다.
  Turning now to their detailed treatment, we find the topics of physics, just like those of logic (31 A) and ethics (56A), systematically categorized (B). (For the technical niceties concerning division procedure, see 32C.) This procedure will certainly have gone back to Chrysippus. although Diogenes Laertius' source for his summary was probably a handbook written shortly after the time of Posidonius. The general acceptability of the divisions Diogenes records is suggested by the fact that his own exposition sticks fairly closely to that order of topics. This can be seen by aligning his chapters and their subjects with the Topics of B:
  이제 그들의 세부적인 작업으로 돌아가서, 우리는 논리학과 윤리학의 주제들이 그러하듯 자연학의 체계적으로 범주화된 주제들을 발견한다. (분할 절차와 관련한 기술적 세부사항들은 32C 참조.) 이 절차는 확실히 크뤼싶포스로 돌아갔다. 그의 개략에 대한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자료가 아마도 포시디오니우스의 시기 이후 간략하게 쓰인 교과서였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디오게네스가 기록하는 그 분할들의 일반적 수용가능성은 그의 고유한 해설이 상당히 단단하게 주제들에 대한 그 질서를 고수한다는 사실에 의해 시사된다. 이 점은 그의 장들과 그 장들의 주제들을 B의 주제들과 병렬시킴으로써 볼 수 있다.
1. Specific division
D.L. 134 principles = (ii)
D.L. 135 body and limits = (i) and (v)
D.L. 136 god = (iv)
D.L. 137 elements = (iii)
2. Generic division
D.L. 137-51 world (including god, heavenly bodies, elements) = (i) and (ii)
D.L. 152-9 meteorology, geography, psychology = (iii)
  The two divisions appear to have as their basis a distinction between physics and metaphysics (as it would now be called), with the 'specific' division covering the kind of topics that Aristotle regarded as the business of'first philosophy . Diogenes' second division, the 'generic one', takes the present world-order as its starting-point. It offers an account of natural phenomena, with some reference to general principles but nothing comparable to the scope of the 'specific' division. In this latter the subject-matter is not restricted to the contents of the present world-order, which comes into being and ceases to exist (see 46; 52), The five topics of the 'specific' division seem to give an exhaustive account of the species of real things, whether they are everlasting and irreducible, or temporary, or 'subsistent' as non-bodily 'somethings' (see 27). Thus we have a division into bodies (i)-(iv), and non-bodies (v) as exemplified by 'limits, place, and void'. The first tour species seem to cover the bodily constituents of reality in ascending order of complexity. I.e., (i) the Stoics held that reality consists basically, permanently and irreducibly of 'bodies' (27B); (ii) the 'principles' themselves are 'bodies' (44B); (iii) the 'elements' are temporary dispositions of body caused by and reducible to the interaction of the 'principles' (see 47); (iv) the 'gods' are bodies, which can be explained by reference either to the 'elements' or, in the case of Zeus, to the active 'principle'. Given (v), the nonbodies, there is nothing in the nature of things that this division omits.
