ΦΙΛΗΒΟΣ

ΣΩΚΡΑΤΗΣ ΠΡΩΤΑΡΧΟΣ ΦΙΛΗΒΟΣ


ΣΩ. Ὅρα δή, Πρώταρχε, τίνα λόγον μέλλεις παρὰ Φιλή-             11

βου δέχεσθαι νυνὶ καὶ πρὸς τίνα τὸν παρ᾿ ἡμῖν ἀμφισβητεῖν, 

ἐὰν μή σοι κατὰ νοῦν ᾖ λεγόμενος. βούλει συγκεφαλαιω-              b

σώμεθα ἑκάτερον;

보게나, 프로타르코스, 자네 이제 필레보스에게서 어떤 논변을

받아서는 우리쪽 어떤 논변에 맞서서 반박을 하려는지,

논변이 논의되면서 자네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말이지. 괜찮다면 우리

그 둘 각각을 요약해 보겠나?

→ '우리'란 표현이 의미를 가지는가?

ΠΡΩ. Πάνυ μὲν οὖν.

물론 좋습니다.

ΣΩ. Φίληβος μὲν τοίνυν ἀγαθὸν εἶναί φησι τὸ χαίρειν

πᾶσι ζῴοις καὶ τὴν ἡδονὴν καὶ τέρψιν, καὶ ὅσα τοῦ γένους              5

ἐστὶ τούτου σύμφωνα· τὸ δὲ παρ᾿ ἡμῶν ἀμφισβήτημά ἐστι

μὴ ταῦτα, ἀλλὰ τὸ φρονεῖν καὶ τὸ νοεῖν καὶ μεμνῆσθαι καὶ

τὰ τούτων αὖ συγγενῆ, δόξαν τε ὀρθὴν καὶ ἀληθεῖς λογισμούς,

τῆς γε ἡδονῆς ἀμείνω καὶ λῴω γίγνεσθαι σύμπασιν ὅσαπερ

αὐτῶν δυνατὰ μεταλαβεῖν· δυνατοῖς δὲ μετασχεῖν ὠφελιμώ-           c

τατον ἁπάντων εἶναι πᾶσι τοῖς οὖσί τε καὶ ἐσομένοις. μῶν

οὐχ οὕτω πως λέγομεν, ὦ Φίληβε, ἑκάτεροι;

그러니까 필레보스는 즐거움과 쾌락 그리고 기쁨이

살아있는 모든 것들에게 좋은 것이라 말하고, 이러한 부류에

→ is good/is the good. "the good"의 definition이 등장해야 하는지?

부합하는 것들도 그렇다고 말하네: 그런데 우리 입장에서 반박하려는 것은

그런 얘기들이 아니라, 지혜를 갖추거나 사유를 하거나 암기를 하는 것

그리고 이런 것들과 동류인 것들, 옳은 믿음과 참된 헤아림들이,

→ '믿음'이 여기에 포함된다는 것은 신기함.

그것들에 참여할 수 있는 모든 것들 전부에게 있어서

즐거움보다는 더 낫고 더 바람직한 것이 된다는 걸세: 

지금 그러한 자들이든 장차 그러할 자들이든 참여할 수 있는 자들에게는 

→ 부차적인 반복 서술인가? "참여할 수 있음"이 가장 이롭다는 번역이 제안됨.

"참여한다는 것은 가장 이롭다는 것이지." but '무엇에' 참여한다는 원문이 없이

단적인 참여가 가장 이로울 필요가 있는지. (이후 논의가 뒷받침해준다면 고려 가능)

통틀어 그 무엇보다도 가장 이롭다는 것이지. 우리 양쪽 각자가

분명 이런 어떤 식으로 논했지 않은가, 필레보스?

ΦΙ. Πάντων μὲν οὖν μάλιστα, ὦ Σώκρατες.

더할 나위 없습니다, 소크라테스.

ΣΩ. Δέχῃ δὴ τοῦτον τὸν νῦν διδόμενον, ὦ Πρώταρχε,                      5

λόγον;

그럼 이와 같이 주어진 논의를 받을 텐가, 프로타르코스?