  두 분할들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철학의 일로 간주하였던 그런 종류의 주제들을 포괄하는 '특수한' 분할과 함께, (오늘날 불려질 바와 같이)자연학과 형이상학 사이의 구별을 그것들의 기초로서 지니는 것으로 드러난다. 디오게네스의 두 번째 분할인 '일반적' 분할은 현재 세계-질서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것은, '특수' 분할의 영역에 비견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일반 원리들에 대한 몇몇 조회들과 더불어, 자연현상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이 후자의 분할에서 주제적 문제는 현재 세계-질서의 내용들, 생성되어 현존을 유지하는 내용들에 국한되지 않는데, '특수' 분할의 다섯 주제들은 실제 사물들의 종들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제시하는 듯하다, 사물들이 영구적이며 환원불가능한지, 아니면 일시적인지, 혹은 비-물체적으로 '어떤 것들'로서 '존재'하는지. 그래서 우리는 물체들에 속하는 분할(i)-(iv), 그리고 '한계들, 장소, 허공'으로서 예화되는 것으로서 비-물체들에 속하는 분할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일별되는 종들은 복잡성의 오름차순에 있어서 현실의 물체적 구성요소들을 포괄하는 것처럼 보인다. 즉, (i) 스토아학파는 실재가 '물체들'을 통해 기초적으로, 영속적으로, 그리고 비환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ii) '원리들' 자체는 '물체들'이다; (iii) '원소들'은 '원리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되고 또한 그 작용으로 환원가능한 물체의 일시적 배치들이다; (iv) '신들'은 물체들인데, '원소들' 혹은 제우스의 사례에서는 '원리'에 대한 조회로써 설명될 수 있는 것들이다. (v), 즉 비물체들을 고려할 경우, 사물들의 본성에서 이 분할이 빠트리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Such an interpretation of Diogenes' 'specific' division can only be conjectural. Yet it coheres well with Stoic doctrines, especially their concept of the 'something' which embraces all particulars whether corporeal or not (see 27). So understood, the 'specific' division details those items which are fundamental to any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general and its features. In one respect, however, the order of specific topics raises a problem. Diogenes presents 'bodies' as the first topic, but the one that he handles first is the second, 'principles'. Since the principles are bodies, this procedure, which we will also follow, may be taken to be an expository device that need not cast doubt on the ultimate priority of bodies in the Stoics' metaphysical scheme.
  디오게네스의 '특수' 분할에 대한 그런 하나의 해석은 다지 추측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건 스토아의 주의들과 잘 부합되며, 특히 물체적이든 아니든 모든 개별자들을 포함하는 그들의 '어떤 것'이라는 개념에 부합한다. 그런 식으로 이해할 때, '특수' 분할은 일반적인 세계와 세계의 특성들에 대한 어떤 이해에든 근본적인 이러한 항목들을 상세히 알려준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특수 주제들의 질서는 문제를 일으킨다. 디오게네스는 '물체들'을 첫 번째 주제로 내세우지만, 그가 첫 번째로 다룬 주제는 두 번째 것, '원리들'이다. 원리들은 물체들이므로, 우리가 또한 따르게 될 이 절차는 아마도 스토아학파의 형이상학적 계획에서 물체들의 궁극적인 우선순위에 의심을 품을 필요가 없는 설명적 장치일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44. Principles

A. Sextus Empiricus. M. 9.332 (SVF 2.524. part)
καὶ δὴ οἱ ἀπὸ τῆς Στοᾶς φιλόσοφοι διαφέρειν ὑπολαμβάνουσι τὸ ὅλον καὶ τὸ πάν· ὅλον μὲν γὰρ εἶναι λέγουσι τὸν κόσμον, πᾶν δὲ τὸ σὺν τῷ κόσμῳ ἔξωθεν κενόν, καὶ διὰ τοῦτο τὸ μὲν ὅλον πεπερασμένον εἶναι (πεπέρασται γὰρ ὁ κόσμος), τὸ δὲ πᾶν ἄπειρον (τοιοῦτον γὰρ τὸ ἐκτὸς τοῦ κόσμου κενόν).
더욱이 스토아 학파의 철학자들은 전체(whole)와 모든 것(all)을 다른 것으로 가정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우주를 전체라고 진술하는 반면, 우주와 함께하는 외부의 허공을 모든 것이라 진술하고, 이로 인하여 전체는 한정된 것이라고 (우주는 한정되었으니), 그런데 모든 것은 무한하다고 (우주 외부의 허공이 이런 것이기에) 진술한다.