ΠΡΩ. Ἀνάγκη δέχεσθαι· Φίληβος γὰρ ἡμῖν ὁ καλὸς

ἀπείρηκεν.

받아들일 수밖에요: 저 훌륭한 필레보스가 우리에게 말해주었으니 말입니다.

→ 필레보스는 강경하고 대화가 성립하지 않는데 '훌륭하다'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는 듯.

ΣΩ. Δεῖ δὴ περὶ αὐτῶν τρόπῳ παντὶ τἀληθές πῃ περαν-

θῆναι;                                                                                     10

그럼 그것들에 관하여 모든 방식으로 어떻게든 진리가 마무리되어야 하겠군?

→ 아포리아로 끝내지 않겠다는 선언. 후기 대화편의 특징? 

ΠΡΩ. Δεῖ γὰρ οὖν.                                                                     d

그래야 하지요.

ΣΩ. Ἴθι δή, πρὸς τούτοις διομολογησώμεθα καὶ τόδε.

자, 그럼, 이런 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서도 합의를 해 보도록 하세.

ΠΡΩ. Τὸ ποῖον;

어떤 것을요?

ΣΩ. Ὡς νῦν ἡμῶν ἑκάτερος ἕξιν ψυχῆς καὶ διάθεσιν

ἀποφαίνειν τινὰ ἐπιχειρήσει τὴν δυναμένην ἀνθρώποις πᾶσι                5

τὸν βίον εὐδαίμονα παρέχειν. ἆρ᾿ οὐχ οὕτως;

지금 우리 양편 각자는 모든 인간에게 행복한 삶을 허락해줄 수 있는

영혼의 습성이나 상태가 무엇인지 밝혀 보고자 시도하였다는 것이지.

그렇지 않은가?

ΠΡΩ. Οὕτω μὲν οὖν.

그야 그렇습니다.

ΣΩ. Οὐκοῦν ὑμεῖς μὲν τὴν τοῦ χαίρειν, ἡμεῖς δ᾿ αὖ τὴν

τοῦ φρονεῖν;

해서 자네들은 만족함의 상태라고, 반면 우리는 또 지혜를

갖춤의 상태라고 하지 않았나?

ΠΡΩ. Ἔστι ταῦτα.                                                                        10

그렇습니다.

ΣΩ. Τί δ᾿ ἂν ἄλλη τις κρείττων τούτων φανῇ; μῶν οὐκ,

ἂν μὲν ἡδονῇ μᾶλλον φαίνηται συγγενής, ἡττώμεθα μὲν                      e

ἀμφότεροι τοῦ ταῦτα ἔχοντος βεβαίως βίου, κρατεῖ δὲ ὁ τῆς

ἡδονὴς τὸν τῆς φρονήσεως;                                                        12

그런데 다른 어떤 것이 이것들보다 더욱 강한 것으로 드러나면 어떨까?

물론, 그것이 쾌락과 더욱 동류인 것으로 드러난다면, 우리는 양쪽 다

이런 것들을 확고하게 지니는 삶에 비해 뒤떨어지기는 하지만, 쾌락을 지닌 삶은

지혜를 지닌 삶을 압도하지 않겠나?

ΠΡΩ. Ναί.

네.

ΣΩ. Ἂν δέ γε φρονήσει, νικᾷ μὲν φρόνησις τὴν ἡδονήν,

ἡ δὲ ἡττᾶται; ταῦθ᾿ οὕτως ὁμολογούμενά φατε, ἢ πῶς;

더 나아가 그것이 지혜와 더 동류라면, 지혜가 즐거움을 이길 테고,

쾌락은 뒤떨어지겠지? 자네들은 이런 것들이 그렇게 동의된 것들이라 말하는가, 혹은 어찌 말하는가?

ΠΡΩ. Ἐμοὶ γοῦν δοκεῖ.                                                                   5

제겐 그렇게 보입니다.

ΣΩ. Τί δὲ Φιλήβῳ; τί φῄς;

필레보스에게는 어떨까? 자넨 무어라 말하겠나?

ΦΙ. Ἐμοὶ μὲν πάντως νικᾶν ἡδονὴ δοκεῖ καὶ δόξει· σὺ δέ,

Πρώταρχε, αὐτὸς γνώσῃ.

저로서는 쾌락이 전적으로 승리한다고 여겨지고 또 그리 여길 것입니다.

프로타르코스, 당신은 스스로 알게 되겠지.

→ 쾌락은 모든 경우에 지혜를 이기는가, 모든 것을 이기는가?

ΠΡΩ. Παραδούς, ὦ Φίληβε, ἡμῖν τὸν λόγον οὐκ ἂν

ἔτι κύριος εἴης τῆς πρὸς Σωκράτη ὁμολογίας ἢ καὶ τοὐ-                         10

ναντίον.

필레보스, 자네가 우리에게 자네의 논변을 넘겼으니 

소크라테스님께 동의하는 것인지 반대하는 것인지가 여전히

자네에게 달린 건 아닐 테지.

ΦΙ. Ἀληθῆ λέγεις· ἀλλὰ γὰρ ἀφοσιοῦμαι καὶ μαρτύρομαι                          b

νῦν αὐτὴν τὴν θεόν.

맞는 말일세. 하지만 나는 신성한 의무를 다하고 있으며 지금 저 여신 본인을

증인으로 모신다네.

→ ἀφοσιοῦμαι 이게 무슨 뜻? 동의와 반대의 의무에서 벗어남? 아프로디테로부터 부여된 의무에서 벗어남?

ΠΡΩ. Καὶ ἡμεῖς σοι τούτων γε αὐτῶν συμμάρτυρες ἂν

εἶμεν, ὡς ταῦτα ἔλεγες ἃ λέγεις. ἀλλὰ δὴ τὰ μετὰ ταῦτα

ἑξῆς, ὦ Σώκρατες, ὅμως καὶ μετὰ Φιλήβου ἑκόντος ἢ ὅπως                        5

ἂν ἐθέλῃ πειρώμεθα περαίνειν.

우리 자신도 바로 그 일들에 대해 자네를 위한 증인으로 동참할 걸세,

자네가 하는 그 말들을 했노라는 데에 말이지. 하지만 그 다음으로,

소크라테스, 그럼에도 필레보스 뜻에 따라서든 그가 바라는 어떤 식으로든

마무리해 보도록 할까요?

ΣΩ. Πειρατέον, ἀπ᾿ αὐτῆς δὴ τῆς θεοῦ, ἣν ὅδε Ἀφροδίτην

μὲν λέγεσθαί φησι, τὸ δ᾿ ἀληθέστατον αὐτῆς ὄνομα Ἡδονὴν

εἶναι.

마무리해야지, 실로 저 여신, 아프로디테라고 논해지지만,

그녀의 가장 참된 이름은 쾌락이라고 여기 이 사람이 말하는

그 여신으로부터 말일세.

ΠΡΩ. Ὀρθότατα.                                                                              10

맞는 말씀이십니다.

ΣΩ. Τὸ δ᾿ ἐμὸν δέος, ὦ Πρώταρχε, ἀεὶ πρὸς τὰ τῶν θεῶν                          c

ὀνόματα οὐκ ἔστι κατ᾿ ἄνθρωπον, ἀλλὰ πέρα τοῦ μεγίστου

φόβου. καὶ νῦν τὴν μὲν Ἀφροδίτην, ὅπῃ ἐκείνῃ φίλον,

ταύτῃ προσαγορεύω· τὴν δὲ ἡδονὴν οἶδα ὡς ἔστι ποικίλον,

καὶ ὅπερ εἶπον, ἀπ᾿ ἐκείνης ἡμᾶς ἀρχομένους ἐνθυμεῖσθαι δεῖ                     5