B. Diogenes Laertius 7.134 (SVF 2.300, part, and 2.299)
(1) δοκεῖ δ᾿ αὐτοῖς ἀρχὰς εἶναι τῶν ὅλων δύο, τὸ ποιοῦν καὶ τὸ πάσχον. (2) τὸ μὲν οὖν πάσχον εἶναι τὴν ἄποιον οὐσίαν τὴν ὕλην, τὸ δὲ ποιοῦν τὸν ἐν αὐτῇ λόγον τὸν θεόν· τοῦτον γὰρ ἀίδιον ὄντα διὰ πάσης αὐτῆς δημιουργεῖν ἕκαστα. . . . (3) διαφέρειν δέ φασιν ἀρχὰς καὶ στοιχεῖα· τὰς μὲν γὰρ εἶναι ἀγενήτους <καὶ> ἀφθάρτους, τὰ δὲ στοιχεῖα κατὰ τὴν ἐκπύρωσιν φθείρεσθαι. ἀλλὰ καὶ σώματα εἶναι τὰς ἀρχὰς καὶ ἀμόρφους, τὰ δὲ μεμορφῶσθαι.
(1) 그런데 그들에게는 전체들의 원리들이 두 가지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는 것(doing)과 겪는 것. (2) 그러므로 겪는 것은 어떠함이 없는 실체인 질료이고, 하는 것은 그 질료 내의 로고스로서 신이라고 여겨진다: 왜냐하면 이러한 것이 영속적인 것이기에 그 질료 전체에 걸쳐 각각의 것들을 제작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 (3) 그런데 그들은 원리들과 원소들이 다르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원리들은 불생불멸이라고 하는 반면, 원소들은 하소(煆燒)에 따라 소멸된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은 원리들은 물체들이자 형체 없는 것들이라고, 그런데 원소들은 형체가 갖추어졌다고 말한다.

C. Sextus Empiricus. M. 9.75-6 (SVF 2.311)
(1) ἡ τοίνυν τῶν ὄντων οὐσία, φασίν, ἀκίνητος οὖσα ἐξ αὑτῆς καὶ ἀσχημάτιστος ὑπό τινος αἰτίας ὀφείλει κινεῖσθαί τε καὶ σχηματίζεσθαι· (2) καὶ διὰ τοῦτο, ὡς χαλκούργημα περικαλλὲς θεασάμενοι ποθοῦμεν μαθεῖν τὸν τεχνίτην ἅτε καθ᾿ αὑτὴν τῆς ὕλης ἀκινήτου καθεστώσης, οὕτω καὶ τὴν τῶν ὅλων ὕλην θεωροῦντες κινουμένην καὶ ἐν μορφῇ τε καὶ διακοσμήσει τυγχάνουσαν εὐλόγως ἂν σκεπτοίμεθα τὸ κινοῦν αὐτὴν καὶ πολυειδῶς μορφοῦν αἴτιον. (3) τοῦτο δὲ οὐκ ἄλλο τι πιθανόν ἐστιν εἶναι ἢ δύναμίν τινα δι᾿ αὐτῆς πεφοιτηκυῖαν, καθάπερ ἡμῖν ψυχὴ πεφοίτηκεν. (4) αὔτη οὖν ἡ δύναμις ἤτοι αὐτοκίνητός ἐστιν ἢ ὑπὸ ἄλλης κινεῖται δυνάμεως. (5) καὶ εἰ μὲν ὑφ᾿ ἑτέρας κινεῖται, τὴν ἑτέραν ἀδύνατον ἔσται κινεῖσθαι μὴ ὑπ᾿ ἄλλης κινουμένην, ὅπερ ἄτοπον. ἔστι τις ἄρα καθ᾿ ἑαυτὴν αὐτοκίνητος δύναμις, ἥτις ἂν εἴη θεία καὶ ἀίδιος. (6) ἢ γὰρ ἐξ αἰῶνος κινήσεται ἢ ἀπό τινος χρόνου. (7) ἀλλ᾿ ἀπό τινος χρόνου μὲν οὐ κινήσεται· οὐ γὰρ ἔσται τις αἰτία τοῦ ἀπό τινος αὐτὴν χρόνου κινεῖσθαι. ἀίδιος τοίνυν ἐστὶν ἡ κινοῦσα τὴν ὕλην δύναμις καὶ τεταγμένως αὐτὴν εἰς γενέσεις καὶ μεταβολὰς ἄγουσα. ὥστε θεὸς ἂν εἴη αὕτη.