καὶ σκοπεῖν ἥντινα φύσιν ἔχει. ἔστι γάρ, ἀκούειν μὲν οὕτως

ἁπλῶς, ἕν τι, μορφὰς δὲ δήπου παντοίας εἴληφε καί τινα

τρόπον ἀνομοίους ἀλλήλαις. ἰδὲ γάρ· ἥδεσθαι μέν φαμεν

τὸν ἀκολασταίνοντα ἄνθρωπον, ἥδεσθαι δὲ καὶ τὸν σωφρο-                   d

νοῦντα αὐτῷ τῷ σωφρονεῖν· ἥδεσθαι δ᾿ αὖ καὶ τὸν ἀνοηταί-

νοντα καὶ ἀνοήτων δοξῶν καὶ ἐλπίδων μεστόν, ἥδεσθαι δ᾿ αὖ

τὸν φρονοῦντα αὐτῷ τῷ φρονεῖν· καὶ τούτων τῶν ἡδονῶν

ἑκατέρας πῶς ἄν τις ὁμοίας ἀλλήλαις εἶναι λέγων οὐκ ἀνόητος                     5

φαίνοιτο ἐνδίκως;

프로타르코스, 신들의 이름들에 대한 나의 두려움은 언제나 

인간적인 것이 아니라, 가장 큰 공포를 뛰어넘는다네.

그래서 지금 저 여신께서 호의를 가지실 방식으로, 이렇게

그녀를 아프로디테라고 부르고 있기는 하지: 그런데 쾌락이란 다채로운 것이라

생각되고, 내가 말했듯, 저 쾌락으로부터 시작하여 우리는

심혈을 기울여 도대체 저것이 어떤 본성을 지니는지 살펴보아야 하네. 들리기로는

그렇게 단순히 어떤 하나이지만, 어떤 방식으론가 서로 닮지 않은 

온갖 모습들을 분명 지녔기에 말이지. 왜냐하면 보게나: 우리는 무절제한 사람이

즐거워한다고 말하지만, 분별 있는 사람도 바로 그 분별로 즐거워한다고 말한다네:

그런데 또한 생각이 없으며 생각 없는 믿음들과 희망들로 가득 찬 자도 즐거워한다고 하고,

또 다시 지혜로운 자가 바로 그 지혜로움으로 즐거워한다고도 하지: 이러한 즐거움들의

양편 각각을 누군가가 서로 닮은 것들이라고 말하면서 어떻게 그가 정당하게 생각 없는 자로

안 보이겠는가?

ΠΡΩ. Εἰσὶ μὲν γὰρ ἀπ᾿ ἐναντίων, ὦ Σώκρατες, αὗται

πραγμάτων, οὐ μὴν αὐταί γε ἀλλήλαις ἐναντίαι. πῶς γὰρ

ἡδονῇ γε ἡδονὴ [μὴ] οὐχ ὁμοιότατον ἂν εἴη, τοῦτο αὐτὸ ἑαυτῷ,                 e

πάντων χρημάτων;

이것들은, 소크라테스, 반대되는 사물들로부터 나오지만,

그것들 자체는 결코 서로 반대되지 않으니까요. 그야 어떻게

즐거움이란 것이 즐거움에 가장 닮은 것이 아니겠습니까, 모든 것들 중에서,

이것 자체가 자신과 말이죠?

→ 『소피스트』 257b. '반대'와 '다름'의 구분? 단지 다르기만 해서는 안 되고 저 중 어떤 즐거움은 거짓이어야 하는가?

 ΣΩ. Καὶ γὰρ χρῶμα, ὦ δαιμόνιε, χρώματι· κατά γε αὐτὸ

τοῦτο οὐδὲν διοίσει τὸ χρῶμα εἶναι πᾶν, τό γε μὴν μέλαν

τῷ λευκῷ πάντες γιγνώσκομεν ὡς πρὸς τῷ διάφορον εἶναι                           5