(1) 따라서 있는 것들의 실체는, 그들이 말하길, 그 자체로부터 움직여지지 않는 것이자 형체 없는 것으로서 어떤 원인에 의해 움직여지고 형체갖추어질 필요가 있다: (2) 또한 이로 인하여, 청동으로 만들어진 아주 아름다운 작품을 우리가 보면서 질료가 그 자체로는 움직여지지 않는 것으로 정해져 있는 까닭에 그 기술자(장인)를 알기를 갈망하듯, 그런 식으로 전체들의 질료 또한 우리가 그것이 형상 내에서 그리고 질서 속에서 마침 움직이는 것을 볼 때 합리적으로 우리는 그 질료를 움직이고 많은 형상들로 형체를 만든 원인을 검토할 것이다. (3) 그런데 이것이, 마치 영혼이 우리에게 들어서 있듯, 그 자체로 들어서 있는 어떤 능력 외에 다른 무언가라는 건 신빙성이 없다. (4) 그러므로 스스로 운동하지 않는다면 그 밖의 능력에 의해 움직여진다. (5) 다른 능력에 의해 움직여진다면, 그 다른 능력은 또 다른 능력에 의해 움직여지지 않을 경우 움직일 능력이 없을 것이고, 그야말로 이상한 일이다. 그래서 무언가 그 자신에 따라 스스로 움직이는 능력이 있는데, 그 능력은 신적인 것이자 영속적인 것이다. (6) 왜냐하면 영원을 통해 움직이거나 어떤 시간에서부터 움직일 것이기 때문이다. (7) 하지만 어떤 시간에서부터 움직이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시간에서부터 그 능력을 움직이는 일의 어떤 원인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질료를 움직이고 질서 있게 생성과 변화로 이끄는 능력은 영속적이다. 그래서 그 능력은 신일 것이다.
ὀφείλει : ὀφείλω. behove.
ποθοῦμεν : ποθέω. long for, yearn after.
πεφοιτηκυῖαν : φοιτάω pf. part. go in.

D. Calcidius 292 (SVF 1.88, part)
(1) Zeno hanc ipsam essentiam finitam esse dicit unamque eam communem omnium quae sunt esse substantiam, (2) dividuam quoque et usque quaque mutabilem. (3) partes quippe eius verti sed non interire, ita ut de existentibus consumantur in nihilum. sed ut innumerabilium diversarum etiam cerearum figurarum, sic neque formam neque figuram nec ullam omnino qualitatem propriam fore censet fundamenti rerum omnium silvae, coniunctam tamen esse semper et inseparabiliter cohaerere alicui qualitate. (4) cumque tam sine ortu sit quam sine interitu, quia neque de non existente substitit nec consumetur in nihilum, non deesse ei spiritum ac vigorem ex aeternitate, qui moveat eam rationabiliter totam interdum, non numquam pro portione.
제논은 바로 이 실체가 한정된 것이라고 그리고 그것만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공통된 기체라고, (2) 또한 분할가능한 것이자 모든 면에서 변화 가능한 것이라고 말한다. (3) 그는 물론 그것의 부분들은 변화되나, 현존으로부터 무로 환원될 정도로, 파괴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러나 마치 헤아릴 수 없이 분할된 밀랍들의 형태들과 같이, 그렇게 그는 형상도 형태도 전적으로 어떤 고유한 성질도 모든 사물의 토대인 질료에는 있지 않으리라고, 그렇지만 (질료가) 연속된 것이고 다른 어떤 성질에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4) 파괴만큼 시작도 없을 것이므로, 비-존재로부터 나왔던 것도 아니고 무로 환원되지도 않을 것이기에, 이따금 그 질료를 전체로서 이성적으로 운동시키고, 때로는 부분에 대해 그리하는, 그것은 영원으로부터 숨결과 활력을 결여하지 않는다고 그는 생각한다.