καὶ ἐναντιώτατον ὂν τυγχάνει. καὶ δὴ καὶ σχῆμα σχήματι

κατὰ ταὐτόν· γένει μέν ἐστι πᾶν ἕν, τὰ δὲ μέρη τοῖς μέρεσιν

αὐτοῦ τὰ μὲν ἐναντιώτατα ἀλλήλοις, τὰ δὲ διαφορότητ᾿ ἔχοντα               13

μυρίαν που τυγχάνει, καὶ πολλὰ ἕτερα οὕτως ἔχονθ᾿ εὑρή-

σομεν. ὥστε τούτῳ γε τῷ λόγῳ μὴ πίστευε, τῷ πάντα τὰ

ἐναντιώτατα ἓν ποιοῦντι. φοβοῦμαι δὲ μή τινας ἡδονὰς

ἡδοναῖς εὑρήσομεν ἐναντίας.                                                                 5

복받은 사람, 색도 색과 그러하니 말일세. 바로 이 점에서는

색은 모두가 아무런 차이도 없지만, 검정은 하양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나고 또 실로 가장 반대되는지 우리 모두가 알지.

게다가 같은 식으로 형태도 형태와 그렇다네: 유에서는 그 모두가 하나이나,

그것의 부분들은 부분들과 서로 가장 반대되는 것들인가 하면, 

가장 큰 차이들을 무수히 가질 수도 있고, 많은 다른 것들도 그런 상태란 걸

우리가 알지. 그러니 이런 논변에 확신을 갖지 마시게, 가장 반대되는

모든 것들을 하나로 만드는 논변에는 말일세. 나는 어떤 즐거움들이

즐거움들과 반대되는 것들임을 우리가 알게 되지는 않을까 두렵다네. 

→ 색으로서 같으나 검정과 하양은 반대. 유에서는 하나이나 부분들은 서로 반대.

"즐거움들이 즐거움들과 반대되는 것들"인 경우는 위의 사례와 구분되는 것?

13a3 τούτῳ γε τῷ λόγῳ, 내 제안은 종에서 반대되더라도 유에서 하나라 말할 수 있는 것.(색-하양/까망

권세혁씨 제안은 종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유에서의 단일성만 보는 논리.

ΠΡΩ. Ἴσως· ἀλλὰ τί τοῦθ᾿ ἡμῶν βλάψει τὸν λόγον;

그럴 것 같습니다. 허나 왜 이게 우리(필레보스와 프로타르코스)의 논변을 해롭게 합니까?

→ 12d7-8. "즐거움이 연원하는 사물이 반대라고 즐거움들이 반대되진 않는다."

ΣΩ. Ὅτι προσαγορεύεις αὐτὰ ἀνόμοια ὄντα ἑτέρῳ, φή-

σομεν, ὀνόματι· λέγεις γὰρ ἀγαθὰ πάντ᾿ εἶναι τὰ ἡδέα. τὸ

μὲν οὖν μὴ οὐχὶ ἡδέα εἶναι τὰ ἡδέα λόγος οὐδεὶς ἀμφισβητεῖ·

κακὰ δ᾿ ὄντα αὐτῶν τὰ πολλὰ καὶ ἀγαθὰ δέ, ὡς ἡμεῖς φαμέν,                       b

ὅμως πάντα σὺ προσαγορεύεις ἀγαθὰ αὐτά, ὁμολογῶν ἀνόμοια

εἶναι, τῷ λόγῳ εἴ τίς σε προσαναγκάζοι. τί οὖν δὴ ταὐτὸν

ἐν ταῖς κακαῖς ὁμοίως καὶ ἐν ἀγαθαῖς ἐνὸν πάσας ἡδονὰς

ἀγαθὸν εἶναι προσαγορεύεις;                                                                  5

우리편에선 자네가 그 안 닮은 것들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 때문이라고 말할 걸세: 

왜냐하면 자네는 즐거운 것들 모두가 좋은 것들이라 말하니까.

그러니 즐거운 것들은 즐겁지 않은 것들이 아니라는 논변은 누구와도

시비 붙지 않지: 그런데 우리 주장대로, 그것들 중 많은 것들이 나쁜 것들이고 또 좋은 것들인데,

그럼에도 자네는 그것들을 모두 좋은 것들이라 말하면서, 누군가 자네를 

→ or 자네는 그것들 모두 마찬가지로 좋은 것들이라 말하면서. 

b1의 ὄντα는 accusative absolute?