E. Calcidius 293
(1) ergo corpus universum iuxta Stoicos determinatum est et unum et totum et essentia. (2) totum quidem, quia nihil ei partium deest; unum autem, quia inseparabiles eius partes sunt et invicem sibi cohaerent; essentia vero, quia princeps silva est omnium corporum per quam ire dicunt rationem solidam atque universam, perinde ut semen per membra genitalia. (3) quam quidem rationem ipsum fore opificem volunt, cohaerens vero corpus et sine qualitate, patibile totum et commutabile silvam sive essentiam. (4) quae vertatur quidem nec intereat tamen neque tota neque partium excidio, ideo quia philosophorum omnium commune dogma est neque quid fieri ex nihilo nec in nihilum interire. licet enim cuncta corpora casu aliquo diffluant, silva tamen semper est et opifex deus, ratio scilicet, in qua sit fixum quo quidque tempore tam nascatur quam occidat. (5) proptereaque de existentibus genituram fieri et in existens desinere quod finiatur immortalibus perseverantibus, a quo fit et item ex quo fit quod gignitur.
그러므로 우주적 신체는 스토아 학자들에 따르자면 한정된 것이자 하나이며 전체이고 실체이다. (2) 그것에 어떤 부분도 결여되지 않기에, 그것은 전체이다; 그렇지만 그것의 부분들이 불가분하며 또한 자신들에게 결합하기에, 그것은 하나이다; 진정으로 실체이다, 모든 물체들의 제일의 질료로서 그를 통해, 생식 기관을 통하여 정액이 그리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완전하고 보편적인 이성이 지난다고 그들은 말하기 때문이다. (3) 그들은 이 이성을 바로 장인일 것으로 생각하고, 반면 결합하는 물체를 성질 없는 것, 전적으로 수동적이며 변화하는 질료나 실체일 것으로 생각한다. (4) 그 실체는 변화하지만 전체로서도 부분의 파괴를 통해서도 소멸하지도 않는데, 모든 철학자들의 공통된 신조는 어떤 것이 무로부터 생성되지도 무로 소멸하지도 않는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설령 모든 물체들이 어떤 이유로 해체된다 할지라도, 여전히 질료와 장인 신, 즉 이성, 그 안에서 각각의 모든 것이 언제 생겨나고 사라질지 확정될 그 이성은 영원하다.  (5) 또한 그러므로 현존하는 것들로부터 탄생이 나오고 현존하는 것들로 소멸하는데, 왜냐하면, 산출되는 것이 그것에 의해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 탄생이 불멸하고 지속하는 것들로 한정지어지기 때문이다.

F. Diogenes Laertius 7.137-8 (SVF 2.526)
λέγουσι δὲ κόσμον τριχῶς· αὐτόν τε τὸν θεὸν τὸν ἐκ τῆς ἁπάσης οὐσίας ἰδίως ποιόν, ὃς δὴ ἄφθαρτός ἐστι καὶ ἀγένητος, δημιουργὸς ὢν τῆς διακοσμήσεως, κατὰ χρόνων ποιὰς περιόδους ἀναλίσκων εἰς ἑαυτὸν τὴν ἅπασαν οὐσίαν καὶ πάλιν ἐξ ἑαυτοῦ γεννῶν· καὶ αὐτὴν δὲ τὴν διακόσμησιν [τῶν ἀστέρων] κόσμον εἶναι λέγουσι· καὶ τρίτον τὸ συνεστηκὸς ἐξ ἀμφοῖν. καὶ ἔστι κόσμος ὁ ἰδίως ποιὸς τῆς τῶν ὅλων οὐσίας ἢ, ὥς φησι Ποσειδώνιος ἐν τῇ Μετεωρολογικῇ στοιχειώσει, σύστημα ἐξ οὐρανοῦ καὶ γῆς καὶ τῶν ἐν τούτοις φύσεων, ἢ σύστημα ἐκ θεῶν καὶ ἀνθρώπων καὶ τῶν ἕνεκα τούτων γεγονότων.