'실제로ὄντα'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있다면 프로타르코스의 주장은 억지?

그 논변으로써 강제해 나아간다면, 그것들이 안 닮은 것들이라 동의하겠지.

그러니 정말로 나쁜 즐거움들에서도 좋은 즐거움들에서도 모든 즐거움들이

같은 방식으로 들어 있을 때 자네는 무엇을 좋은 것이라고 부르는가?

→ 즐거움은 하나이나 부분들이 다른 경우가 아니라, 좋은 즐거움과 나쁜 즐거움이 다른 경우.

ΠΡΩ. Πῶς λέγεις, ὦ Σώκρατες; οἴει γάρ τινα συγχωρή-

σεσθαι, θέμενον ἡδονὴν εἶναι τἀγαθόν, εἶναι ἀνέξεσθαί σου

λέγοντος τὰς μὲν εἶναί τινας ἀγαθὰς ἡδονάς, τὰς δέ τινας                            c

ἑτέρας αὐτῶν κακάς;

무슨 말씀이십니까, 소크라테스? 그러니까 당신은 누군가가

동의한다고, 좋은 것은 즐거움이라고 상정하면서, 

어떤 즐거움들은 좋은 즐거움들이지만, 그것들과 다른 

어떤 것들은 나쁜 즐거움들이라고 당신이 말하는 걸

받아줄 수 있다고 생각하시는 겁니까?

→ 즐거움은 전체로서 좋은가? 『소피스트』에서 늦게 배우는 자들의 입장?

ΣΩ. Ἀλλ᾿ οὖν ἀνομοίους γε φήσεις αὐτὰς ἀλλήλαις εἶναι

καί τινας ἐναντίας.

그야 자네는 그 즐거움들은 서로 안 닮았고 또 어떤 반대되는

것들이라고 말할 테니까.

ΠΡΩ. Οὔτι καθ᾿ ὅσον γε ἡδοναί.                                                              5

즐거움들이라는 점에 한해서는 아니지요.

ΣΩ. Πάλιν εἰς τὸν αὐτὸν φερόμεθα λόγον, ὦ Πρώταρχε,

οὐδ᾿ ἄρα ἡδονὴν ἡδονῆς διάφορον, ἀλλὰ πάσας ὁμοίας εἶναι

φήσομεν, καὶ τὰ παραδείγματα ἡμᾶς τὰ νυνδὴ λεχθέντα

οὐδὲν τιτρώσκει, πεισόμεθα δὲ καὶ ἐροῦμεν ἅπερ οἱ πάντων

φαυλότατοί τε και περὶ λόγους ἅμα νέοι.                                                 d

우리는 다시 같은 논변으로 옮겨왔군, 프로타르코스.

그래서 우리는 즐거움은 즐거움과 전혀 차이가 없고, 모든 즐거움이 닮은 것이라

말할 테고, 그래서 방금 이야기된 본들도 우리들을

전혀 해치지 않으며, 그러나 누구보다도 가장 단순하며 

동시에 논변에 관하여 미숙하기도 한 자들이 겪고 말할 것들을 

우리가 겪고 말하게 될 걸세.

→ 늦게 배우는 자들?

ΠΡΩ. Τὰ ποῖα δὴ λέγεις;

어떤 것들을 말씀하시는 겁니까?

ΣΩ. Ὅτι σε μιμούμενος ἐγὼ καὶ ἀμυνόμενος ἐὰν τολμῶ 

λέγειν ὡς τὸ ἀνομοιότατό ἐστι τῷ ἀνομοιοτάτῳ πάντων

ὁμοιότατον, ἕξω τὰ αὐτὰ σοὶ λέγειν, καὶ φανούμεθά γε                                 5

νεώτεροι τοῦ δέοντος, καὶ ὁ λόγος ἡμῖν ἐκπεσὼν οἰχήσεται.

πάλιν οὖν αὐτὸν ἀνακρουώμεθα, καὶ τάχ᾿ ἂν ἰόντες εἰς τὰς

ὁμοίας ἴσως ἄν πως ἀλλήλοις συγχωρήσαιμεν.