그들은 우주를 세 가지 방식으로 진술한다: 그것을 모든 실체로 이루어진 특유한 성질의 신, 그래서 소멸하지도 생성되지도 않는 신이라고도 말한다, 세계질서의 장인이기에, 시간들의 어떠한 주기들에 따라 그 자신에게로 모든 실체를 소멸시키고 또 다시 자신으로부터 생성시킴으로써: 게다가 바로 이 세계질서를 [별들의] 우주라고 그들은 진술한다: 세 번째로 양자로부터 결합한 것이라 진술한다. 그리고 전체들의 실체에 대한 특유한 성질의 것이 우주이거나, 『기상학 교설』에서 포세이도니오스가 말하듯, 천상과 대지 그리고 이것들 안의 본성들(자연들)로부터 이루어진 체계이거나, 신들과 인간들 그리고 이들로 인하여 생겨난 것들로 이루어진 체계이다.

g. Plotinus 2.4.1 (SVF 2.320, part)
καὶ δὴ καὶ τολμῶσι καὶ μέχρι θεῶν αὐτὴν [sc. ὕλην] ἄγειν· καὶ τέλος δὴ καὶ αὐτὸν αὐτῶν τὸν θεὸν ὕλην ταύτην πως ἔχουσαν εἶναι.
더욱이 그들은 신들에 대해서까지 그것(질료)을 이끌어 내려 든다: 더 나아가 결국 그들의 바로 그 신은 어떤 상태에 있는 이러한 질료라고 (말한다? 생각한다?).

h. Plato, Soph. 247d8-e4
ΞΕΝΟΣ. λέγω δὴ τὸ καὶ ὁποιανοῦν [τινα] κεκτημένον δύναμιν εἴτ᾿ εἰς τὸ ποιεῖν ἕτερον ὁτιοῦν πεφυκὸς εἴτ᾿ εἰς τὸ παθεῖν καὶ σμικρότατον ὑπὸ τοῦ φαυλοτάτου, κἄν εἰ μόνον εἰς ἅπαξ, πᾶν τοῦτο ὄντως εἶναι· τίθεμαι γὰρ ὅρον [ὁρίζειν] τὰ ὄντα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손님. 그래서 나는 그 무엇이 되었든지 간에 본디 다른 뭐든지 그것에 행하는 쪽으로든 매우 하찮은 것에 의해 극미하게라도 겪는 쪽으로든 그럴 능력을 갖춘 것은, 설령 오직 단 한 차례만이라 하더라도, 이런 모든 것을 실제로 ~이라고 말한다네: 왜냐하면 다른 무엇도 아닌 능력이 ~인 것들이 ~이라는 표지라 세우기 때문이지.
* Benardete, White 모두 "ὡς ἔστιν"을 ὅρον을 수식하는 that 절(W) 혹은 ὁρίζειν의 목적절인 that 절(B)로 번역하고 동사의 주어를 τὰ ὄντα로 본다. ὁρίζειν의 유무와 관련이 없다. 그러나 이창우 국역본의 경우 "ὡς ἔστιν οὐκ ἄλλο τι πλὴν δύναμις" 전체를 절로 보는 듯하다. 물어봐야 할 듯.
B : 본문 I'm proposing, in short, a definition (boundary-mark): 'The things which are' are not anything else but power. 주석 I'm proposing, in short, a definition (boundary-mark) to define (bound) the things which are, that they are, etc.
W : I'll take it as a definition that those which are amount to nothing other than capacity.

  Stoic physical theory starts from the presupposition that a single world-order exists. Like their predecessors and contemporary rivals they then asked, what must the world possess as constituents and causal principles which will explain its state at all times? Their answer is given in B-E: an active principle, termed 'reason' (logos) or 'god' or 'cause' (cf. 55E), and a passive principle, termed 'unqualified substance' or 'matter' or 'substrate'. God and matter are the foundations of the world, but this is not equivalent to the 'all' (A), i.e. literally everything. The world is a 'whole' but it is surrounded by infinite void (see 49A2). So the two principles are advanced not as an exhaustive account of everything but as comprising together the 'whole' of the world.
  The capacity to act or to be acted upon (B I) was no novelty as the defining characteristic of what exists. In so characterizing their principles, the Stoics could appeal to the Platonic and Aristotelian tradition (see h vol. 2); where they differed radically from this tradition was in their insistence that only bodies are capable of acting or of being acted upon (see 45). The persistence of empirical entities through change (already heavily emphasized in Aristotle's account of primary substances) provides reasons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tter of some object and its shape or structure (see 28D 10-12). The Stoics, then, with startling economy, propose to explain all the formal or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objects by reference to the presence, within their matter, of a divine principle that activates and shapes them.
  According to this scheme any object, or the world as a whoie, can be analysed as a composite of matter and god. But ac this level of generality, neither matter nor god, just by itself, provides particular objects with any definite description; unlike the four elements (see 46-7), whose form is earth, water etc., the principles, which consticute che elements, are themselves 'without form' (B 3). Matter is what you would get if (per impossibile) you could remove all the characteristics of an object which make it someching particular. God accounts for those characteristics, but does not furnish the matter that must underlie anything with characteristics. Matter needs god in order to be a particular entity, and god needs matter in order that there shall be some entity for god to characterize.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the two principles are so described that they do not depend upon specific theories about bodies, elements, or any of the detailed apparatus which underpins Stoic analysis of particular phenomena. We are asked, however, in C—F to accept the passive principle, matter, as the Stoics'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substance?', and to acknowledge its possessing che properties stated in those passages: it is unqualified, incapable of initiating motion, finite, common to every body, plastic, everlasting, one, whole. Matter, as so described, underlies or provides the foundation for every particular object and thus for the differentiated world as a whole (E2). Since it is uniform, finite, everlasting and unqualified, it makes for a world capable of persisting indefinitely and yet sustaining within itself constant and varied changes.
  In C 4-7 and D 4 reasons are given for matter's being everlastingly pervaded, moved, and shaped by the active principle. And C, by seeps which recall Plato's Phaedrus and Ariscode. Physics vm, infers chat the active principle, as universal efficient cause, is god. Because god or logos is always present in matter (B2), matter always has 'some quality or other". The effecc of chis constant combination of god and matter is to make the world in a sense equivalent to god (D3). Hence the description (F) of god as 'the peculiarly qualified individual consisting of all substance' (cf. 28D-J; 43Ai). Under god's direction, this substance or matter alternates everlastingly between a state of pure fire (cf. 46G I) and a state which is the differentiated world.
  The philosophical economy of the two principles is striking. They purport to answer at least three distinct questions about the world. (1) Matter and god together totally comprise the actual ingredients or constituents of the world. (2) Matter and god together provide the two concepts needed for causal explanations, since all particular beings are constructed by god out of matter (cf. 5SE). (3) Matter and god together give a metaphysical foundation for any statement about the world, since to predicate a property of a subject is to describe a quality or disposition of god in matter.
  Their historical origin is complex. Reasoning that goes back to Parmenides helps to establish some of their properties (D 4, E 4-5; cf. 4A with commentary for Epicurus' use of similar laws); but echoes of Plato and Aristotle are more significant. As the active principle, god is a 'craftsman' (E3-4) recalling the cosmology of the Timaeus, with its 'receptacle' which is utterly plastic and funcnons as the recipient of qualities. Cosmogony apart, there is a general similarity to Aristotle's form and matter. But the principles are distinctively Stoic, not least because they introduce an all-pervasive divine causal agent immanent in matter. For details of their specific cosmological functions see 45-8, 52, 54-5.

-작성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