내가 자네를 흉내내면서 스스로 방어하며 

가장 안 닮은 것이 가장 안 닮은 것과 그 무엇보다도

가장 닮은 것이라고 말하기를 감행한다면,

자네에게 똑같은 얘기들을 할 수 있게 될 테고, 나아가

필요 이상으로 어리석은 자들처럼 보이게 될 것이며,

우리의 논변은 나가 떨어지리란 것일세.

그러니 그 논변을 뒤로 물리도록 하세나. 그리하여 어쩌면

우리가 닮은 상황들(λαβάς)에 같은 식으로 이르러

어쨌든 서로 간에 합의를 보게 될지도 모를 일이지.

ΠΡΩ. Λέγε πῶς;                                                                                  e

어떤 식으로 말씀이십니까?

ΣΩ. Ἐμὲ θὲς ὑπὸ σοῦ πάλιν ἐρωτώμενον, ὦ Πρώταρχε.

거꾸로 나를 자네에게 질문 받는 자로 세워 보게, 프로타르코스. 

ΠΡΩ. Τὸ ποῖον δή;

어떤 질문이요?

ΣΩ. Φρόνησίς τε καὶ ἐπιστήμη καὶ νοῦς καὶ πάνθ᾿ ὁπόσα

δὴ κατ᾿ ἀρχὰς ἐγὼ θέμενος εἶπον ἀγαθά, διερωτώμενος ὅτι                           5

ποτ᾿ ἐστὶν ἀγαθόν, ἆρ᾿ οὐ ταὐτὸν πείσονται τοῦτο ὅπερ ὁ σὸς

λόγος;

분별과 앎과 이성과 또한 내가 처음에 내세워 좋은 것들이라 말한

그 모든 것들은, 도대체 무엇이 좋은지 질문받는다면,

혹시 자네의 논변이 겪은 것과 같은 바로 그 일을 겪게 되지 않겠나?

ΠΡΩ.  Πῶς;

어떻게요?

ΣΩ. Πολλαί τε αἱ συνάπασαι ἐπιστῆμαι δόξουσιν εἶναι

καὶ ἀνόμοιοί τινες αὐτῶν ἀλλήλαις· εἰ δὲ καὶ ἐναντίαι πῃ                               10

γίγνονταί τινες, ἆρα ἄξιος ἂν εἴην τοῦ διαλέγεσθαι νῦν, εἰ                        14

φοβηθεὶς τοῦτο αὐτὸ μηδεμίαν ἀνόμοιον φαίην ἐπιστήμην

ἐπιστήμῃ γίγνεσθαι, κἄπειθ᾿ ἡμῖν οὕτως ὁ λόγος ὥσπερ

μῦθος ἀπολόμενος οἴχοιτο, αὐτοὶ δὲ σῳζοίμεθα ἐπί τινος

ἀλογίας;                                                                                              5

통틀어 모든 지식들은 많다고도 여겨질 것이고

그것들 중 어떤 것들은 서로 안 닮은 것들이라고도 여겨질 걸세. 그런데 만일

어떤 지식들이 어떤 식으로 반대되는 것들이 된다면, 

만일 내가 바로 그 점을 두려워하며 지식은 그 어느 하나

지식과 안 닮은 것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우리에게 설득력 없는 그 논변이  

마치 이야기마냥 그렇게 부서져 떠나 버리고, 우리 자신은 어떤

비논리에 의해 구제받아야 한다면, 어찌 이제 내가 대화할 만한 

가치가 있는 자이겠는가?

→ 단지 유로부터 종차를 구분하여 유에서의 단일성과 종차에서의 복수성을 양립시키는 것만으로는 지금 제기되는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지금 제기되는 문제는 같은 유에 속하면서 종차를 가지는 서로 다른 것들을 설명하는 문제가 아니다.

→ 쾌락은 그 자체로 이야기되는데 앎은 무엇에 대한 앎인지 관계적이다. 이것이 두 입장 모두 같은 방식으로 가능한가?

-蟲-

+ Recent posts